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적
관련이론
실험결과
고찰
관련이론
실험결과
고찰
본문내용
미터의 저항을 단락시켜서 이론값을 계산하지만 실제로 회로에서는 캐패시터로 인한 단락이 안되고 에미터의 실제로 560Ω의 크기가 있어 합성저항이 되어 약간의 차이가 있는 같다.
입력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실험에서는 주파수 발생기의 주파수를 1000Hz로 하고 출력양단에 연결한 오실로스코프를 관찰하여 찌그러짐이 없는 최대출력 를 측정하는 실험인데
이 실험에서 나온 의 PEAK-TO-PEAK 로 전압치를 측정하여 값을 정하고
입력 전류와 계산하여 입력임피던스 을 결정하였다. 이 실험에서도 약간의 오차가 발생하는데 이시험에서도 캐패시터의 영향을 계산하지 않고 결정하여 그런 것 같다.
출력임피던스 측정하는 실험에서도 출력회로에 를 추가하여 실험적으로 결정할수 있는데 먼저 부하가 없을때의 출력전압을 측정후 무부하시 출력전압의 1/2가 되도록 가변저항 인 출력저항을 조정한수 저항을 때고 난후 저항계로 그 저항치를 측정하면된다.
이 가변저항의 출력저항이 증폭기의 출력임피던스가 된다.
이 실험에서는 입력과 출력신호 둘다 찌그러짐이 없는 상태에서 실시해야 되는데 실험에서
출력신호에 찌그러짐이 조금 있었고, 이는 캐패시터와 트랜지스터의 영향으로 출력이
일그러지는 것 같았다. 그래서 피크값을 측정하는데 오차가 생겨서 실제 이론값과 약간의 차이가 생겼다. 책에는 약 150배가 나오나 실제 계산한 결과 94배가 나오게된다
전력이득을 측정하는 실험에서는 입력과 출력임피던스와 출력,입력전압을 이용해서 전력이득을 구하였는데 이 값역시 앞에 실험에서의 오차로 실제 회로으 전력이득과 상이하였다.
위상차 측정 실험에서는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하여 측정할수 있었는데 채널1과 채널2를 동시에 화면에 나타나게 하여 두 신호를 비교 할수 있었고, 리사주도형으로 위상차를 계산할수 있었는데 책에서는 위상차는 이론상 180°가 차이나야 하나 90°밖에 차이나지 않는다. 그러나 시뮬레이션 결과도 90°가 차이나므로 실험이 맞는 것 같다. 이것은 커패시터의 영향으로 볼 수 있는 것 같다. 쉽게 해석하기 위하여 교류 해석시 단락 시키지만 실제로는 = 560Ω의 크기가 있어 이론값과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것 같고 위상이 -90°이므로 커패시터들과 저항들의 합성저항을 구하게 되면 크기에서는 저항이 훨신 크기 때문에 거의 차이가 없으나 위상에서는 차이가 나는 것 같습니다. 출력 저항에서 이론값과 약간의 차이도 이 커패시터로 인한 것 같습니다.
수고 하셨습니다.
입력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실험에서는 주파수 발생기의 주파수를 1000Hz로 하고 출력양단에 연결한 오실로스코프를 관찰하여 찌그러짐이 없는 최대출력 를 측정하는 실험인데
이 실험에서 나온 의 PEAK-TO-PEAK 로 전압치를 측정하여 값을 정하고
입력 전류와 계산하여 입력임피던스 을 결정하였다. 이 실험에서도 약간의 오차가 발생하는데 이시험에서도 캐패시터의 영향을 계산하지 않고 결정하여 그런 것 같다.
출력임피던스 측정하는 실험에서도 출력회로에 를 추가하여 실험적으로 결정할수 있는데 먼저 부하가 없을때의 출력전압을 측정후 무부하시 출력전압의 1/2가 되도록 가변저항 인 출력저항을 조정한수 저항을 때고 난후 저항계로 그 저항치를 측정하면된다.
이 가변저항의 출력저항이 증폭기의 출력임피던스가 된다.
이 실험에서는 입력과 출력신호 둘다 찌그러짐이 없는 상태에서 실시해야 되는데 실험에서
출력신호에 찌그러짐이 조금 있었고, 이는 캐패시터와 트랜지스터의 영향으로 출력이
일그러지는 것 같았다. 그래서 피크값을 측정하는데 오차가 생겨서 실제 이론값과 약간의 차이가 생겼다. 책에는 약 150배가 나오나 실제 계산한 결과 94배가 나오게된다
전력이득을 측정하는 실험에서는 입력과 출력임피던스와 출력,입력전압을 이용해서 전력이득을 구하였는데 이 값역시 앞에 실험에서의 오차로 실제 회로으 전력이득과 상이하였다.
위상차 측정 실험에서는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하여 측정할수 있었는데 채널1과 채널2를 동시에 화면에 나타나게 하여 두 신호를 비교 할수 있었고, 리사주도형으로 위상차를 계산할수 있었는데 책에서는 위상차는 이론상 180°가 차이나야 하나 90°밖에 차이나지 않는다. 그러나 시뮬레이션 결과도 90°가 차이나므로 실험이 맞는 것 같다. 이것은 커패시터의 영향으로 볼 수 있는 것 같다. 쉽게 해석하기 위하여 교류 해석시 단락 시키지만 실제로는 = 560Ω의 크기가 있어 이론값과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것 같고 위상이 -90°이므로 커패시터들과 저항들의 합성저항을 구하게 되면 크기에서는 저항이 훨신 크기 때문에 거의 차이가 없으나 위상에서는 차이가 나는 것 같습니다. 출력 저항에서 이론값과 약간의 차이도 이 커패시터로 인한 것 같습니다.
수고 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