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가. 신입사원 선발시 심리검사
1. 인성검사
2. 적성검사
제2장
나. 심리검사의 특징
1. 심리검사의 특징
2. 심리검사의 기본요건
다. 현재 기업에서 인사선발을 위해 사용중인 심리검사
1.대표적인 인사 심리검사로 포함이되는 검사의 종류
제3장
라. 심리검사의 필요성
마. 심리검사의 도입으로 얻는 이점
※참고 문헌※
가. 신입사원 선발시 심리검사
1. 인성검사
2. 적성검사
제2장
나. 심리검사의 특징
1. 심리검사의 특징
2. 심리검사의 기본요건
다. 현재 기업에서 인사선발을 위해 사용중인 심리검사
1.대표적인 인사 심리검사로 포함이되는 검사의 종류
제3장
라. 심리검사의 필요성
마. 심리검사의 도입으로 얻는 이점
※참고 문헌※
본문내용
SK 종합적성검사 응시.
이 검사는 SK에서 요구하는 기초자질인 ‘패기(적극적 사고, 진취적 행동, 빈틈 없고 야무진 일 처리), 경영 지식, 사교 자세 및 직무수행 능력 등을 평가하기 위한 검사임.
인성 검사 : 직장생활에 요구되는 사교성, 대인관계 능력, 사회성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
적성 검사 : 어휘력, 수리력, 판단력, 추리력, 창의력, 분석력 등 8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사 고의 합리성과 종합적 문제 해결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
인적성검사
서류전형 합격자에 한해서 실시함
객관식으로 인성 400문항 40분, 적성검사는 IT분야의 S/W직군만 실시 118문항
70분, 인성검사는 On/Off Line 둘 다 가능하나 적성검사는 Off Line으로만 가능
②-① 검사의 목적
㉠ 학력, 전공, 연령 등의 배경정보
㉡ 정신적 능력 및 성향 파악
㉢ 직무에 적합한 능력 측정
㉣ 지원자의 배경정보 및 능력 성향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
㉤ 지원자의 신체적 능력 및 직무 가능성을 파악
[출처] 주요 대기업 "직무적성검사" 요약|작성자 김주현
라. 심리검사의 필요성
심리검사는 현재 특별한 문제가 없더라도 자기이해 및 잠재력 개발, 진로탐색 등의 목적과 부적응 문제의 예방 목적을 위해서 언제든지 누구나 받아볼 수 있다. 특히 아동 및 청소년에게 인지적, 사회적, 심리적으로 중요한 변화가 일어나는 시기에는 원만한 학교생활의 적응은 물론 학업능력의 향상, 잠재력 개발, 진로선택 등을 위해 심리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필요하기도 하고 신입사원 선발 과정에서 서류상으로 지원자의 모든면을 파악하기 때문에 기업의 입장에서는 입사기준을 나눌수가 있으며 더욱 가능성있는 지원자를 파악하며 직무성격과 잘 융화되는 사원을 선별 할 수있다.
마. 심리검사의 도입으로 얻는 이점
개인에 관한 자료 수집과정에서 주관적 판단을 방지해주며, 개인간 비교를 가능하게 함.
임상관찰법, 면담법으로 지원자의 행동을 다른 개인의 행동과 비교할 수 없는데 반해 심리검사는 양적 측정을 통해 개인간 행동을 비교할 수 있고 개인 내 비교도 가능하다.
일회적이거나 횡단적 시행을 통하여 개인의 행동을 부분적으로나 전체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심리검사의 신뢰도가 높을수록 검사 결과에 일관성있게 나타나지며 평균적인 지표로 활용 할 수있다.
※참고 문헌※
[출처] 주요 대기업 "직무적성검사" 요약|작성자 김주현
[출처] 네이버 백과사전
[출처] 네이버 심리검사 카페
이 검사는 SK에서 요구하는 기초자질인 ‘패기(적극적 사고, 진취적 행동, 빈틈 없고 야무진 일 처리), 경영 지식, 사교 자세 및 직무수행 능력 등을 평가하기 위한 검사임.
인성 검사 : 직장생활에 요구되는 사교성, 대인관계 능력, 사회성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
적성 검사 : 어휘력, 수리력, 판단력, 추리력, 창의력, 분석력 등 8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사 고의 합리성과 종합적 문제 해결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
인적성검사
서류전형 합격자에 한해서 실시함
객관식으로 인성 400문항 40분, 적성검사는 IT분야의 S/W직군만 실시 118문항
70분, 인성검사는 On/Off Line 둘 다 가능하나 적성검사는 Off Line으로만 가능
②-① 검사의 목적
㉠ 학력, 전공, 연령 등의 배경정보
㉡ 정신적 능력 및 성향 파악
㉢ 직무에 적합한 능력 측정
㉣ 지원자의 배경정보 및 능력 성향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
㉤ 지원자의 신체적 능력 및 직무 가능성을 파악
[출처] 주요 대기업 "직무적성검사" 요약|작성자 김주현
라. 심리검사의 필요성
심리검사는 현재 특별한 문제가 없더라도 자기이해 및 잠재력 개발, 진로탐색 등의 목적과 부적응 문제의 예방 목적을 위해서 언제든지 누구나 받아볼 수 있다. 특히 아동 및 청소년에게 인지적, 사회적, 심리적으로 중요한 변화가 일어나는 시기에는 원만한 학교생활의 적응은 물론 학업능력의 향상, 잠재력 개발, 진로선택 등을 위해 심리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필요하기도 하고 신입사원 선발 과정에서 서류상으로 지원자의 모든면을 파악하기 때문에 기업의 입장에서는 입사기준을 나눌수가 있으며 더욱 가능성있는 지원자를 파악하며 직무성격과 잘 융화되는 사원을 선별 할 수있다.
마. 심리검사의 도입으로 얻는 이점
개인에 관한 자료 수집과정에서 주관적 판단을 방지해주며, 개인간 비교를 가능하게 함.
임상관찰법, 면담법으로 지원자의 행동을 다른 개인의 행동과 비교할 수 없는데 반해 심리검사는 양적 측정을 통해 개인간 행동을 비교할 수 있고 개인 내 비교도 가능하다.
일회적이거나 횡단적 시행을 통하여 개인의 행동을 부분적으로나 전체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심리검사의 신뢰도가 높을수록 검사 결과에 일관성있게 나타나지며 평균적인 지표로 활용 할 수있다.
※참고 문헌※
[출처] 주요 대기업 "직무적성검사" 요약|작성자 김주현
[출처] 네이버 백과사전
[출처] 네이버 심리검사 카페
추천자료
실버산업
산업재해보상보험
실버산업의 꽃, 실버타운
e-sports산업의 발전과 기업스폰서쉽의 효과와 영향에 대한 연구분석
[MP3][P2P][음반산업][음반시장][음악산업][소리바다][MP3플레이어]MP3의 개념, MP3의 기술배...
우리나라실버산업의현황과앞으로의육성방안
산업복지론- 기말고사
산업재해보상보험법
[경쟁광고, 정보처리유형, 광고산업, 광고효과, 광고규제]경쟁광고와 정보처리유형, 경쟁광고...
실버산업의 전망과 과제
산업안전보건 관련 법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산업사회복지사의 딜레마는 무엇이 있는지 이야기 하시오.
게임산업 레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