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상태 변화의 예를 찾을 수 있다.
물질의 상태가 변화될 때,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 것을 말할 수 있다.
전개
학습내용전개
물질의 상태 변화
물질 그 자체는 변하지 않고 고체, 액체, 기체로의 겉모양만 변하는 것을 상태 변화라고 한다. 물질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주된 요인은 온도이다. 즉, 물질을 가열하거나 냉각하면 물질의 상태가 변화한다.
융해 : 고체가 열을 흡수하여 액체로 변화하는 현상
ex)얼음이 녹아서 물이 되는 현상, 초콜릿이 녹는 현상
응고 : 액체가 열을 방출하여 고체로 변화하는 현상
ex)물이 얼어서 얼음이 되는 현상, 겨울철 고드름
기화 : 액체가 열을 흡수하여 기체로 변화하는 현상
ex)물이 끓으면 수증기가 되는 현상(끓음), 컵 속의 물이 점점 줄어든다(증발). 손등에 바른 알콜이 사라지는 현상(피부가 시원해짐)
액화 : 기체가 열을 방출하여 액체로 변화하는 현상
ex)수증기가 식으면 다시 물로 변하는 현상, 아침 안개
승화 : 고체가 열을 흡수하여 기체로 변화하는 현상 or 기체가 열을 방출하여 고체로 변화하는 현상
ex)나프탈렌, 드라이아이스, 냉동실 성에
* 물이 끓을 때 보이는 김은 기체가 아니라 아직 액체 상태인 작은 물방울이라는 것을 주의하도록 한다. 수증기는 눈에 보이지 않는 기체 상태의 물이다.
* 연기 : 고체 + 액체의 혼합물
15
교과서
PPT
칠판
질량과 무게의 차이
질량 : 측정 장소에 관계없이 일정한 값을 가지는 물질의 고유한 양. 물질의 모양이나 상태가 변하더라도 질량은 변하지 않는다. 양팔 저울이나 윗접시 저울로 측정한다.
무게 : 지구가 물체를 잡아당기는 힘. (무게)=(질량)*(중력가속도). 달에서의 무게는 지구에서보다 만큼 작다. 용수철저울이나 앉은뱅이저울로 측정한다.
10
교과서
PPT
칠판
부피의 개념
부피 : 물질이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를 나타내는 양.
물질의 상태가 변할 때 부피와 질량 변화
분자 모형을 도입해서 물질의 상태가 변화될 때 분자 배열이 어떻게 바뀌는지 보여준다. 동시에 각 상태별 특징을 떠올려보도록 한다. 상태 변화가 일어날 때 분자 배열이 바뀌면서 분자간의 거리에 변화가 일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물질의 상태가 변화하게 된다. 융해, 기화, 승화할 때에는 분자간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므로 부피가 증가한다. 반대로 응고, 액화, 승화할 때에는 분자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므로 부피가 감소한다. 하지만 전체 분자 수가 바뀌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질량에는 변화가 없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또, 고체에서 액체로 변할 때보다 액체에서 기체로 변할 때 부피의 변화가 더 크다는 사실을 확인하도록 한다.
교과서 P80~81에 나온 실험을 이해할 수 있는지 물어본다. 1번 실험에서 고체와 액체 상태의 아세트산나트륨이 각각 어떤 모습을 보이는지 대답해보도록 한다. 2번 실험에서 액체 상태의 매니큐어 제거제가 뜨거워질 때 기체로 변하는 것과 다시 식혔을 때 액체로 변하는 것을 이해하는지 물어본다. 두 실험에서 물질의 상태 변화에 따른 부피의 변화와 질량의 변화를 이해하도록 한다.
교과서
PPT
칠판
정리
학습내용정리
이번 차시에 배운 내용 중 중요한 부분을 정리한다.
상태 변화 지도를 보여주면서 화살표 방향에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함을 강조한다.
상태 변화가 일어날 때 상태는 변하지만 물질의 질량은 변하지 않는다. 단, 부피는 변한다. (물은 예외)
10
교과서
부교재
부교재를 이용해서 오늘 내용을 정리한다.
부교재 P25~28을 읽으면서 개념을 다시 정리하고 확인 문제를 풀어본다.
다음차시예고
다음 차시에는 물질의 상태 변화를 입자 모형으로 어떻게 설명하는지를 배울 것을 예고하고 수업을 끝낸다.
물질의 상태가 변화될 때,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 것을 말할 수 있다.
전개
학습내용전개
물질의 상태 변화
물질 그 자체는 변하지 않고 고체, 액체, 기체로의 겉모양만 변하는 것을 상태 변화라고 한다. 물질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주된 요인은 온도이다. 즉, 물질을 가열하거나 냉각하면 물질의 상태가 변화한다.
