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시작하며
2.표현주의에 대하여
1)표현주의란
2)표현주의의 대표적 작가와 작품
3. 로베르트 비네의 <칼리가리 박사의 밀실>에 대하여
1)작품 소개 및 줄거리
2)감상 및 비평
4.마치며
2.표현주의에 대하여
1)표현주의란
2)표현주의의 대표적 작가와 작품
3. 로베르트 비네의 <칼리가리 박사의 밀실>에 대하여
1)작품 소개 및 줄거리
2)감상 및 비평
4.마치며
본문내용
로 생각했으나 나중에 이 모든 것이 주인공 프란시스의 망상에 지나지 않음을 알게 된 후 이 장면은 프란시스의 뇌 속에 깊이 자리잡은 칼리가리에 대한 망상을 드러내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등장인물들에게서도 상징성을 엿볼 수 있었는데 특히 케사르에게서 무기력하고 세상이 시키는 대로 따라할 수밖에 없는 현대인의 모습을 어렴풋하게나마 느낄 수 있었다. 이것을 이 영화가 등장한 당시의 시대적 배경을 감안해 보면 칼리가리 박사 같은 독재자와 그 독재자에게 복종할 수밖에 없는 케사르 같은 민중, 그리고 그 속에서 벗어나고자 하나 결국은 상상 또는 망상에 그치고야마는 프란시스 같은 지식인들을 생각할 수 있었다. 그리고 실제로도 독일에서는 얼마 지나지 않아 희대의 독재자 히틀러가 등장하니 말이다. 어쩌면 이 영화가 히틀러의 등장을 예고했는지도 모르는 것이다.
이 영화는 초반에 주인공의 이야기로 시작하다가 마지막에 모든 이야기가 정신병자인 주인공 프란시스에 의해 철저하게 짜여진 망상인 것으로 결론이 난다. 이러한 영화의 구성은 현실세계도 어쩌면 이처럼 잘 짜여진 하나의 망상 또는 허구에 불과할 지도 모른다는 것을 생각하게 해 주었다.
영화사를 통해서 1920년대 유럽만큼이나 영화매체의 독자성을 밝히기 위한 실험이 활발했던 시기는 없다. 프랑스의 인상주의, 러시아의 형식주의, 그리고 독일의 표현주의가 그 시기 영화의 대표적인 경향들이다. 그들의 공통분모는 현실을 재현하는 영화 매체의 기존의 속성에 도전해 현실을 새롭게 인식하도록, 낯설게 바라보도록 영상의 내재적 의미를 탐구하고자 한 것이다. 1919년에 제작된 <칼리가리박사의 밀실>은 독일 표현주의 영화의 모태가 된 작품이다. 그 서사와 시각적 특성은 당대의 가장 실험적 양상의 하나로 꼽히며 이후 수년간 지속된 표현주의 영화경향의 모범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이 영화의 마지막 반전은 지난 가을 유령을 본다는 한 소년의 정신상담을 들어주던 박사가 결국엔 유령이라는 섬뜩한 반전으로 나에게 흥분을 주었던 영화 <식스 센스>를 연상시켰으며, 오랜만에 본 괜찮은 영화라는 만족감을 나에게 안겨주었다. 마지막으로 이 영화의 전체적인 성격을 규정지어 주는 영화 초반 도입부의 자막을 소개하면서 이 글을 마치고자 한다.
A tale of the modern re-appearance of 11th century myth involving the strange and mysterious influence of mountebank monk over a somnambulist.
