호흡기 환자 간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호흡기 환자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방출. 이때 분당 호흡수 미리 설정
4) 음압 호흡기(negative-pressure ventilator)
- 환자의 신체 주위에 음압을 제공함으로써 작용
- 흉곽이 호기 자세를 취하도록 하며, 이렇게 함으로써 흡입
5) 호기말 양압호흡(positive end-expiratory pressure)
- 증가하는 폐동맥의 측로 용량으로 인해 발생하는 지속적인 저산소증이 나타나는 아동에게 자주 사용
- 매 흡기가 끝날 때 양압을 전달함으로써 작은 기도가 개방되도록 하며 폐포의 붕괴 예방
- 흡기가 끝날 무렵 양압을 사용할 때 간호사는 아동에 대한 환기장치 설치가 제어 조
절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알아야 하고 또한 증가된 양압의 사용은 정맥의 복귀를 더욱 지연시킬 것이며 심장 출력이 감소 될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어야 한다.
6) 지속적 양압호흡(constant positive airway pessure : CPAP)
- 작은 기도가 확실하게 열려있도록 해주며 폐포 붕괴를 예방해 준다.
- PEEP와의 차이점 : 환자가 자발적으로 가스 저장소를 통해 호흡하고 호흡의 도움을 받기 위해 환기장치에 계속해서 의지할 필요가 없다는 것
- 기도폐쇄와 저산소증으로 인해 계속해서 환기 장치를 사용해야 할 것처럼 보일 때, 아동에게서 환기장치를 떼어내는데 사용, 초자양막증을 가진 아동에게 사용
7) 간헐적 위임호흡(intermittent mandatory ventilation : IMV)
- 아동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환기된 호흡을 기계적으로 받아들이는 동안 신선한 가스원을 통해 자발적으로 호흡할 수 있게 함
- 장점
·동맥내에 정상적인 이산화탄소치를 회복시켜 주기 때문에 환기장치를 더 쉽게 떼어
낼 수 있다.
·흉곽 내 압력 변화에 대한 점차적인 순환의 적응
·기도 붕괴를 예방해 주는 더 큰 용량장치와 함께 빈번한 호흡
·직접적인 간호량의 감소
8) 기도유지
기관 삽입법(endotracheal intubation)
- 심장병이 있거나 호흡 정지가 일어난 응급 상황의 경우와 삽입 기간이 짧을 경우
- 보통 5∼10일 정도 설치
- 어린 아동의 경우 사용되는 관이 꺽여지지 않았는지 유의
- 삽입관 크기 계산법 : 아동의 나이를 4로 나누고 3.5를 더함
기관 절개술(tracheostomy)
- 아동이 오랜 기간동안 환기장치의 도움을 받아야 하거나 혹은 분비물을 흡입할 수
있는 적절한 다른 방법이 없을 때 실시

키워드

호흡기,   환자,   간호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4.24
  • 저작시기2006.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24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