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Ⅱ. 프로그램의 구성
1. 집단의 구성
2. 집단상담 대상자
Ⅲ. 프로그램의 실제
1. 전체 프로그램
2. 2회기 프로그램
Ⅳ. 집단상담 사례
Ⅴ. 집단상담 결과 및 한계
․참고문헌
․붙임
Ⅱ. 프로그램의 구성
1. 집단의 구성
2. 집단상담 대상자
Ⅲ. 프로그램의 실제
1. 전체 프로그램
2. 2회기 프로그램
Ⅳ. 집단상담 사례
Ⅴ. 집단상담 결과 및 한계
․참고문헌
․붙임
본문내용
기성장 프로그램의 개발, 연세교육과학,
황연미(2003),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서원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황혜자 외 1인(2005), 대인관계증진 프로그램이 대인관계 및 자존감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한영숙(2005), 대학생을 위한 대인관계 훈련 집단상담 프로그램, 대구대학교 학생생활상담센터
안진옥(2006), Dale Carnegie 인간관계 증진 교육프로그램이 성인의 인간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붙임 < 대인관계 변화척도(RCS) >
각 문항을 잘 읽고 나에게 가장 적합한 것을 한 개 골라주세요. (총 25문제)
1. 나는 인간으로서, 나 자신에 대하여
① 매우 불만족 ② 다소 불만족 ③ 그저 그렇다. ④ 다소 만족 ⑤ 매우 만족
2. 나는 인간으로서, 다른 사람에 대하여
① 매우 불만족 ② 다소 불만족 ③ 그저 그렇다. ④ 다소 만족 ⑤ 매우 만족
3. 다른 사람들은 나를, 인간으로서 사람으로 볼 것이라고 생각한다.
① 매우 불만족스러운 ② 다소 불만족스러운 ③ 그저그런
④ 다소 만족스러운 ⑤ 매우 만족스러운
4. 다른 사람들은, 자기 자신을 인간으로서 사람으로 본다.
① 매우 불만족스러운 ② 다소 불만족스러운 ③ 그저그런
④ 다소 만족스러운 ⑤ 매우 만족스러운
5. 다른 사람들과 나의 관계는
① 매우 원만하지 못한 편이다. ② 다소 원만하지 못한 편이다.
③ 그저 그렇다. ④ 다소 원만한 편이다. ⑤ 매우 원만한 편이다.
6. 나는, 다른 사람의 바라는 것이나 욕구를
① 거의 깨닫지 못하는 편이다. ② 다소 깨닫지 못하는 편이다.
③ 그저 그렇다. ④ 다소 깨닫는 편이다. ⑤ 매우 잘 깨닫는 편이다.
7. 나는, 나 자신의 감정을
① 거의 깨닫지 못하는 편이다. ② 다소 깨닫지 못하는 편이다.
③ 그저 그렇다. ④ 다소 깨닫는 편이다. ⑤ 매우 잘 깨닫는 편이다.
8. 나는, 다른 사람의 감정을
① 거의 이해하지 못하는 편이다. ② 다소 이해하지 못하는 편이다.
③ 그저 그렇다. ④ 다소 이해하는 편이다. ⑤ 잘 이해하는 편이다.
9. 나는,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을 하는 것에
① 매우 어려움을 느끼는 편이다. ② 다소 어려움을 느끼는 편이다.
③ 그저 그렇다. ④ 다소 쉽게 느끼는 편이다. ⑤ 매우 쉽게 느끼는 편이다.
10. 다른 사람에 대한 나의 민감성(감수성)은
① 매우 느린 편이다. ② 다소 느린 편이다. ③ 그저 그렇다.
④ 다소 빠른 편이다. ⑤ 매우 바른 편이다.
11. 다른 사람에 대한 나의 온정적인 태도는
① 매우 적은 편이다. ② 다소 적은 편이다. ③ 그저 그렇다.
④ 다소 많은 편이다. ⑤ 매우 많은 편이다.
12. 다른 사람에 대한 나의 표현이나 개방성 정도는
① 매우 적은 편이다. ② 다소 적은 편이다. ③ 그저 그렇다.
④ 다소 많은 편이다. ⑤ 매우 많은 편이다.
