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6자회담의 진행상황과 참가국들의 입장
1. 6자회담의 진행상황
2. 참가국들의 입장
Ⅲ.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한국의 전략적 선택
1. 대안 모색
2. 한국의 전략적 선택
Ⅳ. 결 론
Ⅱ. 6자회담의 진행상황과 참가국들의 입장
1. 6자회담의 진행상황
2. 참가국들의 입장
Ⅲ.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한국의 전략적 선택
1. 대안 모색
2. 한국의 전략적 선택
Ⅳ. 결 론
본문내용
'역할을 할 필요도 있다. 한국이 이후 북핵문제에서 당사자로서 입지를 굳히기 위해서는 오히려 이 같은 조정자로서의 역할이 필수적이라 할 것이다. 이를 통해서 6자회담이 장기간의 교착상태에 빠지지 않도록 유도하며, 6자 회담 안에서도 한국의 역할을 확실히 정립할 필요가 있다. 또한 6자회담의 진행과 별개로 8.15 공동행사, 이산가족 면담의 활성화 및 남북경협의 정상화를 위한 노력 등을 통해 한민족으로서의 신뢰와 친밀감을 높여 한반도 긴장의 완화가 동시에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이 이후 북핵문제에서 당사자로서 입지를 굳히기 위해서는 이전 보다 더 섬세하고 적극적 전략이 필요한 것이다.
Ⅳ. 결 론
남북한의 통일에 앞서서 한반도의 평화정착이 선행되어야 함은 재론의 여지가 없다.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부 장관은 인터뷰를 통해 북한이 이미 하나에서 여섯 기의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다고 언급함으로써 미국이 사실상 북한의 핵무기 보유를 인정하고 있는 듯 보인다. 이제 북핵문제는 공식적으로도 한반도에 사는 7000여 만명의 우리 민족의 현재와 미래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문제가 된 것이다. 지금은 비록 교착상태에 빠져 있지만, 다자안보론에 기초한 6자회담은 현재로서 실현가능하고 바람직한 북핵문제 해결의 방법일 것이다. 한국은 이러한 6자회담의 틀 내에서 북핵의 직접 이해 관계국으로서 또한 협상 당사국으로서의 지위를 확고히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더욱이 미국의 오바마 대통령이 ‘핵무기 없는 세상’의 기치 하에 중국과 러시아 등의 협력을 바탕으로 핵비확산을 위한 다자 협력과 주요국 간 공조를 강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에서, 우리의 적극적이고 섬세한 대북 전략은 앞으로 통일로 가는 길에서 한국의 위상 문제를 결정하는 단초가 될 것이다.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이 6자회담의 틀 속에서 이루어 질 수 있다면, 조금 더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한국은 북핵문제라는 당면한 문제에서 벗어나, 보다 근본적으로 북한의 개혁과 개방을 촉진 할 수 있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대북정책과 외교정책의 선택이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 참고문헌
배긍찬 외 / 외교안보연구원 / 2010 국제정세전망
박인휘 /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 동북아 국제관계와 한국의 국가이익
김근식 / 경남대 정치외교학과 / 6자회담의 전망
통일부(http://www.unikorea.go.kr) 인터넷 자료
황지환 / 명지대 북한학과 / 6자회담 위기인가, 기회인가?
Ⅳ. 결 론
남북한의 통일에 앞서서 한반도의 평화정착이 선행되어야 함은 재론의 여지가 없다.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부 장관은 인터뷰를 통해 북한이 이미 하나에서 여섯 기의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다고 언급함으로써 미국이 사실상 북한의 핵무기 보유를 인정하고 있는 듯 보인다. 이제 북핵문제는 공식적으로도 한반도에 사는 7000여 만명의 우리 민족의 현재와 미래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문제가 된 것이다. 지금은 비록 교착상태에 빠져 있지만, 다자안보론에 기초한 6자회담은 현재로서 실현가능하고 바람직한 북핵문제 해결의 방법일 것이다. 한국은 이러한 6자회담의 틀 내에서 북핵의 직접 이해 관계국으로서 또한 협상 당사국으로서의 지위를 확고히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더욱이 미국의 오바마 대통령이 ‘핵무기 없는 세상’의 기치 하에 중국과 러시아 등의 협력을 바탕으로 핵비확산을 위한 다자 협력과 주요국 간 공조를 강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에서, 우리의 적극적이고 섬세한 대북 전략은 앞으로 통일로 가는 길에서 한국의 위상 문제를 결정하는 단초가 될 것이다.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이 6자회담의 틀 속에서 이루어 질 수 있다면, 조금 더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한국은 북핵문제라는 당면한 문제에서 벗어나, 보다 근본적으로 북한의 개혁과 개방을 촉진 할 수 있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대북정책과 외교정책의 선택이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 참고문헌
배긍찬 외 / 외교안보연구원 / 2010 국제정세전망
박인휘 /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 동북아 국제관계와 한국의 국가이익
김근식 / 경남대 정치외교학과 / 6자회담의 전망
통일부(http://www.unikorea.go.kr) 인터넷 자료
황지환 / 명지대 북한학과 / 6자회담 위기인가, 기회인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