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용접하기-보호 장비(용접 마스크, 용접장갑, 앞치마), 집게, 슬래그 해머, 와이어 브러쉬
2. 자르기-쇠톱, 줄
3. 굳히기-마운트, WD-40, 경화액 (에폭시 수지+경화촉진제)
4. 사포질-200W, 600W, 800W, 1200W, 1500W 사포와 평평한 유리판
5. 경도측정- 비커스경도계
6. polishing-알루미늄 분말, POLISHING 기계
7. 부식과정-샬레, 비커, 부식액(질산+알콜), 물
경도측정 결과 그래프
8. 조직검사
2. 자르기-쇠톱, 줄
3. 굳히기-마운트, WD-40, 경화액 (에폭시 수지+경화촉진제)
4. 사포질-200W, 600W, 800W, 1200W, 1500W 사포와 평평한 유리판
5. 경도측정- 비커스경도계
6. polishing-알루미늄 분말, POLISHING 기계
7. 부식과정-샬레, 비커, 부식액(질산+알콜), 물
경도측정 결과 그래프
8. 조직검사
본문내용
붙인다. 이 때 렌즈와 시편의 거리는 약 2mm정도유지하고 시편을 내리면서 서서히 상이 생기는지 여부를 관찰한다.
3) 상이 보이면 칼로 그은 선을 기준선으로 맞추고 시편을 고정시킨다.
4) start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경도를 측정하는데 처음에는 그냥 경도계가 세팅되어 있는 대로 경도를 측정했다. 결과 마름모의 크기가 너무 커서 힘을 500kgf에서 300kgf으로 낮추어서 경도를 다시 측정했다.
5) 경도는 시편의 weld metal 윗부분 끝에서부터 아래방향으로 1mm 간격 경도를 측정했다. 경도를 찍어보니 대체로 마름모의 모양이 깨끗하게 나왔는데 몇 개는 마름모가 찌그러진 모양이었다. 아마도 사포질이 전체적으로 고르지 못해서 면이 평평하지 않은 이유도 있을 것이고, 또한 스크레치부분에 경도가 찍혀서 마름모가 찌그러진 것 같다.
6) 현미경으로 시편의 표면을 들여다보면 먼저 기준선과 보조선이 나오는데 현미경의 왼쪽 레버를 돌리면 기준선과 보조선이 같이 이동하고 오른쪽 레버를 돌리면 보조선만 이동한다.
7) 마름모의 왼쪽 모서리에 기준선을 맞춘다.
8) 보조선을 이동시켜 기준선과 거의 붙었을 때를 영점으로 세팅한다.
9) 보조선을 다시 벌려서 마름모 오른쪽 모서리에 맞추고 read버튼을 눌러 마름모의 너비를 측정한다.
<경도찍기>
10) 기준선과 보조선을 90°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보조선을 위로 올리고마름모의 위쪽에 맞춰 다시 read버튼을 눌러 높이를 측정한다. 이런 방식으로 경도를 측정하면 수치가 스크린상에 나타나게 된다.
10) 경도는 수직 아래로 1mm 간격으로 먼저 측정하고 두 번째로 모재에서 양쪽 경사방향으로 1mm 간격으로 경도를 측정하였다.
11) 마지막으로 시편의 모재 쪽에서 가로방향으로 경도를 측정하였는데 가로방향은 너무 길어서 2mm 간격으로 측정을 하였다.
12) 시편을 형광등 아래에서 위아래로 움직이면 미세한 점이 보이는데 이것이 경도가 측정된 흔적이었다.
6. polishing-알루미늄 분말, POLISHING 기계
1) 알루미늄분말을 물에 섞어서 용액을 만든다. 미세한 알루미늄분말이 시편의 표면에 부딪히면서 경면가공을 가능하게 해준다.
2) 알루미늄분말용액을 조금씩 뿌리면서 polishing기계의 버튼을 움직여 처음에는 회전수를 천천히 했다가 서서히 회전수를 높여서 표면을 가공하였다. 회전수를 순차적으로 증가시켜서 시편의 표면에 가중되는 힘을 최소화 시켰다. 또한 경면가공을 해야 조직을 현미경으로 찍었을 때 스크레치가 적어서 표면관찰을 도와주기 때문이다.
<폴리싱>
7. 부식과정-샬레, 비커, 부식액(질산+알콜), 물
1) 샬레에 알콜을 질산보다 더 많은 비율로 섞는다. 다른 비커에는 물을 담아 놓는다.
