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1학기 한국가정생활사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3장 혼례 제5장 상례 제6장 제례 - 출제예상문제 및 해설 -

본문내용

제2부 한국인의 일생 제3장 혼례 1. 주자가례 도입 이전의 혼례 (1) 고구려의 서옥제 우리나라 혼례의 가장 옛 모습을 유추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이는 여자의 부모가 혼인을 허락하면 남자는 장가를 들어 여자 집에서 혼례를 올림 (2) 고구려의 서옥제에 연유한 혼인풍습 ① 사위가 여가에 얼마간 머물다 본가에 돌아간다는 의미: 서류부가혼 또는 남류여가혼 ② 실제 민간에서는 흔히 신부가 친정에서 여러 해를 묵힌다 하여??해묵이??, 몇 달간 시댁으로 가면??달묵이??라고 함 (3) 조선후기의 혼례 우리나라 고유의 여자 집 혼례식과 가례의 교배ㆍ합근례의 의식을 결합시킨 형태 2. 중국의 혼례규범과 다른 우리나라의 혼인관행 (1) 육례와 사례: 도입된 혼례규범 ① 혼례의 육례: 납채 - 문명 - 납길 - 납징 - 청기 - 친영 ② 주자가례의 사례(四禮): 의혼 - 납채 - 납폐 - 친영 ③ 육례와 사례: 모두 우리나라에 도입되었으나, 이 중에서 친영례는 끝까지 수용되지 못하였음 (2) 육례 ① 납채(納采): 남가에서 중매인을 내세워 여가에 청혼하며, 이때 예물을 여가에 보냄 ② 문명(問名): 시부 어머니의 성(姓)을 묻는다. ③ 납길(納吉): 연경으로 길흉을 점치고, 길조이면 여가에 답장을 함 ④ 납징(納徵) 또는 납폐(納幣): 남가로부터 여가에 선물을 보내어 혼인약속의 증거로 삼고 혼서를 교환하면 이것이 곧 정혼한 것 ⑤ 청기(請期): 남가에서 혼인 날짜를 택하여 여가에 어떠한가를 묻는다. ⑥ 친영(親迎): 정해진 혼인날 신랑이 여가에 가서 신부를 맞이하여 남가에 돌아와서 공뢰합근의 혼례를 행하면 성혼이 됨 - 중략 -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학년/학기3학년/1학기
  • 해당자료학과가정학과(가정관리)
  • 자료출간일2010.03.15
  • 파일형식아크로뱃 뷰어(pdf)
  • 자료번호#6054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