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 이식수술 환자의 간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 이식수술 환자의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간
1. 간의 구조
2. 간의 기능

Ⅱ. 간이식
1. 간이식의 정의
2. 간이식의 역사적 배경
3. 간이식의 적응증
4. 절 차
5. 환자 선정
6. 재원기간 및 에후
7. 대상자 관리
1) 수술 전 간호
2) 수술중 간호
3) 수술후 간호
9. 장기이식 전문간호사(장기이식 코디네이터)
(1) 장기이식 전문간호사의 역할
(2) 이식을 하기 위해 밟는 절차

Ⅲ.참고자료

본문내용

밝은 색 대변, 짙은 색 소변, 황달, 간기능 검사의 비정상치 등 거부반응의 공통된 증상과 증후를 환자가 알고 있어야 한다. 거부반응의 출현이 이식 장기의 손실을 의미하지는 않으나 거부반응의 진단은 환자와 가족 모두에게 정서적 위기를 초래하므로 간호사는 환자와 가족이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⑦ 추후 관리
추후 합병증 예방과 건강유지 증진을 도모하기 위하여 다음 지침을 적용할 수 있다.
a. 스테로이드를 장기간 투여해야 하므로 백내장과 녹내장 스크리닝을 포함한 정기적인 눈 검사를 받도록 한다.
b. 좋은 구강위생을 유지하고 치아를 추후 관리함이 특히 중요하다. 수술전의 간질환과 관련된 불량한 치아 위생과 수술수 잇몸 비후증은 자주 치과를 방문하여 치료를 받아야 한다. 치과 치료를 하기 전 예방적인 항생체 투여가 권장된다.
결론적으로 환자가 최적의 건강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수술후 교육과 장기 추후 관리 참여가 중요하다.
♣ 퇴원후 간호
퇴원후 환자는 정기적으로 외래를 방문해야 한다. 이식기능을 모니터하고 특정 면역억제제(Cyclosporine, FK506)의 혈액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혈청검사를 실시한다. 외래 방문 기간중 문제가 있으면 재입원하여 평가받는 것이 필요하다. 경제적인 문제도 이들에겐 큰 관심사이다. 이식이 생존의 희망응ㄹ 주기는 하나 막대한 비용을 요구한다. 수술전에 이미 상당히 황폐된 환자나 이식후 주요 합병증을 경험한 환자들은 병원에서 퇴원한 후 완전한 회복을 위해 재활기관으로 이송되기도 한다.
9. 장기이식 전문간호사(장기이식 코디네이터)
(1) 장기이식 전문간호사의 역할
장기이식이란 장기에 장애가 있는 사람에게 다른 사람의 장기를 떼어 내어 옮겨줌으로써 새 삶을 살수 있도록 하는 수술이다. 생체 이식의 경우 받을 수 있는 장기에는 신장 2개중 1개, 그리고 의학적으로 인정되는 범위 내에서 간장, 골수의 일부분이 있다.
뇌사자에게서 이식을 받을 수 있는 장기에는 신장, 간장, 췌장, 심장, 폐, 각막이 있으며 뇌사기증자 한 분이 최대 아홉 분의 환자에게 장기를 기증할 수 있다.
( 뇌사자란 심폐기능은 인공적으로 유지되고 뇌기능이 비가역적으로 소실된 상태를 말한다.)
2001년 12월 말 장기이식 대기자 현황을 보면 총 8,397명의 대기자가 있으며 그중에는 신장 3,262명, 간장 944명, 췌장 82명, 심장 134명, 폐장 51명, 골수 1,348명, 각막 2,576명이 있다. 이중 이식을 받으신 분은 살아있는 분에게서 받으신 경우는 총 109명, 뇌사자에게서 받으신 경우는 총 32명이다. 이렇게 보시다시피 많은 이식 대기자들이 힘겹게 투병을 하며 이식을 기다리거나 대기하던 중 사망하는 안타까운 실정이다.
