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수학 포트폴리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초등수학 포트폴리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낮과 방 사이에 12시가이 두 번 지나간다는 사실에서 1일이 24시간이라는 것, 해가 뜨고 지는 일이 끊임없이 계속되는 나날을 30일 안팎의 날 수로 구분한 한 구간을 1개월이라고 하며 그 나날을 7일씩으로 구분한 한 구간을 1주일이라고 한다는 것을 일러준다. 그리고 봄, 여름, 가을, 겨울이 한 번씩 지나가는 데는 365일이 걸린다는 사실과 예를 들면 자신이 생일이 365일 마다 돌아오며 자신의 생일이 돌아올 때마다 나이를 한 살씩 먹게 된다는 등의 구체저인 사례를 통해 이 사계절이 한 번씩 지나가는 기간을 1년이라고 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런데 시간이나 시각에 대한 지도에서는 소정의 시간에 소정의 지도로 끝내지 말고 소정의 지도가 끝난 다음에도 적당한 기회가 있을 때마다 일상의 가정 생활이나 학교 생활과 관련지어 지도하여 시간이나 시각의 의미를 발고 확실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해야 하며 그 표현 방법이나 활용 방법이 정착되게 하여야 한다.
< 각 도 >
각의 크기를 비교하는 학습에서는 넓이나 길이의 측정에서와 같이 먼저 여러 가지 사물에서 추상한 크기나 모양이 다른 여러 평면도형에서 볼 수 있는 각의 크기를 알아보게 한다. 그리하여 이 때 나타나는 아동의 반응을 바탕으로 두 각을 직접 포개어 보고 그 벌어진 정도에 주목하여 각의 대소 상동을 판단(직접비교)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이동시킬 수 없는 두 각의 크기를 알아볼 때는 한쪽 각의 본을 떠서 그 본과 남은 한쪽 각을 앞에서 비교해 본 방법(직접비교)으로 비교(간접비교)할 수 있게 한다.그리고 각 A의 크기가 각자가 만든 각 B 보다 얼마나 큰가를 알아보게 하고 그 결과를 발표시켜 각의 크기를 수치화할 수 있음을 알게 하여 크기가 여러 가지인 각의 크기를 자신이 정한 단위로 재어보게 하고 그 크기를 수로 나타낼 수 있게 한다. 그리하여 측정하려는 각이 단위로 삼은 각 몇 개를 이어 붙인 것과 같아지는 가를 알아보는 것이 각의 크기를 잰다는 것임을 스스로 알게 한다. 그리하여 각자가 재어 보고 싶은 구체물의 각을 재어 보게 하고 예를 들면 각 A는 각 B의 3배보다 조금 더 크다거나 각 A의 크기는 각 B의 크기의 4 배이다는 등의 반응을 바탕으로 넓이나 길이의 측정에서와 같이 단위를 통일할 필요성을 느끼게 한다. 그리하여 앞에서 배운 직각을 90등분한 각의 크기를 단위로 삼기로 하였었다는 것과 그 크기를 1도라고 한다는 것을 일러주고 예를 들면 각도기를 보여 주면서 각자가 각의 측정에서 느낀 번거로움을 덜기 위하여 만든 것이 각도기라고 말해 준다.
그리고 각도기를 써서 각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게 하고 예컨대 40도라는 각의 크기가 어느 정도로 벌어진 각인가를 짐작할 수 있게 한다.
● 명덕 초등학교를 방문하고 나서
11월 18일 명덕 초등학교를 방문했다. 원의 넓이에 관한 수업을 했었는데, 수업은 비교적 자유스러운 분위기에서 진행되었다.
선생님은 원의 넓이를 구하는 데에 있어서 원주율의 개념이 나오게 된 배경을 구체적 실례를 여러 개 들어서 설명을 해주고 원을 잘게 잘라서 직사각형 모양이 나오게 만들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아동들의 대부분은 지루함을 느끼는 듯 했다. 몇몇 우수한 아동은 수업 내용에 관해 이해하는 듯 하고 잘 따라가는 것 같았지만 대다수의 아동은 원주율 개념을 일반화시키는데 대해 이해하지 못하는 듯 했다.
내 생각으로는 이러한 원주율 측정의 수업은 아동의 구체적 활동이 먼저 선행되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선생님의 구체적 설명보다는 자신이 발견한 원의 모양들 예를 들어 양동이, 주전자 뚜껑, 거울 등의 사물을 직접 실제로 측정해 보고 원의 둘레와 반지름(지름) 간의 관계를 유추해 낼 수 있게 하는 것이 아동에게 더 적합할 것이라고 본다. 또한 수업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아동들에 대한 적절한 수업자료가 제시되어야 한다고 본다. 아니면 협동학습을 통하여 서로간의 피드백을 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주면 더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 확률과 통계(초등 수학 교육 p. 295 -)
확률과 통계의 가장 기본 : 분류하기 기준제시
기준에 따라 나누기
7차 교육과정 수학에서 수학화 과정(일상생활과 관련)을 중요시함
표의 작성 : 저학년에서는 분명한 자료에서 출발해야 함.
( 양질의 수 → × )
자료의 정리 : 자료(3학년)는 딱 떨어지고 구분이 확실히 되는 것이어야 함.
잡지나 신문을 이용할 수 있다.(그래프 자져오기, …)
→ NIE 적용가능 : 단 기자의 시각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대표성이 있고 아이들이 생각할 것이 있어야 함.
→ 일관성 유지.
꺾은선 그래프 : 건강 기록부에 키, 몸무게 변화 그려보기.
식물관찰 생장 관찰해 보기(나타내기)
막대 그래프 : 분류(자료)가 이산형일 때 사용.
꺾은선 그래프 : 분류(자료)가 연속적일 때 사용.
cf. 아이들에게는 이산형, 연속적이라는 말을 쓰면 안 된다.
띠 그래프 : 길이에 대해
원 그래프 : 각도에 대해 분할의 의미
cf. 사각형 그래프는 없어짐 → 수 헤아리기와 관계가 더 많이 있기 때문.
- 초등 수학 교육 p. 303 -
1.줄기와 잎 그림.
히스토그램 : 자료의 손실
자료가 정확하지 않은 단점.
히스토그램의 보완으로 줄기와 잎 그림을 사용
줄기와 잎 그림 : 10진법으로 되어 있으며 바로 적용 가능.
60개 이하의 자료에 관해서는 사용하기 좋다.
2. 그래프
자료의 특성이나 수량 사이의 관계를 정확하게 알아보는 좋다.
그래프의 종류
비교 그래프 막대 그래프
줄기와 잎 그래프
경과 그래프 꺾은선 그래프
비율 그래프 띠 그래프
원 그래프
【수업 후 느낀 점】
꺽은 선 그래프, 막대 그래프, 띠 그래프, 원 그래프 등은 많이 들어보고 본 그래프 유형이다. 그러나 한 가지 생소한 것이 있었는데 바로 줄기 - 잎 그래프였다. 내가 초등학교를 다닐 적에는 없었던 것 같은 그래프였는데, 히스토그램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생겨난 것이라 하셨다. 몇 번 보지 않아서인지 눈에 익지는 않았지만, 다른 그래프에 비해서 여러 다른 자료를 한꺼번에 나타낼 수 있다는 점에서 굉장히 획기적인 그래프인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추천자료

  • 가격4,000
  • 페이지수46페이지
  • 등록일2010.04.30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66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