2) polishing된 면을 부식액이 담긴 샬레에 살짝 담갔다가 물로 헹구어 낸다. 이와 같은 작업을 3-4회 반복한다. 이렇게 부식된 면을 드라이기로 말린 후 표면을 관찰해보면 부식시키기 전에 시편의 면은 거울처럼 경면이었으나 부식시키면 광택은 사라지고 서서히 시료의 weld metal과 haz부분 모재부분이 뚜렷한 차이가 나타난다. 부식을 시키는 이유는 현미경으로 표면을 관찰할 때 빛이 반사되어서 조직을 제대로 보지 못하기 때문이다.
<부식하기>
경도측정 결과 그래프
8. 조직검사
현미경으로 관찰한 조직은 뚜렷하게 Weld metal 과 Haz와 모재로 구분이 되었다. 아래 조직사진은 핸드폰으로 현미경 접안렌즈에 근접시켜서 촬영한 사진이다.
① Weld metal은 조직이 크고 흰색부분이 많이 서로 붙어있다. 또한 검은부분이 많이 뭉쳐있는 곳도 있고 나무결같이 한쪽방향으로 결이 생겨있고 불규칙한 방사형 조직이 관찰된다. 또 칼로 자른 부위에는 붉게 조직이 변해있었는데 아마도 녹이생긴 것 같다.
② haz부분은 Weld metal에 비해 흰조직의 크기가 작고 좀 더 어두우며 역시 불규칙한 형태의 조직이 보인다. 하얀 알갱이 조직과 나머지 검은 부분이 1:1정도의 비율로 섞여 있다. 모재의 둥그런 흰알갱이에 비해 길쭉해진 흰알갱이가 관찰된다. 검은조직이 군데군데 뭉쳐져 있었다.
③ 모재는 조직이 작고 둥글고 흰알갱이가 조밀하게 붙어있고 흰알갱이 사이에 검은 부분이 조금씩 보인다. 대체적으로 조직이 치밀하게 붙어있다.
④ Weld metal에 가까울수록 조직이 커지고 불규칙한 조직이 보인다. 검은색 부분이 많아지며 아마도 탄소인 듯 여겨진다.
⑤ 모재쪽으로 갈수록 알갱이가 작게 나오는 경향이 보인다.
3) 상이 보이면 칼로 그은 선을 기준선으로 맞추고 시편을 고정시킨다.
4) start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경도를 측정하는데 처음에는 그냥 경도계가 세팅되어 있는 대로 경도를 측정했다. 결과 마름모의 크기가 너무 커서 힘을 500kgf에서 300kgf으로 낮추어서 경도를 다시 측정했다.
5) 경도는 시편의 weld metal 윗부분 끝에서부터 아래방향으로 1mm 간격 경도를 측정했다. 경도를 찍어보니 대체로 마름모의 모양이 깨끗하게 나왔는데 몇 개는 마름모가 찌그러진 모양이었다. 아마도 사포질이 전체적으로 고르지 못해서 면이 평평하지 않은 이유도 있을 것이고, 또한 스크레치부분에 경도가 찍혀서 마름모가 찌그러진 것 같다.
6) 현미경으로 시편의 표면을 들여다보면 먼저 기준선과 보조선이 나오는데 현미경의 왼쪽 레버를 돌리면 기준선과 보조선이 같이 이동하고 오른쪽 레버를 돌리면 보조선만 이동한다.
7) 마름모의 왼쪽 모서리에 기준선을 맞춘다.
8) 보조선을 이동시켜 기준선과 거의 붙었을 때를 영점으로 세팅한다.
9) 보조선을 다시 벌려서 마름모 오른쪽 모서리에 맞추고 read버튼을 눌러 마름모의 너비를 측정한다.
<경도찍기>
10) 기준선과 보조선을 90°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보조선을 위로 올리고마름모의 위쪽에 맞춰 다시 read버튼을 눌러 높이를 측정한다. 이런 방식으로 경도를 측정하면 수치가 스크린상에 나타나게 된다.
10) 경도는 수직 아래로 1mm 간격으로 먼저 측정하고 두 번째로 모재에서 양쪽 경사방향으로 1mm 간격으로 경도를 측정하였다.
11) 마지막으로 시편의 모재 쪽에서 가로방향으로 경도를 측정하였는데 가로방향은 너무 길어서 2mm 간격으로 측정을 하였다.