이렇듯 장기기증의 필요성이 인식되면서 또한 뇌사기증자의 필요성이 증가하면서 뇌사를 법적으로 인정하는 "장기등 이식에 관한 법률"이 국회에서 통과되어 2000년 2월부터 국가기관인 KONOS (국립 장기이식 센터)가 모든 이식에 관한 사항을 전반적으로 관리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장기이식이 최초로 이루어진 것은 1969년이며 장기이식 코디네이터는 1994년에 처음 발령을 받은 이후 현재는 이식이 이루어지는 모든 병원에 1명 이상의 장기이식 코디네이터가 활동을 하고 있다.
장기이식 코디네이터는 이식의 전반적인 사항에 연관되어 있다.
장기이식 코디네이터의 역할로는 ① 잠재 뇌사자 파악, ② 뇌사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적합유무, ③ KONOS와 연계하여 뇌사자 관리, ④ 보호자와 상담하여 장기기증 동의서 받기, ⑤ 수술 관련팀과 연락, ⑥ 이식대기자 명단, 검사 관리, ⑦ 환자 교육, 장기이식과 관련된 상담, ⑧ 장기기증에 관한 홍보 및 교육, ⑨ 연구, 통계 관리 등 매우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2) 이식을 하기 위해 밟는 절차
1) 생체 이식의 경우
① 외래에서 신장내과 전문의와 상담
② 장기이식 코디네이터와 사회사업가와 상담
③ 장기이식 코디네이터가 서류를 전송하여 KONOS의 승인을 받은 후 이식수술이 진행된다.
ⅰ. 장기이식 대상자 선정승인 신청서 (기증자가 작성)
ⅱ. 이식대상자 선정 사유서 (기증자가 작성)
ⅲ. 관계를 확인 할 수 있는 서류 제출
혈연간 - 주민등록등본이나 호적 초본 첨부
비혈연간 - 매매가 아닌 순수기증만 인정 (사회사업가와 면담)
관계를 확인 할 수 있는 서류 (예: 학교 동창인 경우 졸업증명서)
2) 뇌사자로부터 이식을 원하는 경우
① 신장내과 전문의와 상담
② 장기이식 코디네이터와 상담
③ 장기이식 코디네이터는 환자의 자료를 KONOS 프로그램에 등록하고 수혜자는 장기 이식 동의서를 작성 - 등록시 확실한 연락처 필요
④ 녹십자에서 혈액을 각 뇌사자 관리병원으로 배송
⑤ KONOS로부터 연락이 올 때까지 기다림
♣ 간이식수술 환자들의 간호요구
1.간 이식을 받은 여성의 경우 임신이 가능하며 안전한지 걱정이 됩니다.
2.간 이식을 받은 후에 정상적인 부부 생활이 가능합니까?
3.간 이식한 후 담도의 이상으로 담즙을 2개의 관을통해 밖으로 유출하고 있습니다. 언제까지 있어야4.하며, 어떠한 방법으로 치료할수 있는지요
5.이식된 간이 제 기능을 못한다거나 거부 반응이 일어나면 어떻게 하죠?
6.거부 반응의 예방약 혹은 치료약을 쓰면 어떤 부작용이 흔히 생기는지 알려주세요
7.이식을 받은 후에 병원에는 얼마나 자주 오게 됩니까?
8.이식 환자는 감염에 걸리기 쉽나요?
9.음식물 섭취에 주의할 사항
10.원래 가지고 있던 간 질환이 이식 받은 간에서 재발할 수도 있습니까?
11.성공적으로 간을 이식 받은 사람은 매우 건강하다고 들었습니다. 이러한 건강 상태가 얼마나 오래 갑니까?
Ⅲ.참고자료
Critical Care Nursing/Nancie A. Urban/Mosby
성인간호학 하(2)/김조자, 노유자, 최영희, 김매자/현문사
중환자간호/ 김귀분, 김남초 외 공저/현문사
장기이식-원리와 실제-/김용순 편저/현문사
http://www.kumcansannr.com/user/specialist/s-4.html
http://www.ltkorea.or.kr/index.asp
전국간이식협회
  • 가격1,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4.03.07
  • 저작시기2004.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41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