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 백혈병에 대한 자료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About Leukemia

2. Case Study

• 참고문헌

본문내용

구내염, 복통, 설사, 구역 구토증, 식욕부 진, 흑토증, 장폐색 등
3) 호흡기계 : 간질성 폐렴으로 인한 사망이 보고되었으며 때때로 만성간 질성 폐색성 폐질환, 폐섬유증 등
4) 정신신경계 : 두통, 졸음, 시야흐림, 실어증, 편마비, 마비, 경련, 혼수, 치매, 목부 및 두부긴장, 배부통 등
5) 생식기계 : 무정자증, 난소기능부전, 월경부전, 불임, 유산, 태아기형 등
6) 혈액 : 빈혈, 백혈구 감소증, 혈소판 감소증, 출혈, 패혈증, 저감마글로블 린혈증이 나타나고, 또한 과립구감소증과 발열이 나타나면 즉시 검사를 행하고 비경구용 광범위항생제 투여하는 등 적절한 처치 를 한다.
7) 간장 : 간장해(GOT, GPT, AL-P의 상승), 황달, 지방간, 간조직 괴사, 간 조직 섬유화, 간경병 등
8) 신장 : 뇨세관 괴사, 중증의 신장병증, 혈뇨, BUN 또는 크레아티닌치의 상승 등과 골육종 치료를 위해 투여된 고용량의 메토트렉세이트 에 의해 급성신부전 발생
9) 과민증 : 의식장해, 혈압강하, 빈맥, 마비감, 재채기, 호흡곤란, 냉·발한 10) 피부 : 광과민증, 발진, 두드러기, 가려움, 홍반성피진, 홍반, 색소침착, 탈색, 피하반상출혈, 여드름, 탈모, 모세혈관확장증, 절창 등
11) 기 타 : 권태감, 이하선염, 결막염, 방광염, 관절통, 근육통, 당뇨병, 골조 송증, 돌연사망 등
환아의 Problem
1. 체온이 정상적인 circle 주기를 보이는 것이 아니라 체온이 심하게 변화되고 있다.
⇒ AAL의 경우 화학 요법이나 항암요법으로 인해 면역체계가 약해 질 수 있다. 면역체계 가 약해지다보면 감염으로 인해서 열이 발생 할 수도 있는데, 환아의 경우도 면역체계 이상으로 인한 fever라고 생각 된다.
날짜
3월7일
3월8일
3월9일
3월10일
3월11일
3월12일
온도( C)
36.6
37.8
37.5
36.9
36.5
37.5
2. 처치에 따른 환아의 두려움으로 인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 특수검사(IT검사, 척수 천자, 화학 요법 등)과 IV START 시 needle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처치 전 후로 하여금 울거나, 도망을 다니거나, 처치하는 도중 몸을 움츠리는 등의 행동양상으로 인해 처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연기되고 있다.
3. 지지자에 대한 요구도가 높으나 상호 작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 환아의 경우 어머니가 간호하고 있으나, 다른 가족에 대한 그리움과 지지정도가 높 은 것으로 보여졌다. 집안 사정 상 아버지가 자주 환아를 찾지 못하고 있는데, 환아 는 간호사나 어머니한테 "아빠 언제와?! , 아빠 보고싶어."라는 말을 자주 하면서 아 버지와의 상호작용을 원하는 것처럼 보였다.
4. 환아에 대한 부모의 지식이 부족하다.
⇒ 환아의 경우는 계속적인 병원 입원에도 불구하고 부모가 감염관리나 환아의 상태에 대해서 조금은 무지한 상태에 있다. 그로 인해 환아 뿐 아니라 가족 모두 환아로 인 해 불안해 하거나 걱정하는 상태에 있어서 지지해 줘야 할 가족이 환아의 치료에 도 움을 주고 있지 못하고 있다.
간호진단
1. 면역 약화에 따른 감염에 대한 간호 사정
<진단 1>
면역 약화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관련 요인>
부적절한 면역상태
<특성>
늦은 상처치유
배출액 발생
활력징후 이상
fever의 발생
<목표>
대상자에게서 감염이 발생하지 않는다.
⇒WBC, CBC, RBC의 수치가 정상치를 유지한다.
대상자가 감염 위험 요인과 특성, 예방법을 안다.
대상자가 예방접종을 받거나 성숙한 면역체계를 유지한다.
<계획 및 중재>
6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사정한다.
개인위생, 청결에 관련된 교육을 수행한다.
⇒ 환자에게 질문함으로써 교육을 평가한다.
감염의 증상이 없어도 72시간마다 주사부위를 바꾼다.
드레싱 교환 시 무균법을 철저히 지킨다.
배액의 양과 색깔을 관찰한다.
감염에 대한 취약성 여부를 관찰한다.
적절한 예방 접종 방법을 권장한다.
방문객을 제한한다.
간호 활동을 하기 전후에 손을 씻는다.
격리법을 준수한다.
<평가>
감염관리로 인해 fever가 사라지고 정상체온으로 돌아올 것이다.
활력징후도 정상으로 돌아올 것이다.
2. 치료에서 오는 두려움에 대한 간호 사정
<진단 2>
질병의 치료방벙과 관련된 두려움
<요인>
처치술
⇒ IT검사, 척추천자, IVneedle삽입 등
<특성>
걱정
경계심 증가,
긴박뇨
긴장감 증가
놀람
울음으로 인한 구강 및 목 건조
<목표>
환아는 두려움이 감소되었다고 표현한다.
환아는 두려움을 감소시키기 위해 대응기전을 효과적으로 사용한다.
<계획 및 중재>
환아의 두려움 수준과 반응을 관찰한다.
환아의 지지집단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한다.
신체상 변화에 대한 환자의 적응 상태를 관찰한다.
간호 시 침착하고 확신을 주는 태도를 사용한다.
급격한 감정의 변화를 유발시키는 상황을 피한다.
긴장 상태를 감소시키는 활동에 참여하도록 참여를 권장한다.
<평가>
두려움이 감소되어 처치에 적극적으로 임하게 될 것 이다.
3. 질병에 대한 지식 부족으로 오는 불안
<진단>
지식부족과 관련된 가족 기능 수행 장애
<요인>
질병에 대한 부모의 지식 부족 인한 가족의 기능 상실
⇒ 의사소통이나 지지체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음
<특성>
부모의 역할 장애
결과에 대한 불확실성
지지자 역할 부족
가족의 기능 약화
<목표>
대상자가 가족에게 지지할 수 있게 한다.
대상자의 부모가 질병에 대한 교육을 통해서 대상자와 가족 간의 기능을 유지한다.
<계획 및 중재>
질병에 대한 교육을 시킨다.
⇒ 교육 정도에 따른 테스트로 교육 정도를 확인한다.
⇒ 치료 방법이나 결과에 대한 질문을 받고 대답하는 과정을 갖는다.
부모에게 의사소통 방법을 교육시킨다.
부모에게 부모 수행 능력, 대상자에게 필요한 간호등을 교육시킨다.
부모가 지지할 수 있는 지지체계를 연결 시켜준다.
<평가>
가족과의 지지체계 연계가 이루어 질 것 이다.
참고문헌
http://ezdrug.kfda.go.kr/
http://blog.daum.net/optimist-sung/3388671
홍창의편 소아과학 대한 교과서(주)
아동 간호학 수문사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0.04.27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57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