- 이 이야기는 11세기 신화의 현대적 재등장을 다뤘는데 몽유병자에 대한 사기꾼 수도승의 이상하고 신비스런 영향력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 참고 사이트
ㆍ http://myhome.shinbiro.com/~se7en/index.htm
ㆍ http://galaxy.channeli.net/cinekiss/main.html
ㆍ http://galaxy.channeli.net/champ3/2.html
ㆍ http://www.hani.co.kr/cine21
등장인물들에게서도 상징성을 엿볼 수 있었는데 특히 케사르에게서 무기력하고 세상이 시키는 대로 따라할 수밖에 없는 현대인의 모습을 어렴풋하게나마 느낄 수 있었다. 이것을 이 영화가 등장한 당시의 시대적 배경을 감안해 보면 칼리가리 박사 같은 독재자와 그 독재자에게 복종할 수밖에 없는 케사르 같은 민중, 그리고 그 속에서 벗어나고자 하나 결국은 상상 또는 망상에 그치고야마는 프란시스 같은 지식인들을 생각할 수 있었다. 그리고 실제로도 독일에서는 얼마 지나지 않아 희대의 독재자 히틀러가 등장하니 말이다. 어쩌면 이 영화가 히틀러의 등장을 예고했는지도 모르는 것이다.
이 영화는 초반에 주인공의 이야기로 시작하다가 마지막에 모든 이야기가 정신병자인 주인공 프란시스에 의해 철저하게 짜여진 망상인 것으로 결론이 난다. 이러한 영화의 구성은 현실세계도 어쩌면 이처럼 잘 짜여진 하나의 망상 또는 허구에 불과할 지도 모른다는 것을 생각하게 해 주었다.
영화사를 통해서 1920년대 유럽만큼이나 영화매체의 독자성을 밝히기 위한 실험이 활발했던 시기는 없다. 프랑스의 인상주의, 러시아의 형식주의, 그리고 독일의 표현주의가 그 시기 영화의 대표적인 경향들이다. 그들의 공통분모는 현실을 재현하는 영화 매체의 기존의 속성에 도전해 현실을 새롭게 인식하도록, 낯설게 바라보도록 영상의 내재적 의미를 탐구하고자 한 것이다. 1919년에 제작된 <칼리가리박사의 밀실>은 독일 표현주의 영화의 모태가 된 작품이다. 그 서사와 시각적 특성은 당대의 가장 실험적 양상의 하나로 꼽히며 이후 수년간 지속된 표현주의 영화경향의 모범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이 영화의 마지막 반전은 지난 가을 유령을 본다는 한 소년의 정신상담을 들어주던 박사가 결국엔 유령이라는 섬뜩한 반전으로 나에게 흥분을 주었던 영화 <식스 센스>를 연상시켰으며, 오랜만에 본 괜찮은 영화라는 만족감을 나에게 안겨주었다. 마지막으로 이 영화의 전체적인 성격을 규정지어 주는 영화 초반 도입부의 자막을 소개하면서 이 글을 마치고자 한다.
A tale of the modern re-appearance of 11th century myth involving the strange and mysterious influence of mountebank monk over a somnambulist.
- 이 이야기는 11세기 신화의 현대적 재등장을 다뤘는데 몽유병자에 대한 사기꾼 수도승의 이상하고 신비스런 영향력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 참고 사이트
ㆍ http://myhome.shinbiro.com/~se7en/index.htm
ㆍ http://galaxy.channeli.net/cinekiss/main.html
ㆍ http://galaxy.channeli.net/champ3/2.html
ㆍ http://www.hani.co.kr/cine21
키워드
추천자료
[공과대]-독일의 시대별 건축양식
독일의 노사정위원회 고찰
독일 사회복지의 역사와 현황
여행지 분석 - 독일 - 과학을 느낄 수 있는 여행
교육철학 및 교육사 - 독일의 교육제도
독일문학사조 전체 요약!!
비교행정 - 독일행정과한국행정의 비교
독일의 고전주의
세계문화기행2 - 독일 & 러시아 & 일본
[A+] 독일의 민족주의와 유태인학살 - 국가 사회주의, 나치즘, 유태인박해, 홀로코스트, Holo...
[A+] 20세기 독일문학 - 20세기 전반기, 후반기, 세기전환기, 제1차 세계대전, 나치시대, 변...
한국 미국 영국 독일의 선거운동 및 선거자금 제도 분석
부경대 사이버 독일문화의 이해 족보(중간 및 기말) : 부경대 사이버 독일문화의 이해 족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