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도입배경과 목표
2. 기관평가의 개념
3. 기관평가 제도정착의 한계와 과제
2. 기관평가의 개념
3. 기관평가 제도정착의 한계와 과제
본문내용
는 간접적 판단요소를 사용하여 각 기관의 경영능력을 우회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 즉 직접적 역량평가요소인 조직인사재정정보관리지도력 등에 대한 접근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 따라서 어느기관에서 추진성과(또는 부진)가 있을시 이러한 성과 또는 부진요인이 역량평가의 직접적인 요소와의 연관관계를 찾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ㅇ 기관평가 관리모델의 대상이 제한적한정적 행정요소에 국한
- 주요정책과제는 각 기관의 대표성중요한 과제 3개 내외를 선정하여 기관평가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제외과제는 각부처 자체평가로 수행토록 하고 있다.
- 각 기관의 조직자체의 기능인력의 평가는 대상에서 제외되어 기관평가의 포괄적 접근방식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ㅇ 기관간 비교평가 방식의 미정착
기관평가의 결과에 대한 산출물이 정성적 평가(비례량적)중심으로 기술되고 있다. 즉 정성적 평가로 이루어진 내용물에 근거하여 계량적 평가 산출물이 모든분야에 동시에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 따라서 정성적 평가중심의 기관간 차별화된 기술적 평가만으로는 경쟁유인에 애로를 겪고 있으므로 보다더 발전된 기관평가의 계량화 모델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 현재는 계량적 평가를 부분적으로 활용
- 즉 직접적 역량평가요소인 조직인사재정정보관리지도력 등에 대한 접근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 따라서 어느기관에서 추진성과(또는 부진)가 있을시 이러한 성과 또는 부진요인이 역량평가의 직접적인 요소와의 연관관계를 찾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ㅇ 기관평가 관리모델의 대상이 제한적한정적 행정요소에 국한
- 주요정책과제는 각 기관의 대표성중요한 과제 3개 내외를 선정하여 기관평가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제외과제는 각부처 자체평가로 수행토록 하고 있다.
- 각 기관의 조직자체의 기능인력의 평가는 대상에서 제외되어 기관평가의 포괄적 접근방식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ㅇ 기관간 비교평가 방식의 미정착
기관평가의 결과에 대한 산출물이 정성적 평가(비례량적)중심으로 기술되고 있다. 즉 정성적 평가로 이루어진 내용물에 근거하여 계량적 평가 산출물이 모든분야에 동시에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 따라서 정성적 평가중심의 기관간 차별화된 기술적 평가만으로는 경쟁유인에 애로를 겪고 있으므로 보다더 발전된 기관평가의 계량화 모델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 현재는 계량적 평가를 부분적으로 활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