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음식 상차림 및 레시피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추석음식 상차림 및 레시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추석
1) 추석의 어원
2) 추석의 유래
3) 추석의 풍속
2. 차례
1)차례
2)차례순서
3)제수의종류

Ⅱ. 본 론
1. 추석음식 차례상차림
2. 추석음식 레시피
3. 추석음식 의미

Ⅲ. 결 론

* 소감
* 참고문헌, 자료출처

본문내용

Ⅰ. 서 론
1. 추석 (음력 8월 15일)
(1) 어원
추석은 「예기(禮記)」의 ‘조춘일(朝春日) 추석월(秋夕月)’에서 나온 것이다. 또한 중추절(仲秋節)이라 하는 것도 가을을 초추.중추.종추 3달로 나누어 음력 8월이 중간에 들었으므로 붙은 이름이다.
또 한가위의 한은 ‘하다(大.正)’의 관형사형이고, 가위란 ‘가배(嘉俳)’를 의미한다.
(2) 유래
기원이나 유래에 대해서는 정확히 밝힐 수는 없지만, 고대로부터 있어 왔던 달에 대한 신앙에서 그 뿌리를 짐작 할 수 있다. 밤이 어두우면 맹수의 접근도 알 수 없고 적의 습격도 눈으로 볼 수가 없기에 만월은 고마운 존재였고 그 결과 만월 아래에서 축제를 벌이게 되었다. 그래서 만월의 밤 중에서도 일년 중 가장 큰 만월을 이루는 8월 15일인 추석이 된 것이다. 만월 아래에서 축제를 벌이고 먹고 마시고 놀면서 춤추었으며, 줄다리기, 씨름, 강강수월래 등의 놀이가 자연스럽게 형성되었다.
(3) 풍속
추석에 행해지는 세시풍속으로는 벌초(伐草), 성묘(省墓), 차례(茶禮), 소놀이, 거북놀이, 강강수월래, 원놀이, 가마싸움, 씨름, 반보기, 올게심니. 밭고랑 기기 등을 들 수 있다.
- 반보기 : 추석이 지난 다음 서로 만나고 싶은 사람들끼리 일자와 장소를 미리 정하고 만나는 것.
옛날에 시집간 여자들은 마음대로 친정나들이를 할 수가 없었기 때문에 모녀 사이에 중간 지점을 정해서 서로 즐기는 음식을 장만하여 만나 한나절 동안 회포를 푸는 것. 또 한 마을의 여인들이 이웃 마을의 여인들과 경치 좋은 곳에 모여 우정을 두터이 하며 하루를 즐기는 것.
- 올게심니 : 추석을 전후해서 잘 익은 벼, 수수, 조 등 곡식의 이삭을 한 줌 베어다가 묶어 기둥이나 대문 위에 걸어두는 것. 이것을 다음해에 씨로 쓰거나 떡을 해서 사당에 천신 하거나 터주에 올렸다가 먹는다. 올게심니를 하는 것은 다음해에 풍년이 들게 해달라는 기원의 뜻이다.
2. 차 례
(1) 차례
차례는 음력 매월 초하룻날과 보름날, 그리고 명절이나 조상의 생신에 지내는 간소한 약식제사입니다. 차례는 명절날 아침에 각 가정에서 기제를 지내는 조상의 신주나 지방 또는 사진을 모시고 지냅니다. 기제를 지내는 조사이란 고조부모까지 4대를 제사를 지내는 가정일 경우 고조부모, 증조부모, 조부모, 그리고 돌아가신 부모 등 여덟 분의 조상을 말합니다. 차례는 기제를 지내는 장손의 집에서 지내는 것이 원칙이지만 지방이나 가문의 전통에 따라 한식이나 추석에는 산소에서 지내기도 합니다. 또한 축문을 읽지 않고, 술을 한 잔만 올린다고 하나, 지방이나 집안 전통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추석에는 햅쌀로 송편을 빚어 햇과일과 함께 올립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0.04.26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6031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