12) 시편을 형광등 아래에서 위아래로 움직이면 미세한 점이 보이는데 이것이 경도가 측정된 흔적이었다.
6. polishing-알루미늄 분말, POLISHING 기계
1) 알루미늄분말을 물에 섞어서 용액을 만든다. 미세한 알루미늄분말이 시편의 표면에 부딪히면서 경면가공을 가능하게 해준다.
2) 알루미늄분말용액을 조금씩 뿌리면서 polishing기계의 버튼을 움직여 처음에는 회전수를 천천히 했다가 서서히 회전수를 높여서 표면을 가공하였다. 회전수를 순차적으로 증가시켜서 시편의 표면에 가중되는 힘을 최소화 시켰다. 또한 경면가공을 해야 조직을 현미경으로 찍었을 때 스크레치가 적어서 표면관찰을 도와주기 때문이다.
<폴리싱>
7. 부식과정-샬레, 비커, 부식액(질산+알콜), 물
1) 샬레에 알콜을 질산보다 더 많은 비율로 섞는다. 다른 비커에는 물을 담아 놓는다.
2) polishing된 면을 부식액이 담긴 샬레에 살짝 담갔다가 물로 헹구어 낸다. 이와 같은 작업을 3-4회 반복한다. 이렇게 부식된 면을 드라이기로 말린 후 표면을 관찰해보면 부식시키기 전에 시편의 면은 거울처럼 경면이었으나 부식시키면 광택은 사라지고 서서히 시료의 weld metal과 haz부분 모재부분이 뚜렷한 차이가 나타난다. 부식을 시키는 이유는 현미경으로 표면을 관찰할 때 빛이 반사되어서 조직을 제대로 보지 못하기 때문이다.
<부식하기>
경도측정 결과 그래프
8. 조직검사
현미경으로 관찰한 조직은 뚜렷하게 Weld metal 과 Haz와 모재로 구분이 되었다. 아래 조직사진은 핸드폰으로 현미경 접안렌즈에 근접시켜서 촬영한 사진이다.
① Weld metal은 조직이 크고 흰색부분이 많이 서로 붙어있다. 또한 검은부분이 많이 뭉쳐있는 곳도 있고 나무결같이 한쪽방향으로 결이 생겨있고 불규칙한 방사형 조직이 관찰된다. 또 칼로 자른 부위에는 붉게 조직이 변해있었는데 아마도 녹이생긴 것 같다.
② haz부분은 Weld metal에 비해 흰조직의 크기가 작고 좀 더 어두우며 역시 불규칙한 형태의 조직이 보인다. 하얀 알갱이 조직과 나머지 검은 부분이 1:1정도의 비율로 섞여 있다. 모재의 둥그런 흰알갱이에 비해 길쭉해진 흰알갱이가 관찰된다. 검은조직이 군데군데 뭉쳐져 있었다.
③ 모재는 조직이 작고 둥글고 흰알갱이가 조밀하게 붙어있고 흰알갱이 사이에 검은 부분이 조금씩 보인다. 대체적으로 조직이 치밀하게 붙어있다.
④ Weld metal에 가까울수록 조직이 커지고 불규칙한 조직이 보인다. 검은색 부분이 많아지며 아마도 탄소인 듯 여겨진다.
⑤ 모재쪽으로 갈수록 알갱이가 작게 나오는 경향이 보인다.
키워드
추천자료
대학물리실험 예비실험보고서 - 역학적 에너지 보존
대학물리실험 예비실험보고서 - 선운동량
대학물리실험 예비실험보고서 - 구심력
대학물리실험 예비실험보고서 - 길이 및 곡률 반지름 측정
대학물리실험 예비실험보고서 - 열의 일당량
대학물리실험 예비실험보고서 - 중력 가속도 (단진자)
대학물리실험 예비실험보고서 - 지자기의 수평 성분
대학물리실험 예비실험보고서 - 초점거리 측정
대학물리실험 예비실험보고서 - 회절 격자 분광계에 의한 스펙트럼 측정
대학물리실험 예비실험보고서 - 휘트스톤브릿지
대학물리실험 예비실험보고서 - 파동의 중첩
[실험보고서] 파동-입자의 이중성 실험
[실험보고서] Reynolds 실험(레이놀즈수).pptx
[생명실험보고서] 표피조직의 관찰 - 탄수화물의 검출 및 소화효소 : 화학적 반응실험을 통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