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과표준어A형한자 차용 표기법의 원리와 이두, 구결, 향찰의 차이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맞춤법과표준어A형한자 차용 표기법의 원리와 이두, 구결, 향찰의 차이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한자 차용 표기법의 원리
1) 외국어 익히기
2) 고유 명칭 적기 : 차자 표기법의 맹아
3) 국어 어순대로 적기 : 서기체 표기
3) 문법 형태소 적기 : 이두
4) 한자로 완벽하게 우리말 적기 : 향찰
5) 한문 낭독의 양념 : 구결
2. 이두, 구결, 향찰의 개념적 고찰
1) 이두
2) 향찰
3) 구결
3. 이두, 구결, 향찰의 비교 분석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붙이는데 그 토씨로 사용할 한글이 없으므로 한자를 빌어 사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子曰 吾十有五而志于學하고 三十而立하고 四十而不惑하고.....
이런 식으로 "하고"라는 토씨를 붙이면 띄어읽기도 되고 해석할 때 접속사 역할도 한다. 즉 한문 학습이 훨씬 편해지는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이 "하고"나 "하니" 등의 토씨를 한글이 없을 때는 하는 수 없이 한자를 빌어서 표기해 주는 수밖에 없다.
하고 : 爲古 - 爲(하 위 : 여기서는 뜻부분 '하'를 취함), 古(옛 고 : 여기서는 음부분 '고'를 취함)
하니 : 爲尼 - 爲(하 위 : 여기서는 뜻부분 '하'를 취함). 尼(중 니 : 여기서는 음부분 '니'를 취함)
즉 '하고'가 들어갈 자리에는 '爲古'를 쓰고 읽기는 '하고'로 하자고 약속을 정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런식으로 구결을 그대로 사용하면 더 복잡해지고 혼동될 수 있으므로, 이 글자들의 간자체를 이용하여 부호를 만들어 사용했다. 이것은 일본어 문자인 히라가나 방법과도 같다.
향찰문자도 위 경우와 운영원리는 동일하다. 예를 들면,
去隱春皆理米(득오의 모죽지랑가 첫구, 간봄 그리매)
去(갈 거: 뜻부분의 '가다'에서 '가'를 사용)
隱(숨을 은: 음부분 '은'에서 'ㄴ'만 취해옴. 그래서 앞의 가와 결합시켜 '간')
春(봄 춘 : 뜻부분의 '봄'을 그대로 사용)
皆(다 개 : 음부분의 '개'를 '그'와 비슷하게 소리나므로 빌어 옴)
理(이치 리 : 음부분의 '리'를 그대로 빌어 사용)
米(쌀 미 : 음부분의 '미'가 '매'와 비슷한 소리이므로 빌어 옴)
이런 식으로 우리말로 부른 노래를 표기할 때는 한자의 음이나 뜻 부분의 전체나 일부를 빌어서 사용하는 방식이 향찰 문자 체제인 것이다.
Ⅲ. 결 론
지금까지 한자 차용표기법의 원리를 알아보고, 이두, 구결, 향찰의 의미와 차이점 등을 예를 들어 자세히 알아보았다.
훈민정음 이전에는 차자 표기법, 문법 형태소 적기 등으로 한문을 차용하여 표기하였으며 이 중심에는 이두와 구결, 향찰 등이 자리하고 있다. 이두는 실질적인 의미를 가진 부분은 한문이나 한자어를 그래도 썼고, 문법적인 관계만을 나타내는 조사나 어미, 접사, 그리고 몇몇 부사를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서 표기했으며, 향찰은 실질적인 낱말의 의미를 가진 부분은 뜻을 빌려 적고, 낱말 뜻과 관계없는 문법적인 요소는 소리를 빌려 표기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구결은 한문을 낭송할 때 음률을 맞추기 위하여 한자의 음과 훈을 차용하여 원문에 토를 다는 것을 의미한다.
Ⅳ. 참고문헌
1. 한글맞춤법 안내, 기주연, 도서출판 박이정, 2001.
2. 한글맞춤법의 이해, 나찬연, 도서출판 월인, 2002.
3. 우리말 알고 쓰기, 김기혁 외 4명, 경진문화사, 2003.
4. 拙著(1981), 「借字表記法硏究」, 檀大出版部
5. 拙著(1980), 漢字?漢文의 受容과 借字表記法의 發達 「80 學術大會發表論文」, 韓國精神文化硏究院
6. http://www.gojunlife.com/zboard/zboard.php?id=jilmun&no=60
  • 가격2,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04.07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29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