융해 : 고체가 열을 흡수하여 액체로 변화하는 현상
ex)얼음이 녹아서 물이 되는 현상, 초콜릿이 녹는 현상
응고 : 액체가 열을 방출하여 고체로 변화하는 현상
ex)물이 얼어서 얼음이 되는 현상, 겨울철 고드름
기화 : 액체가 열을 흡수하여 기체로 변화하는 현상
ex)물이 끓으면 수증기가 되는 현상(끓음), 컵 속의 물이 점점 줄어든다(증발). 손등에 바른 알콜이 사라지는 현상(피부가 시원해짐)
액화 : 기체가 열을 방출하여 액체로 변화하는 현상
ex)수증기가 식으면 다시 물로 변하는 현상, 아침 안개
승화 : 고체가 열을 흡수하여 기체로 변화하는 현상 or 기체가 열을 방출하여 고체로 변화하는 현상
ex)나프탈렌, 드라이아이스, 냉동실 성에
* 물이 끓을 때 보이는 김은 기체가 아니라 아직 액체 상태인 작은 물방울이라는 것을 주의하도록 한다. 수증기는 눈에 보이지 않는 기체 상태의 물이다.
* 연기 : 고체 + 액체의 혼합물
15
교과서
PPT
칠판
질량과 무게의 차이
질량 : 측정 장소에 관계없이 일정한 값을 가지는 물질의 고유한 양. 물질의 모양이나 상태가 변하더라도 질량은 변하지 않는다. 양팔 저울이나 윗접시 저울로 측정한다.
무게 : 지구가 물체를 잡아당기는 힘. (무게)=(질량)*(중력가속도). 달에서의 무게는 지구에서보다 만큼 작다. 용수철저울이나 앉은뱅이저울로 측정한다.
10
교과서
PPT
칠판
부피의 개념
부피 : 물질이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를 나타내는 양.
물질의 상태가 변할 때 부피와 질량 변화
분자 모형을 도입해서 물질의 상태가 변화될 때 분자 배열이 어떻게 바뀌는지 보여준다. 동시에 각 상태별 특징을 떠올려보도록 한다. 상태 변화가 일어날 때 분자 배열이 바뀌면서 분자간의 거리에 변화가 일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물질의 상태가 변화하게 된다. 융해, 기화, 승화할 때에는 분자간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므로 부피가 증가한다. 반대로 응고, 액화, 승화할 때에는 분자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므로 부피가 감소한다. 하지만 전체 분자 수가 바뀌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질량에는 변화가 없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또, 고체에서 액체로 변할 때보다 액체에서 기체로 변할 때 부피의 변화가 더 크다는 사실을 확인하도록 한다.
교과서 P80~81에 나온 실험을 이해할 수 있는지 물어본다. 1번 실험에서 고체와 액체 상태의 아세트산나트륨이 각각 어떤 모습을 보이는지 대답해보도록 한다. 2번 실험에서 액체 상태의 매니큐어 제거제가 뜨거워질 때 기체로 변하는 것과 다시 식혔을 때 액체로 변하는 것을 이해하는지 물어본다. 두 실험에서 물질의 상태 변화에 따른 부피의 변화와 질량의 변화를 이해하도록 한다.
교과서
PPT
칠판
정리
학습내용정리
이번 차시에 배운 내용 중 중요한 부분을 정리한다.
상태 변화 지도를 보여주면서 화살표 방향에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함을 강조한다.
상태 변화가 일어날 때 상태는 변하지만 물질의 질량은 변하지 않는다. 단, 부피는 변한다. (물은 예외)
10
교과서
부교재
부교재를 이용해서 오늘 내용을 정리한다.
부교재 P25~28을 읽으면서 개념을 다시 정리하고 확인 문제를 풀어본다.
다음차시예고
다음 차시에는 물질의 상태 변화를 입자 모형으로 어떻게 설명하는지를 배울 것을 예고하고 수업을 끝낸다.
추천자료
학습지도안
학습지도안-일과 에너지
6.용액의 진하기 2차시 공개수업 지도안(과학 5학년 1학기 6월 4일))
초등과학지도서 가설검증모형 분석
수업지도안,수업흐름도,개념구조도(태양계와 우주)
유아 과학교육(화학) 물풀 탱탱볼(활동 교수 교육 모의 수업 계획안 지도안)
아동 수과학교육 규칙성 패턴 활동 교육 계획 지도안 29가지
판의 경계 본시학습 지도안
지구의 내부구조(5E모형) - 중학교 1학년 과학파트 수업 지도안
해수의 이동(발생학습모형) - 중학교 1학년 과학 파트 수업지도안
우리 은하를 구성하는 요소(5E모형) - 고등학교 1학년 과학 파트 수업 지도안
별의 생성(PEOE모형) - 고등학교 1학년 과학 파트 수업 지도안
일식과 월식(5E모형을 적용한 고등학교 1학년 과학 파트 수업 지도안)
허블의 법칙(5E모형) - 고등학교 1학년 과학 파트 수업 지도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