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멀티테스터
1. 멀티테스터 사용법
오실로스코프
1. 각 부위별 명칭
2. 기본측정
함수발생기 (Function generator)
1. 멀티테스터 사용법
오실로스코프
1. 각 부위별 명칭
2. 기본측정
함수발생기 (Function generator)
본문내용
동기(그림(b))를 위해 TRIGGER MODE 스위치를 TV-H로 선택한다. TV 신호의 수평성분의 동기(그림(c))를 위해 TRIGGER MODE 스위치를 TV-H로 선택한다. TRIGGER 분리가 되었을 때 (그림(d)) TV 동기 극성.
② TRIGGER POINT 선택 : SLOPE는 소인의 시작점, 상승 시작점, 혹은 하강 시작점 중 어느 부분에서 시작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누른 상태에서는 상승 시작점이 되고 당긴 상태에서는 하강 시작점이 된다.
(5) 진폭 측정
오실로스코프의 전압측정은 일반적으로 최대값 측정(p-p)과 순시시 최대값(p-p) 측정의 2가지가 있다. 순시시 전압측정은 GND 기준으로부터 파형상의 각점의 전압을 측정하는 것이다.
위의 측정을 모두 정확히 하기 위해서 VARIABLE은 시계 방향으로 반드시 돌려 놓는다.
① 최대값(p-p) 전압측정
(가) 오실로스코프 수직모드의 스위치는 기본측정과 같이 설정한다.
(나) TIME/DIV는 2∼3주기 정도의 파형이 되도록 조정하고, VOLT/DIV 스위치는 CRT 화면 내에 파형이 들어오도록 적당히 조정한다.
(다) 수직 POSITION을 적당히 조정하여 파형의 끝부분을 CRT관면의 수평 눈금과 일치시킨다.
(라) 수평 POSITION를 적당히 조정하여 CRT관면의 중앙 수직선상의 파형의 끝부분이 오도록 조정한다.(이 선에는 0.2칸 간격이 눈금으로 그어져 있다)
(마) 파형의 윗쪽 끝부분과 아랫쪽 끝부분의 칸과 눈금을 세어서 그 값에다 VOLT/DIV 스위치의 값을 곱하면 최대값(p-p)이 된다. 예를 들면 그림과 같은 파형을 측정하여 그때 VOLT/DIV값이 2V라면 실제는 8.0Vp-p가 된다.(4.0 div× 20.v = 8.0v)
(바) 만약 수직 확대 표시가 ×5 모드이면 측정값에다 5를 나누어 준다. PROBE가 10:1 이면 10배를 곱해 준다.
(사) 100Hz 이하의 정현파나 1KHz 이하의 구형파를 측정할 때는 AC-GND-DC 스위치를 DC에 놓는다.
② 순시값 전압측정
(가) 오실로스코프의 수직 모드 스위치는 기본 측정절차와 같이 설정한다.
(나) TIME/DIV은 완전한 파형이 되도록 조정하고 VOLT/DIV 스위치는 4∼6칸이 되도록 조정한다.(그림참조)
(다) AC-GND-DC를 GND에 놓는다.
(라) 수직 POSITION을 돌려 CRT상 수평눈금의 맨 아래 (+신호일 때)나 맨 위쪽(-신호일 때)에 일치시킨다.
(6) 시간 간격 측정
① QGUS상 측정에서와 같이 스위치를 설정한다.
② TIME/DIV를 파형이 될 수 있는 한 크게 화면에 나오도록 설정한다. TIME VARIABLE는 잠김소리가 날 때까지 시계방향 최대로 돌린다. 만약 이렇게 하지 않으면 측정값이 부정확하게 되므로 주의한다.
③ 수직 POSITION을 조정하여 수평눈금 중앙에 측정하고자 하는 파형을 일치시킨다.
④ 수평 POSITION을 돌려 파형의 왼쪽을 수직눈금에 일치시킨다.
⑤ 측정하고자 하는 지점까지의 눈금을 센다. 수평눈금 중앙에는 0.2칸까지의 눈금이 매겨져 있다.
⑥ ⑤항에서 측정한 눈금에다 TIME/DIV 스위치가 설정한 값을 곱하면 구하고자 하는 시간이 된다. 만약 TIME VARIABLE가 당겨져 있으면(×10 확대모드) 측정값에다 10을 나누어 준다.
(7) 주파수 측정
주파수의 정확한 측정이 필요할 경우에는 주파수 카운터를 사용해야 한다. 오실로스코프 후면에는 CH1 OUTPUT 커넥터가 있어 여기에 주파수 측정기를 연결하게 되면 파형관측 및 주파수 측정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그러나 주파수 측정기가 없거나 주파수 측정기로는 측정하기 곤란한 변조 파형, 또는 잡음이 많이 실려 있는 파형은 오실로스코프로 직접 측정할 수 있다.
주파수는 주기와 상호 관련이 있다. 우선 간단히 (2)의 시간 간격 측정에서 나오는 주기 t를 알았다고 한다면 주파수는 1/t로 계산하여 간단히 구할 수 있다.
1/t의 공식을 적용하여 주기가 초일 때는 주파수는 Hz가 되고, 주기가 밀리 초(ms)이면 주기는 KHz가 된다. 주파수의 정확도는 시간축의 정확한 교정과 세밀한 주기측정에 의해 결정된다.
함수발생기 (Function generator)
주파수발생기로도 불리워지는 함수발생기는 실험에 필요한 적절한 주파수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정현파, 삼각파 및 사각파 등을 만들어 준다.
