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노인가족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치매의 정의
2. 치매의 원인에 따른 종류
3. 치매의 증상
4. 실태
5. 문제점
6. 대책

Ⅲ. 결론

[부록]

※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의 이상행동을 신속하게 의사에게 상담하여 정확하고 올바른 진단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 동 단위로 치매노인을 발견하여 등록함으로써 치매노인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등 지역의료사업을 보다 적극적이고 체계적으로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Ⅲ. 결 론
이상에서 치매의 정의, 원인에 따른 종류, 증상 그리고 치매노인 부양에 관한 실태 및 문제점과 대책에 관하여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사회가 점차 고령화 되어감에 따라 노인인구의 증가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노인인구의 증가는 노인성 질환의 증가를 수반하는데 노인성 질환 중에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이 치매이다. 따라서 현시점에서 치매환자를 올바르게 관리하고 먼저 선행되어야 할 것은 치매에 대한 올바른 국민적 홍보이다. 아직까지도 치매를 노화에 의한 자연현상으로 여기고 치매는 낫지 않는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많다. 치매의 일부는 가역적이며, 비록 알츠하이머병이라 할지라도 조기에 진단을 내려 치료를 한다면 증상의 호전이나 경과를 완화시킬 수 있으며 그들이 나타내는 여러 정신증상을 조절하여 환자나 보호자들이 겪는 고통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치매노인 및 주부양자의 부양부담의 감소를 위해서는 치매에 대한 교육과 홍보를 통해 치매노인관리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따라서 치매노인과 치매노인가족뿐만 아니라 온 국민이 주체가 되고 대상이 되어 치매노인에 대한 사회적 대응방안을 도출하여 모두가 행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둔 제언이다.
첫째, 치매예방사업을 적극적으로 실시한다. 우리나라는 노인복지법에 건강교육이 임의 조항으로 되어 있으며, 건강진단을 받는 경우는 늘어나고 있으나 건강진료를 통한 질병의 조기발견이나 질병예방 기능이 아직 미흡한 상태라는 점을 고려할 때 앞으로 치매예방을 위한 보건 의료사업을 보다 적극적으로 실시하여 치매를 예방하는데 힘써야 할 것이다.
둘째, 치매 치료기회를 확대한다. 또한 동시에 치매전문요원의 양성훈련을 위한 훈련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하여야 할것이며 자원봉사자들의 교육을 통하여 관련기관 또는 시설에서 이들을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국가는 이러한 치매전문의료기관의 확대설치 및 전문인력의 양성과 아울러 치매의 원인규명, 치료방법, 감별진단 등에 관한 임상적 연구를 적극 지원하여야 하며, 치매노인치료에 대한 의료보험수가제도 마련 및 간병인에 대한 비용도 지원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셋째, 치매노인복지시설을 확대 설치한다. 현재는 치매노인의 보호를 전적으로 가족에 의존하고 있으나 가족제도가 점차 핵가족화, 소가족화 되어 감으로 더 이상 가족의 손에만 의존하고 있을 수 없는 상황이므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치매탁노소, 단기보호시설, 중간시설, 치매노인전문요양시설 등 치매노인을 위한 복지시설을 확대 설치하고, 이에 대하여 국가예산을 우선적으로 배분하여 확실한 재정지원을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다.
넷째, 가족의 치매노인 보호기능을 강화한다.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부양부담을 줄이기 위해 가정봉사원제도의 도입, 가정간호제도의 조기 확대 실시, 간병인 파견서비스의 실시 및 상담전화서비스를 확대하고, 주부양자들이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치매가족 및 지역사회의 조직화 사업을 추진한다. 치매노인과 관련된 조직체로는 서구의 경우에는 알츠하이머연합회가 있으며, 일본의 경우에는 전국조직의 가족모임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치매가족모임을 실시하고 있으나 아직 그 숫자가 미흡하여 제대로 그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그 조직체계를 잘 다져서 치매노인들에게 적절한 치료, 간호, 재활을 실시할 수 있도록 각종 지원을 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한국노인문제연구소. 1996. 『노인치매의 현황과 과제』. 동인
-. 통계청. 1996. 『1995 인구주택총조사보고서』
-. 보건복지부 노인복지과. 1996. 『노인복지시설현황』
-. 보건복지부. 1999. 『1999년 노인복지사업지침』. p4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4. 『치매노인부양실태』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7. 『치매관리매핑개발연구』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8.. 『치매관리매핑개발연구』
-. 한국노인복지시설협회. 내부자료. 1993.
-. 서울대학교 지역의료체계시범사업단. 1994. "치매환자관리사업개발". p21.
-. 권중돈. 1997."치매가족을 위한 지원방안". 목원대학교외. P72
-. 남정자외. 1994. "정신보건의 현황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오진주. 1995. "치매노인 보건관리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청구논문, 서울대학교
-. 이현우. 전게서
-. 이정우. 1998. "치매노인가족을 위한 서비스 인식에 관한 연구 : 수혜가족과 전문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숭실대 대학원
-. 이영주. 2000. 8. "치매노인과 가족을 위한 사회복지서비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일장신대 기독교사회복지대학원
-. 송현순. 2000. 8. "치매노인 부양인의 부양부담 감소를 위한 사회복지 지원에 관한 연구". 석 사학위논문, 한일장신대 아시아태평양국제신학대학원
-. 김향숙. 2000. 2. "치매노인의 보호관리에 나타난 가족 갈등과 사회적 서비스 개선". 석사학위논문, 단국대 행정대학원
-. 최은주. 2000. "치매노인을 위한 주간보호서비스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원광대 행정대학원
-. 장경남. 1998. "치매노인의 보호관리 실태와 사회적 부양". 석사학위논문, 고려대 경영정보대학원
-. 함영숙. 1998. "치매노인 부양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석사학위논문, 한남대 지역개발대학원
-. http://www.silverweb.or.kr/silverweb/index.html. 한국치매협회
-. http://seniorwelfarejob.or.kr/관련기관/치매클리닉.htm
-. http://mercury.hallym.ac.kr/~kwlee/alz/
-. http://www.ghil.com/healthinfo/old/oldd5_6.html
-. 동아일보. 2001. 5. 30 수요일. 제24837호
  • 가격1,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0.04.29
  • 저작시기2006.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64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