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통신3사마케팅전략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동통신3사마케팅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1장 연구의 목적

1.SK Telecom

1. TTL의 출시배경 ...............................................................5

1) TTL의 의미 .........................................................5

2) TTL의 특징 .........................................................6

(가) TTL요금 ..........................................................6

(나) TTL 단말기 .......................................................6

(다) TTL 카드 .........................................................6

(라) TTL College ......................................................7

(마) TTL Zone .........................................................7

3) TTL에 대한 시장 반응 조사(Launching과정) ...........................7

2. KTF(KT FreeTel) .................................................9

2. Bigi의 출시배경 .................................................9

1) Bigi의 의미 .....................................................9

2) Bigi의 특징 .....................................................9

3) 차별화 전략 .....................................................10

3. LG Telecom(엔젤서비스) .....................................12

3. 엔젤서비스 출시배경 .......................................12

1) 엔젤서비스의 의미 ..........................................12

2) 엔젤서비스의특징 ...........................................12

3) 차별화 전략 ................................................13

4. 결론 ................................................................13

5. 느낀점 .............................................................14

6. 참고 문헌 및 참고 사이트 ...................................14

본문내용

비스)
3. 엔젤서비스 출시배경
현재 이동통신 가입자는 단말기 Care에 대한 관심이 높은 반면 이동통신 사업자는 이에 대해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아 단말기 고장, 분실등이 발생할 경우 새로운 기기를 구입하거나 A/S센터를 직접 찾아가 수리를 맡겨야 하는 등 경제적/시간적 손실을 감수해야만 했었다.
일부 이동통신 사업자(LG텔레콤, KTF)의 경우 제한된 지역에서 특정 가입자(고 ARPU 가입자)에게만 고장난 단말기를 수거해 주고 임대폰 대여등의 혜택을 제공하는게 고작이었다.
이에 LG텔레콤은 단말기 고장/분실에 대한 고객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경제적/시간적 문제를 해소시키기 위해 200여명에 이르는 대규모의 엔젤을 구성하고 13일부터 LG텔레콤 고객을 대상으로 엔젤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 것이다.
1) 엔젤서비스의 의미
단말기 고장/분실 시 직접 찾아가서 한번에 해결 
2) 엔젤서비스의특징
■이동통신 사업자 최초로 단말기 고장/분실 등에 대해 끝까지 책임을 지는 엔젤 서비 스를 13일부터 시작
■엔젤 서비스를 위해 200여명에 이르는 대규모 인력(엔젤) 구성
■단말기 고장 또는 분실이 있을 때 LG텔레콤 엔젤서비스 센터(019-1004)로 연락을
하면 엔젤이 직접 고객이 원하는 장소로 찾아가 임대폰 무료 대여 및 고장폰에 대해선 A/S 수리 대행까지
■단말기 A/S시 유상 수리비가 발생할 경우 2만원 초과분에 대해 한도를 정하여 수리 비용 지원
■고객이 직접 접점을 통해 임대폰, A/S 수리 요청등을 할 것에 대비 LG텔레콤의 ez-post 등 1,200여 곳에서도 접수가 가능하도록
■LG텔레콤 전 고객은 시간과 돈을 절감함은 물론 LG텔레콤만이 제공하는 최고의 서비스 를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전망
3)차별화 전략
LG텔레콤은 국내 최저 요금제 출시, 멤버십 통합, 통화품질 향상, 고객불만 총량관리제 등 고객사랑경영 실천을 위해 다양한 고객 만족을 위해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중이다.
그 중 엔젤 서비스는 고객이 단말기 분실 또는 고장이 있을 때 LG텔레콤 엔젤서비스 센터(무선 : 019-1004 / 유선 : 019-114)로 연락을 하면 엔젤이 직접 고객이 원하는 장소로 찾아가 임대폰 무료 대여 및 고장폰에 대해선 A/S 수리 대행까지 해주는 제도.
(엔젤 방문 비용은 고객 등급별로 차등 운영)
특히 LG텔레콤은 단말기 분실 고객에게는 7일간, A/S 수리를 맡긴 고객에게는 A/S 수리가 끝나는 시점까지 무료 임대폰을 제공, 단말기 분실 또는 고장 수리기간 중에도 중단없는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했다.
한편 LG텔레콤은 LG텔레콤 고객이 단말기 고장으로 인한 단말기 A/S시 유상 수리비가 발생할 경우 2만원 초과분에 한해 고객 등급별(VIP, 우수, 일반)로 한도를 정하여 수리비용을 지원해줄 방침이다.
이외에 엔젤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고 고객이 직접 접점을 통해 임대폰, A/S 수리 요청등을 할 것에 대비 LG텔레콤의 ez-post 등 1,200여 곳에서도 접수가 가능하도록 했다.
이번 LG텔레콤이 이동통신 사업자로 실시하는 엔젤 서비스 실시에 따라 LG텔레콤 전 고객은 시간과 돈을 절감함은 물론 LG텔레콤만이 제공하는 최고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4. 결론
1)SK Telecom TTL과 KTF의 Bigi와의 비교 분석