13. 나는, 다른 사람의 느낌을 이해하는 것이
① 매우 어려움을 느끼는 편이다. ② 다소 어려움을 느끼는 편이다.
③ 그저 그렇다. ④ 다소 쉽게 느끼는 편이다. ⑤ 매우 쉽게 느끼는 편이다.
14. 나는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듣는 것이
① 매우 어려움을 느끼는 편이다. ② 다소 어려움을 느끼는 편이다.
③ 그저 그렇다. ④ 다소 쉽게 느끼는 편이다. ⑤ 매우 쉽게 느끼는 편이다.
15. 나는, 다른 사람을
① 거의 신뢰하지 않는 편이다. ② 다소 신뢰하지 않는 편이다.
③ 그저 그렇다. ④ 다소 신뢰하는 편이다. ⑤ 매우 신뢰하는 편이다.
16. 나는, 다른 사람에 대하여
① 매우 거리감을 느끼는 편. ② 다소 거리감을 느끼는 편.
③ 그저 그렇다. ④ 다소 친근감을 느끼는 편 ⑤ 매우 친근감을 느끼는 편
17. 나는, 인간관계에 있어서 자신감이
① 매우 적은 편이다. ② 다소 적은 편이다. ③ 그저 그렇다.
④ 다소 많은 편이다. ⑤ 매우 많은 편이다.
18. 나는, 의견의 불일치가 있을 때, 그것을(건설적으로)
① 매우 못 다루는 편이다. ② 다소 못 다루는 편이다. ③ 그저 그렇다.
④ 다소 잘 다루는 편이다. ⑤ 매우 잘 다루는 편이다.
19. 나는, 다른 사람과 대화에 어려움을
① 매우 느끼는 편이다. ② 다소 느끼는 편이다. ③ 그저 그렇다.
④ 다소 안 느끼는 편이다. ⑤ 매우 안 느끼는 편이다.
20. 나는, 다른 사람에 대한 긍정적인 느낌을
① 거의 표현하지 못하는 편이다. ② 다소 표현하지 못하는 편이다.
③ 그저 그렇다. ④ 다소 표현하는 편이다. ⑤ 많이 표현하는 편이다.
21. 나는, 다른 사람에 대한 부정적인 느낌을(건설적으로)
① 거의 표현하지 못하는 편이다. ② 다소 표현하지 못하는 편이다.
③ 그저 그렇다. ④ 다소 표현하는 편이다. ⑤ 많이 표현하는 편이다.
22. 나는, 나의 개인적인 관심사에 대해서 다른 사람과
① 거의 나누지 않는 편이다. ② 다소 나누지 않는 편이다.
③ 그저 그렇다. ④ 다소 나누는 편이다. ⑤ 많이 나누는 편이다.
23. 다른 사람이 나에 대한 느낌을 표현할 때, 그것을 믿고 받아들이는 정도는
① 매우 적은 편이다. ② 다소 적은 편이다. ③ 그저 그렇다.
④ 다소 많은 편이다. ⑤ 매우 많은 편이다.
24. 다른 사람이 나에 대한 부정적인느낌을 표현할 때, 건설적으로 대하는 나의 정도는
① 매우 적은 편이다. ② 다소 적은 편이다. ③ 그저 그렇다.
④ 다소 많은 편이다. ⑤ 매우 많은 편이다.
25. 나는, 다른 사람과 앞으로 대인관계를 어떻게 해야 할지를
① 거의 이해하지 못하는 편이다. ② 다소 이해하지 못하는 편이다.
하위 영역별 해당문항 및 분석
①번은 1점, ②번은 2점, ③번은 3점, ④번은 4점, ⑤번은 5점을 준다.
높은 점수일수록 인간관계 만족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 만족감 - 1, 2, 3, 4 ◈ 의사소통 - 9, 14, 18, 19 ◈ 신뢰감 - 15, 23, 24
◈ 친근감 - 5, 11, 16 ◈ 민감성 - 6, 10 ◈ 개방성 - 12, 17, 20, 21, 22
◈ 이해성 - 7, 8, 13, 25
③ 그저 그렇다. ④ 다소 이해하는 편이다. ⑤ 잘 이해하는 편이다.
