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유치원 (Kindergarten)
2. 초등 · 중등 교육기관 - 의무 교육 단계
3. 직업교육
4. 고등교육기관 - 대학 교육
√ 마치면서..
2. 초등 · 중등 교육기관 - 의무 교육 단계
3. 직업교육
4. 고등교육기관 - 대학 교육
√ 마치면서..
본문내용
대해 다시 한번 깨달을 수 있었다. 또한 수업을 통해 교육자가 가야 할 길과, 우리의 현 교육이 얼마나 열악한지를 알게 되었다. 나도 역시 한사람의 교육자가 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는 학생이며, 자라나는 아이들을 보다 더 좋은 환경에서 가르치고 싶은 욕망을 가지고 있다. 이제는 우리의 현실이 어떠한지 알게 되었기에 구체적인 길을 세울 수 있게 되었고, 꿈에 한발 더 다가선 기분이다.
이제까지 독일의 교육제도를 살펴보았다. 내가 많은 나라들 중에서 독일의 교육제도를 선택하게 된 이유는 우리나라와는 달리 매우 안정적인 교육시스템과, 인재 양성에 있어서 체계적인 제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은 교육시스템이 매우 안정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변화를 자주하고, 지식 암기를 중요시 한다. 이는 체계화되지 못한 교육제도에서 기인한다.
현재 우리나라는 미국의 후진 교육 시스템을 그대로 따라하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Hofstede 문화적 차원과 학교교육간 관계를 규명한 대표적인 학자 중의 한 명. 권력거리, 개인주의 대 집단주의, 여성성 대 남성성, 불확실성 회피의 강도가 국가간 학교교육의 실재에서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을 밝힘.
문화 조사 이론에 의하면, 미국의 문화는 개인주의, 남성성의 문화적 측면을 지니고 있다. 바꿔 말하면 미국의 교육은 우등생이 모범이 되고, 낙제생은 있을 수 없는 일이며, ‘나’라는 개념을 중요시한다.
하지만 우리의 문화적 특성은 집합주의이자, 여성성이 강한 사회 I.M.F가 발생했을 때, 실직가정부터 돕는 것이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 반대로 남성성을 가진 국가는 현재 이라크와 접전을 벌이고 있는 미국이 대표적 예이다.
이다. 그것은 ‘우리’라는 개념을 중요시하고, 평균수준의 학생이 모범이 되며, 다정다감한 교사가 인정을 받는 문화적 차원이다.
우리나라와 미국의 문화적 특성이 큰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도 미국의 옛 교육제도를 아직까지도 지속해가고 있다는 것은 정말 안타까운 일이다. 이는 결과적으로 우리의 교육제도가 무비판적으로 따라가고 있다는 것을 증명해 준다. 반대로 독일은 그들 나름대로의 민족성을 살려서 훌륭한 교육체계를 가지고 있다. 하루빨리 우리나라도 우리의 가치관에 맞는 교육제도가 생성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우리의 것이 세계의 것이다.’ 라는 말로 글을 마무리한다.
※ 자료 출처
독일 문화의 이해 - 이유선 저
독일 정보 - www.nobelmann.com
이제까지 독일의 교육제도를 살펴보았다. 내가 많은 나라들 중에서 독일의 교육제도를 선택하게 된 이유는 우리나라와는 달리 매우 안정적인 교육시스템과, 인재 양성에 있어서 체계적인 제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은 교육시스템이 매우 안정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변화를 자주하고, 지식 암기를 중요시 한다. 이는 체계화되지 못한 교육제도에서 기인한다.
현재 우리나라는 미국의 후진 교육 시스템을 그대로 따라하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Hofstede 문화적 차원과 학교교육간 관계를 규명한 대표적인 학자 중의 한 명. 권력거리, 개인주의 대 집단주의, 여성성 대 남성성, 불확실성 회피의 강도가 국가간 학교교육의 실재에서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을 밝힘.
문화 조사 이론에 의하면, 미국의 문화는 개인주의, 남성성의 문화적 측면을 지니고 있다. 바꿔 말하면 미국의 교육은 우등생이 모범이 되고, 낙제생은 있을 수 없는 일이며, ‘나’라는 개념을 중요시한다.
하지만 우리의 문화적 특성은 집합주의이자, 여성성이 강한 사회 I.M.F가 발생했을 때, 실직가정부터 돕는 것이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 반대로 남성성을 가진 국가는 현재 이라크와 접전을 벌이고 있는 미국이 대표적 예이다.
이다. 그것은 ‘우리’라는 개념을 중요시하고, 평균수준의 학생이 모범이 되며, 다정다감한 교사가 인정을 받는 문화적 차원이다.
우리나라와 미국의 문화적 특성이 큰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도 미국의 옛 교육제도를 아직까지도 지속해가고 있다는 것은 정말 안타까운 일이다. 이는 결과적으로 우리의 교육제도가 무비판적으로 따라가고 있다는 것을 증명해 준다. 반대로 독일은 그들 나름대로의 민족성을 살려서 훌륭한 교육체계를 가지고 있다. 하루빨리 우리나라도 우리의 가치관에 맞는 교육제도가 생성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우리의 것이 세계의 것이다.’ 라는 말로 글을 마무리한다.
※ 자료 출처
독일 문화의 이해 - 이유선 저
독일 정보 - www.nobelmann.com
추천자료
세계 각국의 교육철학과 서구 교육철학 및 한국의 교육철학 레포트 (미국, 독일의 교육철학)
독일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루터와 코메니우스, 독일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칸트와 바제...
[교육사상,교육철학]듀이의 교육사상(교육철학), 나토르프의 교육사상(교육철학), 니일의 교...
성리학 교육철학(교육사상) 이이, 실학 교육철학(교육사상) 유형원, 실학 교육철학(교육사상)...
유아교육사상가(교육철학) 코메니우스와 로크, 유아교육사상가(교육철학) 루소와 바제도, 유...
중국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노자와 공자, 중국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묵자와 맹자, 중국 ...
현대 교육철학(교육사상) 갈래, 현대 교육철학자(교육사상가) 듀이, 현대 교육철학자(교육사...
[교육철학자]독일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코메니우스와 루터, 독일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
유아교육사상(교육철학) 에라스무스와 로크, 유아교육사상(교육철학) 페스탈로치와 바제도, ...
교육철학(교육사상)의 가치와 관심영역, 관념주의 교육철학(교육사상), 실용주의 교육철학(교...
교육철학(교육사상)의 의의와 기본이론, 교육철학(교육사상)의 비판이론과 현상학이론, 분석...
교육철학(교육사상) 제 개념과 특징, 이상주의 교육철학(교육사상), 항존주의 교육철학(교육...
[교육철학][교육사상]교육철학(교육사상)의 정의, 교육철학(교육사상)의 기능, 주요 교육철학...
교육철학(교육사상)의 개념, 교육철학(교육사상) 조건, 교육철학(교육사상) 교육, 문화주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