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Ⅱ. 한자차용표기법 1. 한자(漢字)의 전래 2. 한자어 정착의 과정 (1) 순 외국어로서의 한어(B.C.195-313) (2) 외래어로서의 한어 (313-935 통일신라말) (3) 귀화어로서의 한어 (고려- 현재) 3. 삼국시대의 한자음 (1) 고구려의 한자음 (2) 신라의 한자음 4. 차용한자의 표기법 (1) 고유 명사 표기 (홀로 이름씨의 표기) (2) 서기체 Ⅲ. 이두, 구결, 향찰 1. 이두 2. 구결 3. 향찰 4. 이두, 구결, 향찰의 차이점 Ⅳ. 나오며 1. 구결과 향찰 2. 서기식 표기와 어순에 대한 인식 3. 차자표기 4. 차자표기법에서의 고유명사표기 5. 차자표기의 시대에 따른 변화과정 6. 차자표기의 원리와 방법 및 분류 7. 한자의 정착과 차자표기법의 배경
추천자료
한자 차용 표기법의 원리와 이두, 구결, 향찰의 차의점을 설명하시오.
(맞춤법과표준어A형한자 차용 표기법의 원리와 이두, 구결, 향찰의 차이점
2009년 1학기 맞춤법과표준어 중간시험과제물 공통(한글표기법,한글맞춤법)
2008년 1학기 맞춤법과표준어 중간시험과제물 A형(두음법칙)
2007년 1학기 맞춤법과표준어 B형(한글표기법)
2007년 1학기 맞춤법과표준어 E형(한글맞춤법)
2007년 1학기 맞춤법과표준어 D형(한글자모의순서와이름변천)
2007년 1학기 맞춤법과표준어 C형(개화기의 어문 정리 운동)
2010년 1학기 맞춤법과표준어 중간시험과제물 공통(현행 한글맞춤법의 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