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실 자료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EKG 심전도
Ⅱ. VENTILATION
Ⅲ. 제세동기 (Defivrillator)
Ⅳ. 위관영양( L-tube feeding)
Ⅴ. 기도흡인 (Suction)
Ⅵ.BP monitoring
Ⅶ.Oxygen therapy 산소요법
Ⅷ.가습기 (Humidification)

본문내용

2): 혈액내의 이산화탄소의 부분압을 나타내며 폐에 의해 조절된다. 수치 의 상승은 과다한 이산화탄소가 폐에서 제거되지 못하여 폐의 가스 교환 능력이 손상 되었음을 나타낸다. 수치가 저하되면 과호흡을 통 해 폐에서 이산화탄소가 과잉 상실되었음을 나타낸다.
4. 중탄산염(HCO3): 혈액내의 중탄산 이온농도를 타나태는데 신장에 의해 조절된다. 대사성 알칼 리 혈증이나 호흡성 산혈증의 보상작용이 있을 때에는 수치가 상승된다.
5. 산소포화도(SAO2): 혈색소에 산소가 포화되어 있는 정도를 타나내는 것으로 대상자의 폐환기 기능을 나타낸다.
6. 염기과다(BE): 보통 정상상태의 혈청중탄산염 농도와 대상자의 중탄산염 농도간의 차이
신생아
성 인
산소(PH)
7.35 - 7.49
7.35 - 7.45
산소분압(Po2)
60 - 70mmhg
75 - 100mmhg
이산화탄소분압(PCO2)
35 - 45mmhg
35 - 45mmhg
중탄산염(HCO3-)
20 - 26Eq/L
22 - 26Eq/L
산소포화도(SaO2)
96 - 100%
96 - 100%
염기과다(BE)
+1 - -2
+1 - -2
검사목적 및 적응증
1. 만성폐질환, 신경계 발작, 약물중독시 산소공급과 이산화탄소 배출을 적절히 유지하기 위한 폐환기 상태의 효울성을 평가하기 위해
2. 쇼크나 급한 심근경색시 적절한 산소공급을 위해 심박출의 효울성을 평가하기
3. 인산이 70mmHg, 이하일 때 산소공급의 필요성을 결정하기 위해
4. 산-염기균형, 불균형의 유형과 보상정도를 결정하기 위해
5. 기계적 환기의 필요성을 결정하기 위해
6. 기계적 환기의 효율성과 호흡기구 등의 환경변화를 결정하기 위해
7. 기계적 환기를 중단시킬 때의 반응을 평가하기 위해
과정
. 동맥천자
1.혈액가스 채혈기구를 준비한다. 만일 기구를 준비하지 못하면 3ml 주사기와 헤파린(100u/ml), 20-21G의 주사바늘 포비돈-요오드나 알콜솜, 거즈패드와 반찬고를 준비
2. 플라스틱이나 종이컵 또는 플라스틱 봉지의 절반을 얼음으로 채운다.
3. 주사기에 헤파린이 준비되어 있지 않으면 1ML의 헤파린을 주사기에 헤파린을 주시기에 넣어 3MLTJS까지 주시기 내관을 뺀후 주사기의 외관을 돌린다.
4. 다음 약 0.1ML 의 헤파린만 남기고 주사바늘을 교환한다. 주사기에 헤파린이 과다하면 검사물의 산도와 인탄산이 감소된다.
5. 동맥을 촉지한다.
6. 부위를 포비돈 요드로 닦아내고 마르도록 한다.
7. 헤파린이 들어있는 주사기를 사용하여 동맥천자를 한다. 요골동맥의 경우는 45도 각도로 천자를 하고 척골동맥은 60-90도 각도를 유지한다.
8. 주사기에 혈액이 나올 때까지 주사바늘을 넣어 2-3ML의 혈액을 채취한 다음 주사바늘을 뽑고 즉시 천자부위를 거즈패드로 압박한다. 주사기로부터 공기를 빼야 하는데 대기중 공기와 섞이면 검사결과를 변화시킬수 있기 때문이다.
9. 주사바늘에 고무캡을 씌워 두거나, 주사기를 빼고 주사기에 놓을 혈액가스 채취기구에 고무캡을 씌운다.
10.검사물은 즉시 검사실로 보낸다. 동맥혈 가스 검사지와 표본 라벨에 재취시간을 기록하고 대상자의 체온과 호흡상황을 기록한다.
중심정맥압 측정: CVP
목 적: 우심실 부전증을 진단
정상치: 5-1cmH20
방 법: . 쇄골하정맥, 팔오금정맥을 통해 카테터를 우심방으로 삽입
. 카테터는 3-way stopcock을 연결하여 정맥수액선과 계측기에 연결시킨다.
. 계측기는 측정하기전에 생리식염수로 가득 채워놓고 3-way stopcock을 계측기에 있는 용액이 들어가게 열면 계측기의 생리식염수가 정맥으로 들어간다. 어느만큼 후에 계측 기의 물기둥이 정지하는데 그 눈끔의 높이가 중심정맥압이다.
임상적 의의: "0"에 가까우면 저혈량 상태임- 정맥으로 수액공급을 빠르게 주입
"15-20"이상이면 혈량이 너무 많거나 심장수축기능이 불량인 것
CVP 상승요인:
. catheter 가 혈액응어리로 막히거나 꼬였을 때
. 흉곽내 압력을 증가시키는 요인들- 기침, 양압환기, 긴장성 기흉, 기도폐색등
. 마취
. 신장압전 cardiac tamponade
. 상대정맥 증후군등
ICU에서 사용되는 약어
.TA- traffic accident 교통사고
.ICH- intracerebral hemorrhage 노실질내 출혈
.CHF- congestive heart failure 선천성 심부전
.EVD- extraventricular drainage 외심실배액
.CRF- chronic renal failure 만성 신부전
.AMI- acute myocardial infarction 급성 심부전
.SAH- subarachnoid hemorrhage 지주막하 출혈
.ARDS- acut respiratory distress syndome 성인호흡곤란 증후군
.SDH- subdural hemorrhage 경막하 출혈
.VSD- ventricular septal defects 심실중격 결손
.PDA- patent 영션 arterio년 동맥관 개존증
.ASD- atrial septal defect 심방중격 결손증
.AS- congenital aortic stenosis 선천성 대동맥판 협착증
.COA- coarctation of aorta 대동맥 축착증
.TA- tricuspid atresia 삼첨판 폐쇄증
.TGV- transposition of the great vessels 대혈관 전위증
.AR- Aortic balve Regurgitation 대동맥판 역류
.AVR-Aortic valve Replacement대동맥 판막 대치술
.BA-Bronchial Asthma기관지 천식
.BSA-Body surface area 체포면적
.MR- Mital valveregurgitation승모판 역류
.CABG-Coronary Artery Bypass Graft관상동맥 우회술
.EX-Excision절개술
.FBS-Fastopm Blood Sugar공복시 혈당
.F/S-Foley Catheterization유치도뇨
.CVP-Central Venous Pressure중심정맥압
.I&D- Incision&Drainage절개, 배액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0.05.01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68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