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중독][화학성 식중독][독소형 식중독][감염형 식중독][살모넬라][자연성 식중독]식중독(화학성 식중독, 독소형 식중독, 감염형 식중독-살모넬라, 자연성 식중독) 심층 분석(식중독, 화학성, 독소형, 감염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중독][화학성 식중독][독소형 식중독][감염형 식중독][살모넬라][자연성 식중독]식중독(화학성 식중독, 독소형 식중독, 감염형 식중독-살모넬라, 자연성 식중독) 심층 분석(식중독, 화학성, 독소형, 감염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화학성 식중독
1. 화학성 식중독의 분류 및 발생 요인
2. 화학적 식중독의 발생 사례
3. 화학성 식중독의 예방

Ⅱ. 독소형 식중독
1. 포도상구균 식중독
2. 황색포도상구균 식중독
3. 세레우스 식중독
4. 웰치균 식중독

Ⅲ. 감염형 식중독 : 살모넬라
1. 성상
2. 증상 및 발생
3. 예방

Ⅳ. 자연성 식중독

참고문헌

본문내용

almonella가 존재하는 환경인자로는 물, 토양, 곤충, 동물의 분변, 날고기, 가금류, 해산물 등이 있고 분변이나 하수 속의 Salmonella는 물에서도 수 주간 생존할 수 있다. Salmonella에는 매우 다양한 혈청형이 존재하지만, 실제 환자나 식품에 서 분리되는 혈청형은 한정적으로 국내에서는 S. Derby, S. Schwarzengrund, S. Typhimurium, S. Cholera-suis, S. Infantis, S. Montevideo, S. Thompson, S. Tennessee, S. Hadar, S. Munchen, S. Newport, S. Berta, S. Enteritidis, S. London, S. Seftenberg 등 이 발견되었지만 주로 식중독과 관련된 가장 중요한 것은 S. Enteritidis와 S. Typhimurium 이 있다.
2. 증상 및 발생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유럽, 미국, 일본 등 세계적으로 발생하는 식중독으로 나타나는 감염증에는 S. Typhi, S. Paratyphi A·B에 의한 전염병인 장티푸스, 파라티푸스를 일으키는 1) 티푸스형 질환과 Salmonella에 의하여 급성위장염을 일으키는 2)감염형 식중독이 있고 또 이들 두 형이 명확하게 구별되지 않는 3)혼합형이 있다.
장티프스형 질환 - 혈변을 동반한 설사 증세
Salmonella 감염의 증상 - 혈변을 동반하지 않는 설사, 복통, 열, 구역질 그리고 구토 등이 648시간 후에 발생하고 이 증상들은 12일 정도 지속되거나 그 이상 연장될 수도 있다.
▶ 1936년 일본에서는 S. Enteritidis로 오염된 떡으로 인하여 2,201명의 환자 중 44명의 사망자를 낸 식중독 사건이 발생
▶ 우리나라에서는 1937년 함흥과 영흥에서 S. Enteritidis 가 최초로 분리되었다.
▶1985년 미국의 6개 주에서 시카고 유제품 중 저지방 원유에 의한 16,000건의 발생보고가 있었는데 이는 미국에서 발생한 식중독사건 중 가장 규모가 큰 것으로 보고되었다.
▶ 1985년 89월에는 Maryland의 3개 체인점식당에서 고용인 및 고객으로부터 S. Enteritidis의 분리 보고가 있었는데 그 원인식품으로는 익혀서 분쇄한 달걀로 밝혀졌다.
▶ 미국에서는 매일 S. Enteritidis에 의해 120건 이상 일어난 다고 보고되고 있는데 주로 병원, 감옥, 식당에서 발생한다. 또한 매년 Salmonellosis가 20,00040,000건이 발생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3. 예방
Salmonella 식중독의 원인식품으로는 날고기, 가금류, 계란, 우유, 생선, 새우, 개구리 다리, 효모, 코코넛, 샐러드 드레싱, 케이크, 땅콩버터, 코코아, 쵸콜렛 등이 알려져 있는데, 계란과 가금육이 사람의 Salmonellosis와 관련된 중요한 매개수단인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 식중독균이 증식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온도, pH 및 수분활성도를 필요로 하므로 이러한 요구 조건 중 일부를 조절함으로써 식중독균을 관리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Salmonella는 증식을 증진시키는 stimulon을 유도함으로써 극단적인 조건에서도 생존하게 되는 경우가 흔히 있다. 그러므로 Salmonella 식중독이 다양한 가공식품을 통하여 발생한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닐 것이다. 예를 들어 S. Thomson은 48℃에서 30분간 heat-shock을 준 경우에 내열성이 증가 되어 54℃ 또는 60℃에서의 D값이 2배 이상 증가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그러므로 일단 불충분하게 가열되었던 식품을 다시 가열하는 경우에는 오염되어 있는 Salmonella의 내열성이 증가 한 상태이므로 매우 철저하게 재가열하여야만 살균할 수 있게 된다.
미국의 경우 Salmonella Enteritidis로 인한 식중독 발생이 높아 주요식품에 대한 위해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 식중독의 주요 원인 식품은 달걀이었다. 달걀 껍질이 서식하고 있는 Salmonella Enteritidis 는 양계장의 닭의 분뇨에 의해 오염되어 유통되었다가 Salmonella Enteritidis가 성장하기 좋은 조건이 제시되면 증식하여 식중독을 일으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결과 식품안전관리 정책의 하나로 양계장에 대단위 달걀 세정 시스템을 도입하여 Salmonella Enteritidis에 대한 식중독 위해지수를 감소 시켰다.
Ⅳ. 자연성 식중독
유난히 행락객들의 발걸음이 분주한 봄철에는 자연성 식중독을 특히 주의해야 한다. 봄나물과 혼동하여 독이 있는 식물을 먹기도 하고, 관광지의 해산물을 의심 없이 먹다가 탈이 나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인 동물성 식중독으로는 인체에 대한 독성이 강한 복어독(주로 복어의 간, 알에 존재)과 봄철 마비성 패독을 분비하는 홍합, 조개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대표적인 식물성 식중독으로는 가을철 야산에서 잘못 채취하여 섭취하는 독버섯 및 발아한 감자의 싹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자연성 식중독의 증상은 주로 신경계 이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으며, 설사 등의 소화기계 이상을 보이는 경우도 있다. 자연 독에 의한 식중독은 개인적으로 채취하여 섭취하는 경우가 많고, 우리주변에서 꾸준히 식중독을 일으켜 지속적인 관심을 갖게 하고 있다. 지난달 30일에는 올해 들어 처음으로 경남 마산시 난포리 앞바다 등 남해안 일부에서 잡은 홍합에서 기준치를 넘는 패류독소가 나왔다. 패류독소는 많이 식중독이나 호흡기관 마비, 전신마비 등을 가져온다. 따라서 해양부는 패류독소 확산을 막기 위해 경남도, 수협과 공동으로 합동감시반을 구성해 행락객에 대한 현장 지도에 나서고 있다.
참고문헌
김중만(1999) : 식중독을 간접경험하자 : 사례와 예방방법, 효일문화사
부산지방식약청 : 식중독 예방 길잡이
알기쉽게 풀이한 세균성 식중독 : 한국식품협회
이용욱·김종규(2003) : 식품위생관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장현기 외 3명(2002) : 최신식품위생학, 신광출판사
정기혜 외(2001) : 대형 식중독 예방을 위한 집단급식의 위생수준 제고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
홍기운·김숙희 : 식품위생학, 대명사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9.02.1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96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