황연미(2003),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서원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황혜자 외 1인(2005), 대인관계증진 프로그램이 대인관계 및 자존감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한영숙(2005), 대학생을 위한 대인관계 훈련 집단상담 프로그램, 대구대학교 학생생활상담센터
안진옥(2006), Dale Carnegie 인간관계 증진 교육프로그램이 성인의 인간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붙임 < 대인관계 변화척도(RCS) >
각 문항을 잘 읽고 나에게 가장 적합한 것을 한 개 골라주세요. (총 25문제)
1. 나는 인간으로서, 나 자신에 대하여
① 매우 불만족 ② 다소 불만족 ③ 그저 그렇다. ④ 다소 만족 ⑤ 매우 만족
2. 나는 인간으로서, 다른 사람에 대하여
① 매우 불만족 ② 다소 불만족 ③ 그저 그렇다. ④ 다소 만족 ⑤ 매우 만족
3. 다른 사람들은 나를, 인간으로서 사람으로 볼 것이라고 생각한다.
① 매우 불만족스러운 ② 다소 불만족스러운 ③ 그저그런
④ 다소 만족스러운 ⑤ 매우 만족스러운
4. 다른 사람들은, 자기 자신을 인간으로서 사람으로 본다.
① 매우 불만족스러운 ② 다소 불만족스러운 ③ 그저그런
④ 다소 만족스러운 ⑤ 매우 만족스러운
5. 다른 사람들과 나의 관계는
① 매우 원만하지 못한 편이다. ② 다소 원만하지 못한 편이다.
③ 그저 그렇다. ④ 다소 원만한 편이다. ⑤ 매우 원만한 편이다.
6. 나는, 다른 사람의 바라는 것이나 욕구를
① 거의 깨닫지 못하는 편이다. ② 다소 깨닫지 못하는 편이다.
③ 그저 그렇다. ④ 다소 깨닫는 편이다. ⑤ 매우 잘 깨닫는 편이다.
7. 나는, 나 자신의 감정을
① 거의 깨닫지 못하는 편이다. ② 다소 깨닫지 못하는 편이다.
③ 그저 그렇다. ④ 다소 깨닫는 편이다. ⑤ 매우 잘 깨닫는 편이다.
8. 나는, 다른 사람의 감정을
① 거의 이해하지 못하는 편이다. ② 다소 이해하지 못하는 편이다.
③ 그저 그렇다. ④ 다소 이해하는 편이다. ⑤ 잘 이해하는 편이다.
9. 나는,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을 하는 것에
① 매우 어려움을 느끼는 편이다. ② 다소 어려움을 느끼는 편이다.
③ 그저 그렇다. ④ 다소 쉽게 느끼는 편이다. ⑤ 매우 쉽게 느끼는 편이다.
10. 다른 사람에 대한 나의 민감성(감수성)은
① 매우 느린 편이다. ② 다소 느린 편이다. ③ 그저 그렇다.
④ 다소 빠른 편이다. ⑤ 매우 바른 편이다.
11. 다른 사람에 대한 나의 온정적인 태도는
① 매우 적은 편이다. ② 다소 적은 편이다. ③ 그저 그렇다.
④ 다소 많은 편이다. ⑤ 매우 많은 편이다.
12. 다른 사람에 대한 나의 표현이나 개방성 정도는
① 매우 적은 편이다. ② 다소 적은 편이다. ③ 그저 그렇다.
④ 다소 많은 편이다. ⑤ 매우 많은 편이다.
13. 나는, 다른 사람의 느낌을 이해하는 것이
① 매우 어려움을 느끼는 편이다. ② 다소 어려움을 느끼는 편이다.
③ 그저 그렇다. ④ 다소 쉽게 느끼는 편이다. ⑤ 매우 쉽게 느끼는 편이다.
14. 나는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듣는 것이
① 매우 어려움을 느끼는 편이다. ② 다소 어려움을 느끼는 편이다.
③ 그저 그렇다. ④ 다소 쉽게 느끼는 편이다. ⑤ 매우 쉽게 느끼는 편이다.
15. 나는, 다른 사람을
① 거의 신뢰하지 않는 편이다. ② 다소 신뢰하지 않는 편이다.
③ 그저 그렇다. ④ 다소 신뢰하는 편이다. ⑤ 매우 신뢰하는 편이다.
