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약과 중금속의 피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조절 방법을 이용한다.
생물학적 조절은 자연적인 천적을 이용하거나 한 종류의 해충에만 작용하는 특정한 화학물질을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생태계의 원리에 따라 먹고 먹히는 관계를 이용하여 해충을 조절한다. 벼에서 발생하는 해충의 자연적인 천적에는 거미, 개구리, 잠자리 등이 있는데 이들은 모두 육식을 한다. 이 들 인간에게 이로운 천적 동물이 농약을 마구 살포함으로써 논에서 사라져 가자 해충은 더욱 극성스럽게 번식하고 있다.
생물학적 조절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해충과 천적의 상호 작용에 대한 연구가 우선되어야 하며, 상당한 투자가 필요하다. 천적 외에도 해충을 유전적으로 불임시키는 유전적 조절도 연구되고 있으며, 곤충의 성장 단계에 영향을 끼치는 호르몬이나 성유인 물질인 페로몬을 이용하는 방법등도 연구되고 있다.
강원도의 산간지역에 널리 퍼져 있는 솔잎 혹파리는 몸 길이가 2.2mm이하인 작은 파리모양의 산림 해충인데, 1929년에 전라남도 목포와 서울의 비원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솔잎 혹파리의 유충은 솔잎 밑에 벌레혹을 만들고 그 속에서 수액을 빨아 먹으므로 잎의 생장이 중지되고, 변색되어 떨어진다. 잎의 피해가 반복되면 나무가 죽기도 하는데, 특히 소나무와 곰솔이 취약하다. 솔잎 혹파리의 유충을 잡아먹는 새는 박새, 진박새, 쑥새등이 있는데, 이들은 하루에 약 20~100마리의 솔잎혹파리 유충을 먹는다.
솔잎 혹파리를 구제하기 위하여 농약을 공중 살포하는 것은 부작용이 크므로 산림청에서는 수간 주사를 통하여 나무 줄기에 농약을 주사하는 한편, 솔잎 혹파리의 유충 몸속에 알을 낳는 2종류의 기생벌을 인공으로 사육하여 이식하고 있다. 또한, 솔잎 혹파리에 기생해서 혹파리를 죽이는 곰팡이를 생명 공학적인 방법으로 대량 배양해서 보급하려은 계획까지 논의되고 있다.
[참고 자료 2] 우리나라의 농약 현황
① '96 농약품목고시 현황
=========================================================== 계 신규 적용추가 -----------------------------------------------------------
살균제 68 15 53
살충제 60 23 37
살균.살충제 3 3 -
제초제 25 18 7
생장조정제 2 2 -
----------------------------------------------------------- 계 158 61 97
주) . 장기미생산 5개 품목, 장기미등록 1개 품목은 폐지
. 총 고시품목수 : 660개 품목(기 고시 605+신규고시 61-폐지 6)
② 농약의 중독성
가. 현재 국내사용 농약의 종류는 530개 품목이며, 맹독성 농약은 없음.
(단위 : 개, %)
=========================================================== 총품목수 맹독성 고독성 보통독성
-----------------------------------------------------------
한국 530(100) - 22(4.1) 508(95.9)
일본 2,831(100) 25 --(17)---- 454 2,352(83)
===========================================================
나. 독성은 크게 급성독성과 만성독성으로 분류하며,
급성독성은 다시 맹독성.고독성.보통독성의 3가지로 분류함.
a. 급성독성 : 맹독성, 고독성, 보통독성
o 쥐를 대상으로 제품농약 투여후 반이 죽는 농약의 양을 기준으로하
여 결정
o 급성경구의 경우(액체농약)
- 맹독성 : 체중 1kg당 20mg 이하 투여시 14일내에 반이 죽을 때
- 고독성 : 체중 1kg당 20mg-200mg 투여시 14일내에 반이 죽을 때
- 보통독성 : 체중 1kg당 200mg 이상 투여시 14일내에 반이 죽을 때
* 단기간 다량섭취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이며, 미량이 검출되는 잔
류와는 무관
b. 만성독성
o 미량의 농약이 식품, 음료수 등에 잔류되어 장기간(통상 평생) 섭취
시 나타나는 현상으로 암유발 등의 현상으로 나타남.
* 국제적으로 관심이 가장 큰 부분임.
o 현재 국내사용 농약으로서 만성독성의 위험이 있는 농약은 없음.
- 담배는 발암물질이 많아 만성독성에 문제가 있으며, 니코틴 자체는
맹독성임.
o 보도된 농약의 특성 검토(알라, 카보후란)
=========================================================== 성분명 주요품목 독성 반감기 '92사용량 적용작물및병해충
-----------------------------------------------------------알라크로르 알라입제 보통독성 토양11일 505톤 콩.옥수수 등
(밭잡초약) -3% 밭작물
카보후란
(멸구.이화 카보입제 보통독성 물 4일 960톤 벼.담배.옥수수
명나방약) -5% 등
===========================================================
[참고자료 3] 농약사용에 의한 성분농도 소실시간
<카보후란>
ㅇ 300평당 3kg(유효성분 3%) 사용시
ㅇ 물량 : 300평 x 3.3평방미터/평 x 10,000제곱센티미터 x 5cm(깊이)
= 49,500,000cc = 49,500리터
ㅇ 사용량 : 3kg = 3,000,000mg x 0.03%(유효성분비율) = 90,000mg
ㅇ 사용량/부피 = 90,000mg/49,500리터 = 1.8mg리터 = 1.8ppm
ㅇ 반감기(수중) 4일
살포직후 = 1.8ppm --> 4일후 = 0.9ppm --> 8일후 = 0.45ppm
--> 12일후 : 0.23ppm
<알라>
o 토양반감기 : 11일, 300평당 : 3kg(유효성분 5%) 사용
o 사용량 : 3kg = 3,000,000mg x 0.05 = 150,000mg
o 사용량/부피 = 150,000mg/99,000(깊이 10cm 기준) = 1.5mg/리터
= 1.5ppm
o 반감기(토양중) 11일
살포직후 : 1.5ppm --> 11일후 : 0.8ppm --> 22일후 : 0.4ppm
--> 33일후 : 0.2ppm
  • 가격무료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04.29
  • 저작시기2006.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64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