☞ 유사점
▶거의 대부분의 서비스가 유사했습니다. 제공 목적도 같고 서비스 유형도 비슷했습니다.
(멤버쉽 카드의 발급을 통한 고객관리, 유무선 인터넷 사이트 운영, 사이버 고객
센터의 운영등)
<종합비교 (2)>
☞. 차이점
▶가장 큰 차이점은 셀룰러 폰과 PCS폰이라는 점이였습니다. 이로 인해 가격경쟁력에서는 KTF우위를 차지 하고 있습니다.
▶같은 목적의 서비스라도 제공방법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정고객의 분류에서 차이가 나고 있습니다. 가입자 상황에서도 SK가 좀 더 연령층이 높았습니다. 그에 따라 웹 디자인에서 SK의 경우에는 단순함을 추구 했고, KTF경우에는 귀엽고 깜찍한 이미지를 추구하고 있었습니다.

▶First Mover로서의 이점
▶기업 이미지 강화   PCS보다는 좀더 고풍스럽게 느낌(고 연령층의 가입이 많은 이유 中 하나)
▶우수한 통화 품질
▶고객의 요구에 신속하게 반응&고객의 데이터 분석을 통한 서비스제공(성공사례 : TTL)
▶단, 가격면에서는 열등함

▶가격 경쟁력 있음
▶가입자의 연령이 상대적으로 낮음, 고객의 욕구 반영이 빠를수도 있음
(즉각적인 대처가능)
2) LG Telecom(엔젤서비스)
LG Telecom은 다른 두 경쟁업체에게 눈에 띄게 뒤떨어져 있는게 사실인 것 같았습니다.
그래서 요즘 차별화 전략으로, 국내 최저 요금제등 여러 가지 서비스로 공약 중이지만,
아직 LG는 고장이 많고 통화품질에서 불만족스럽다는 이미지를 깨기에는 시간이 많이
걸릴 것 같습니다.
5. 느낀점
개인과 조직의 목표를 이윤를 충족시키 위한 아이디어, 제품, 서비스의 개념화, 가격, 기획하고 실행하기 위한 과정 인데, TTL과 bigi, 엔젤 서비스와 같은 사례를 살펴보았듯이 마케팅은 기업경영에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마케팅의 하위 부분인 광고비가 엄청나게 소요되는 것도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일 것입니다. 그리고 광고뿐만 아니라 홍보, 판촉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기업은 소비자들에게 접촉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이렇듯 소비자와의 꾸준한 접촉은 기업의 존속을 위해 아주 중요한 문제인 것입니다. 만약 기업이 마케팅을 하지않는다면 결국에는 소비자에게 잊혀지게 되고, 기업의 목표인 이윤추구도 어려워 질것입니다.
6.참고 문헌 및 참고 사이트
월간 마케팅, 10월호
SK텔레콤 (011) http://www.sktelecom.com/
한국이동통신 (016) http://www.ktf.co.kr/
LG텔레콤 (019) http://www.lgtelecom.co.kr
재정경제부 http://www.mofe.go.kr/
통계청 http://www.nso.go.kr/
정보통신부 http://www.mic.go.kr/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0.04.25
  • 저작시기2004.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27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