16. 나는, 다른 사람에 대하여
① 매우 거리감을 느끼는 편. ② 다소 거리감을 느끼는 편.
③ 그저 그렇다. ④ 다소 친근감을 느끼는 편 ⑤ 매우 친근감을 느끼는 편
17. 나는, 인간관계에 있어서 자신감이
① 매우 적은 편이다. ② 다소 적은 편이다. ③ 그저 그렇다.
④ 다소 많은 편이다. ⑤ 매우 많은 편이다.
18. 나는, 의견의 불일치가 있을 때, 그것을(건설적으로)
① 매우 못 다루는 편이다. ② 다소 못 다루는 편이다. ③ 그저 그렇다.
④ 다소 잘 다루는 편이다. ⑤ 매우 잘 다루는 편이다.
19. 나는, 다른 사람과 대화에 어려움을
① 매우 느끼는 편이다. ② 다소 느끼는 편이다. ③ 그저 그렇다.
④ 다소 안 느끼는 편이다. ⑤ 매우 안 느끼는 편이다.
20. 나는, 다른 사람에 대한 긍정적인 느낌을
① 거의 표현하지 못하는 편이다. ② 다소 표현하지 못하는 편이다.
③ 그저 그렇다. ④ 다소 표현하는 편이다. ⑤ 많이 표현하는 편이다.
21. 나는, 다른 사람에 대한 부정적인 느낌을(건설적으로)
① 거의 표현하지 못하는 편이다. ② 다소 표현하지 못하는 편이다.
③ 그저 그렇다. ④ 다소 표현하는 편이다. ⑤ 많이 표현하는 편이다.
22. 나는, 나의 개인적인 관심사에 대해서 다른 사람과
① 거의 나누지 않는 편이다. ② 다소 나누지 않는 편이다.
③ 그저 그렇다. ④ 다소 나누는 편이다. ⑤ 많이 나누는 편이다.
23. 다른 사람이 나에 대한 느낌을 표현할 때, 그것을 믿고 받아들이는 정도는
① 매우 적은 편이다. ② 다소 적은 편이다. ③ 그저 그렇다.
④ 다소 많은 편이다. ⑤ 매우 많은 편이다.
24. 다른 사람이 나에 대한 부정적인느낌을 표현할 때, 건설적으로 대하는 나의 정도는
① 매우 적은 편이다. ② 다소 적은 편이다. ③ 그저 그렇다.
④ 다소 많은 편이다. ⑤ 매우 많은 편이다.
25. 나는, 다른 사람과 앞으로 대인관계를 어떻게 해야 할지를
① 거의 이해하지 못하는 편이다. ② 다소 이해하지 못하는 편이다.
하위 영역별 해당문항 및 분석
①번은 1점, ②번은 2점, ③번은 3점, ④번은 4점, ⑤번은 5점을 준다.
높은 점수일수록 인간관계 만족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 만족감 - 1, 2, 3, 4 ◈ 의사소통 - 9, 14, 18, 19 ◈ 신뢰감 - 15, 23, 24
◈ 친근감 - 5, 11, 16 ◈ 민감성 - 6, 10 ◈ 개방성 - 12, 17, 20, 21, 22
◈ 이해성 - 7, 8, 13, 25
③ 그저 그렇다. ④ 다소 이해하는 편이다. ⑤ 잘 이해하는 편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나의 대인관계
나의 대인관계 갈등원인, 문제가 무엇인가?
나의 성격과 대인관계 성향에 대한 전반적인 진단과 향후 개선방향
성공적인 대인관계 형성법
설리반 대인관계 이론
사회기술훈련(대인관계기술) 프로그램
인간은 대인관계에서 다양한 정서를 경험하고 살아가는데 경험하는 동안 이를 상세히 구분하...
문제해결과 대인관계
인터넷을 통한 대인관계 조사
원만한 대인관계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기법을 제시하고 각 기법에 대해 자신의 경험을 통해 서술
나의 성격과 대인관계 그리고 나의 장점 및 강점분석
게임중독에 따른 대인관계문제(사회복지조사론, 연구가설, 가설검증, 설문지, 느낀점)
전 생애적으로 대인관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신뢰는 ‘애착’에 의해 결정된다고 하여도 과언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