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R 심폐소생술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CPR 심폐소생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입하여 혀의 base 중앙 안쪽으로 밀어넣어 혀가 왼쪽으로 위치하게 되며 이로 인해 uvular와 epiglottis가 더 잘 보이게 된다.
- 기관지의 위치를 확인한다.
- 기관지로 제대로 삽입된 상태를 확인하고 stylet을 제거하되 E-T tube가 움직이지 않게 송으로 고정하며 제거하고 동시에 airway를 삽입한다.
-E-Ttubeballoon후 E-T tube위치를 다시 한번 확인하고 고정끈으로 고정한다.
삽관시의 합병증
① 관의 잘못된 위치 : 식도내 삽관, 기관지내 삽관
② 기도의 손상 : 치아 손상, 입술, 혀 및 점막의 손상, Sore throat
③ 생리적 반사 : 혈압 및 심박동수의 상승, 두개내압 상승, 안압상승, 후두경련
④ 관의 기능이상 : cuff의 파열
삽관이 된 상태에서의 합병증
① 위치불량 : 비의도적 extubation, 기관지내 삽관
② 기도의 손상 : 점막의 열상 및 염증
③ 관의 기능이상 : 폐색, cuff의 파열
E-tube 삽입 후 확인 방법
- 양측 폐가 팽창되는 것을 시진하고 호흡음을 청진한다.
- 관의 위치를 확인하고 위해 흉부 X-ray를 촬영한다.
(endotracheal tube의 tip은 carina의 3-5cm 위에 위치)
튜브가 식도에 들어갔을 경우의 증상
* 불충분한 가슴의 움직임
* 숨소리가 들리지 않음
* 공기가 위장으로 들어가는 소리가 들림
* 위장의 팽창이 보일 수 있음
* 튜브에 습기가 서리지 않음
* 튜브 삽입에 대한 반응이 불량함 (피부가 퍼렇게 되거나 심장박동이 느려짐)
튜브가 우측 기관지 속에 들어갔을 경우의 증상
* 숨소리가 가슴의 우측에서는 들리나 좌측에서는 들리지 않음
* 좌측보다 우측 가슴에서 숨소리가 더 크게 들림
* 몸의 색깔이나 심장 박동이 개선되지 않음
3) 약물요법
-제세동의 연속적인 3번의 실패 후에 CPR을 시행하면서 약물요법을 병행한다.
<주사 약제를 투여하는 간호사의 주의 사항>
-Peripheral line에 Epinephrine과 같은 약제를 투여하는 경우 추가로 Saline 20cc를 IV하지 않는 경우 Epinephrine이 심장에 도달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의사의 특별한 order가 없더라도 Epinephrine투여 후 반드시 saline 20cc를 정맥주사한다.
약품명
규격
주의점
Epinephrine
1A
1mg/1ml(1:1000)
-α&β adrenergic cardiac stimulant
-5%DW나 N/S으로 10ml가 되게 희석하여 사용(1mg/10ml=0.1mg/ml)
-Endotracheal tube로 투여가능(N/S으로 10ml가 되게 희석하여 사용)
Atropine
Sulfate
1A
0.5mg/1ml
-Anticholinergic agent
-부작용: 동공확대, 심실세동, 빈맥
-응급시 E-tube로 투약가능(N/S으로 10ml가 되게 희석하여 사용)
Calcium
Gluconate
1A
2g/20ml
-Cardiac stimulant로 심근수축력 강화
-많은 양을 투여하면 안되고 서서히 주입해야 함.(심실 흥분을 증가시키고 sinus impulse의 흥분을 감소시켜 bradycardia나 asystole을 유도하므로)
-Extravasation시 necrosis, abscess발생 가능
-Bivon과 같이 투여하지 않음(침전물 형성)
Magnesium
Sulfate
1A
2g/20ml
-적응증
1) Torsade de point
2) Hypomagnesemia
3) Digitalis toxicity로 인한 VT
-Cardiac arrest(Torsade de point)
: 1~2g을 5%DW 10ml에 dilution
-Non cardiac arrest
: 5%DW 50~100ml에 1~2g mix loading 5~10 분 over
Sodium
bicarbonate
1A
8.4%
20mEq/20ml
-Alkalizer로 cardiac arrest시 acidosis교정
-Calcium gluconate와 함께 투여하지 않음(침전물 형성). 사용 후 충분히 flushing한 후 다른 약 투여.
-Extravasation시 chemical cellulitis, necrosis, ulceration을 일으킴.
Lidocaine
1%
200mg/20ml/V
2%
400mg/20ml/V
4%
800mg/20ml/V
-심실부정맥시 사용
-Early toxicity : CNS depression
-Severe toxicity : hypotension, seizure, coma, convulsion.
-Continuous infusion시 infusion pump사용.
-Initial dose는 1.0~1.5mg/kg IV, 5~10분 후에 repeat 가능, 이때 0.5~0.75mg/kg 추가
Adenosine
(Adenocor)
1A
6mg/2ml
-PSVT에 사용.
-Vasopressor 사용전에 blood volume의 결핍을 교정해야 함.
-주사시 반드시 ECG monitoring
-투여전 trendelenburg position.
-1~3초 내에 rapid injection한 후 N/S bolus injection함.
-필요시 1~2분 내에 12mg을 repeat injection함.
Ⅲ.결론
지금까지 심폐소생술은 환자가 심장마비. 즉, 심장의 수축이 멈춘 상태인 심정지일때, 환자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서 심폐소생술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알았다.
환자에게 심장마비가 왔다고 의심되거나 진단을 명확히 내릴 수 없을 때는 즉시 심폐소생술을 시행해야 하며 심페소생술은 기도확보 A단계, 호흡보조 B단계 , 흉곽압박 C단계까지 시행하는 1단계와 그 다음으로 약물주입등 하는 2단계, 3단계 처치가 있었다.
심폐소생술 후에 환자는 모니터 장치, 세동제거기 등 소생을 돕기 위한 응급기구들이 마련되어 있는 중환자실에 즉시 입원을 하여 계속적인 관찰과 감시를 받도록 해야 하며 심전도, 중심정맥압, 활력징후를 계속 체크하며 체온을 매시간 체크, 동맥혈 검사 흉부 X-선 촬영을 하여 심폐소생술로 인한 늑골 골절과 같은 합병증이 발견되면 치료한다.
  • 가격3,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0.04.30
  • 저작시기200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66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