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 용어 정리 (참신한 내용)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마케팅 용어 정리 (참신한 내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MD력 제고를 목적으로 PB의 개발 및 통합 관리를 강력히 추진하고 있다
12. 프랜차이즈 조직(Franchise Organization)
배타적 유통을 위한 특별한 조직 형태로서 성공적인 대형 소매유통 조직이 일정한 수수료를 받고 기존 체제의 추종에 동의하는 하위 조직에게 자사 사업에의 참여를 허용하는 특약 조직이다. 1980년대 이후 미국에서 가장 급속히 성장한 소매형태로서 미국 전체로 보아 50만개 이상의 프랜차이즈 조직이 전체 소매 매출액의 1/3을 점하고 있고, 2000년까지는 그 비중이 50% 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된다.
13. 프로슈머 마케팅(Prosumer Marketing)
앨빈 토플러 등 미래학자들이 예견한 상품개발 주체에 관한 개념으로 기업의 생산자와 소비자를 합성한 말. 기업들이 신제품을 개발할 때 일방적으로 기획, 생산하여 소비자 욕구를 파악하던 단계에서 최근에는 고객의 만족을 강조하고 있다. 프로슈퍼 마케팅 개념은 이 단계를 뛰어 넘어 소비자가 직접 상품 개발을 요구하며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기업이 이를 수용해 신제품을 개발하는 것으로 고객 만족을 최대화시키는 전략이다. 국내에서도 컴퓨터, 가구, 의류회사 등에서 공모 작품을 적극 수용하고 있다.
14. 프로스팩팅(Prospecting)
자격을 갖춘 잠재고객을 찾는 과정을 프로스팩팅(Prospecting)이라 한다. 프로스팩팅의 방법은 전고객 탐색법(Cold canvassing), 연쇄 추적법(Endless chain referral method), 전시회(Exhibition) 및 실물선전(Demonstration), 핵심영향방법(Center of influence method), 직접우편(Direct mail), 전화 및 텔레마케팅(Telemarketing), 관찰, 네트웍킹(Networking) 등이 있다. 전고객 탐색법은 사전에 고객이 특정 제품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지에 관한 정보 없이 접근하여 판매를 성사시키는 방법인데 가능한 한 많은 리더에 접근함으로써 판매를 높일 수 있다. 연쇄 추적법은 접촉하는 잠재고객으로부터 사람들을 추천받아서 여러 사람을 거치면서 구매의 가능성이 높은 고객을 발굴하는 방법으로 보험상품의 판매와 타퍼웨어(Tupperware) 같은 제품의 판매에 널리 적용되는 방법이다. 핵심 영향방법이란 잠재고객을 확보하기 위하여 해당 지역에 있는 사람의 도움을 받거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을 양성하여 잠재고객을 발굴하는 방법이다.
1. 한정서비스 도매상(Limited­Service Wholesalers)
그들의 고객에게 소수의 한정된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형태의 도매상이다. 즉, 완전서비스 도매상은 유통 경로에서 수행되어지는 대부분의 도매상 기능을 수행하고 있지만 한정 서비스 도매상은 이들 기능 중 일부만을 수행한다. 한정 서비스 도매상에는 현금거래 도매상, 트럭 도매상, 낙하 선적인, 선반 중개인 등이 있다. 현금거래 도매상은 회전이 빠른 한정된 계열의 제품만을 소규모의 소매상에게 현금 지불을 조건으로 판매를 하며 배달은 하지 않는다. 트럭 도매상은 트럭 중개상(Truck jobber)이라고도 하며 주로 판매와 배달 기능을 중심으로 영업을 한다. 이들은 식료품을 중심으로 한 부패성이 강한 한정된 제품 계열을 취급하여 슈퍼마켓, 소규모 채소 상인, 병원, 음식점, 호텔 등을 순회하면서 현금 판매를 한다. 낙하 선적인(Drop shipper)은 석탄, 목재, 중장비 등의 산업에서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접수하면 현상을 통해 합의된 조건과 배달시간에 따라 고객에게 직접 제품을 선적 운반한다. 선반 중개인은 주로 비식료품 분야인 잡화 및 의약품 소매상을 대상으로 영업을 한다. 이들 소매상들은 많은 제품들에 대한 직접적인 진열과 독자적인 주문 절차를 싫어하므로 선반 중개인은 점포까지 트럭 배달을 해주고 배달원은 제품을 선반에 쌓아 놓은 역할까지 수행한다.
2. 한정적 의사결정(限定的 意思決定, Limited Decision Making)
한정적 의사결정은 습관적 의사결정과 광범위한 의사결정의 중간 유형에 속한다. 그러나 이의 가장 단순한 형태(최저 수준의 구매 관여)는 습관적 의사결정과 매우 유사하다. 예컨대, 진열된 상품을 보고 그것을 구매하는 경우가 있다. 사실 소비자들이 슈퍼마켓 같은 장소에서 매일매일 구매하는 제품들에 대해서는 제한된 정보 탐색이나 대안 평가를 거쳐 구매가 이루어지는데, 이런 경우가 한정적 의사결정의 일반적 사례라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렇게 의사결정이 되는 경우에는 정보 탐색이 별로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소비자들의 눈에 쉽게 뜨이도록 소매점에서의 진열과 가격 표시, 배치 등 판매시점 광고가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3. 할인 특별판매
할인 특별판매란 일정 기간동안 가격을 할인하여 판매하는 행위로서,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첫째, 재고품, 불량품의 상설 할인판매, 점포 정리를 위한 할인판매는 허용된다. 그러나 바겐세일, 대특매 등 할인특매의 인상을 줄 수 있는 용어의 사용을 금지한다. 둘째, 시장법상의 백화점, 대형점, 슈퍼마켓, 식품, 일용잡화 이외의 전문점이나 직영점에서는 회수에 제한이 없지만 특별기획 판매를 포함하여 연간 90일 이내에서 할인특매를 할 수 있다. 셋째, 할인 특매할 때에는 대상품목, 비교 대조가격과 할인율, 판매 후 교환여부, 백화점의 경우 임대 점포의 참가 여부 등을 명시하여 광고하도록 한다. 넷째, 할인판매와 관련하여 부당한 고객유인 행위, 부당한 가격 표시, 허위 과장 광고, 변칙적인 할인특매를 금지하고 있다. 부당 고객유인 행위는 표시기간의 경과, 연간 90일의 초과, 할인특매품을 별도로 구입하여 판매하는 행위 등을 뜻한다. 부당표시 행위란 할인율의 부당표시, 불량품을 정상품으로 표시하는 등의 행위를 뜻한다. 허위 과장 광고에는 일부 품목, 일부 매장의 할인특매를 전 품목, 전매장의 할인판매인 것처럼 광고하는 행위, 할인품목 수의 과장, 할인품목의 재고가 부족함에도 충분한듯 과장하여 많은 상품을 구매하도록 하는 행위, 할인특매 기간이 경과한 후에도 광고물을 부착시키는 행위 등이 포함되어 있다.
  • 가격3,000
  • 페이지수57페이지
  • 등록일2010.04.25
  • 저작시기2005.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27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