그림. 함수 발생기
1) 디스플레이 패널 : 내부 외부의 주파수 값의 디지털 표시
2) IN/EXT 스위치 : 내부 외부 주파수 선택
3) RANGE스위치 : 주파수의 범위 선택
4) FUNCTION스위치 : 정현파, 삼각파, 사각파의 선택
8) FREQ DIAL: 사용할 주파수 값의 선택 미세 다이얼
14) SWEEP RATE CONT : SWEEP RATE의 조절 콘트롤
15) SWEEP WIDTH CONT : SWEEP 크기의 조절 콘트롤
18) TTL/CMOS CONT : TTL이나 CMOS 모드의 선택 조정
20) DC OFFSET CONT : 출력 신호의 +,- DC의 조절 콘트롤
21) OUTPUT : 출력단자
22) AMPLITUDE: 신호의 전압값 조절
24) POWER 스위치 : ON/OFF
* 파형 : 정현파, 삼각파, 사각파, TTL파형 및 DC
* 작동 모드 : continious :어느 파형이든 연속적으로 출력
triggered :수동 또는 외부 동기 입력에 의한 단일 파형 출력
* 함수 출력 : 정현파, 삼각파, 사각파를 선택할 수 있으며 출력은 고전위에서 20V P-P 또는 저전위에서 2V P-P로 출력 가변됨.
* DC오프셋과 DC출력 : 파형의 오프셋과 DC출력은 출력 파형의 선택과 관계없이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10V에서부터 ±1V까지의 오프셋 전압을 가변 시킬 수 있다.
* TTL동조출력 : 함수발생기의 주파수와 같이 동기 된 TTL파형은 20개의 TTL 부하로 이끌어 낼 수 있다.
* VCG(voltage controlled generator) : 주파수를 1000:1까지 넓은 범위의 주파수 변화를 가능하게 한다.
② TRIGGER POINT 선택 : SLOPE는 소인의 시작점, 상승 시작점, 혹은 하강 시작점 중 어느 부분에서 시작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누른 상태에서는 상승 시작점이 되고 당긴 상태에서는 하강 시작점이 된다.
(5) 진폭 측정
오실로스코프의 전압측정은 일반적으로 최대값 측정(p-p)과 순시시 최대값(p-p) 측정의 2가지가 있다. 순시시 전압측정은 GND 기준으로부터 파형상의 각점의 전압을 측정하는 것이다.
위의 측정을 모두 정확히 하기 위해서 VARIABLE은 시계 방향으로 반드시 돌려 놓는다.
① 최대값(p-p) 전압측정
(가) 오실로스코프 수직모드의 스위치는 기본측정과 같이 설정한다.
(나) TIME/DIV는 2∼3주기 정도의 파형이 되도록 조정하고, VOLT/DIV 스위치는 CRT 화면 내에 파형이 들어오도록 적당히 조정한다.
(다) 수직 POSITION을 적당히 조정하여 파형의 끝부분을 CRT관면의 수평 눈금과 일치시킨다.
(라) 수평 POSITION를 적당히 조정하여 CRT관면의 중앙 수직선상의 파형의 끝부분이 오도록 조정한다.(이 선에는 0.2칸 간격이 눈금으로 그어져 있다)
(마) 파형의 윗쪽 끝부분과 아랫쪽 끝부분의 칸과 눈금을 세어서 그 값에다 VOLT/DIV 스위치의 값을 곱하면 최대값(p-p)이 된다. 예를 들면 그림과 같은 파형을 측정하여 그때 VOLT/DIV값이 2V라면 실제는 8.0Vp-p가 된다.(4.0 div× 20.v = 8.0v)
(바) 만약 수직 확대 표시가 ×5 모드이면 측정값에다 5를 나누어 준다. PROBE가 10:1 이면 10배를 곱해 준다.
(사) 100Hz 이하의 정현파나 1KHz 이하의 구형파를 측정할 때는 AC-GND-DC 스위치를 DC에 놓는다.
② 순시값 전압측정
(가) 오실로스코프의 수직 모드 스위치는 기본 측정절차와 같이 설정한다.
(나) TIME/DIV은 완전한 파형이 되도록 조정하고 VOLT/DIV 스위치는 4∼6칸이 되도록 조정한다.(그림참조)
(다) AC-GND-DC를 GND에 놓는다.
(라) 수직 POSITION을 돌려 CRT상 수평눈금의 맨 아래 (+신호일 때)나 맨 위쪽(-신호일 때)에 일치시킨다.
(6) 시간 간격 측정
① QGUS상 측정에서와 같이 스위치를 설정한다.
② TIME/DIV를 파형이 될 수 있는 한 크게 화면에 나오도록 설정한다. TIME VARIABLE는 잠김소리가 날 때까지 시계방향 최대로 돌린다. 만약 이렇게 하지 않으면 측정값이 부정확하게 되므로 주의한다.
③ 수직 POSITION을 조정하여 수평눈금 중앙에 측정하고자 하는 파형을 일치시킨다.
④ 수평 POSITION을 돌려 파형의 왼쪽을 수직눈금에 일치시킨다.
⑤ 측정하고자 하는 지점까지의 눈금을 센다. 수평눈금 중앙에는 0.2칸까지의 눈금이 매겨져 있다.
⑥ ⑤항에서 측정한 눈금에다 TIME/DIV 스위치가 설정한 값을 곱하면 구하고자 하는 시간이 된다. 만약 TIME VARIABLE가 당겨져 있으면(×10 확대모드) 측정값에다 10을 나누어 준다.
(7) 주파수 측정
주파수의 정확한 측정이 필요할 경우에는 주파수 카운터를 사용해야 한다. 오실로스코프 후면에는 CH1 OUTPUT 커넥터가 있어 여기에 주파수 측정기를 연결하게 되면 파형관측 및 주파수 측정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그러나 주파수 측정기가 없거나 주파수 측정기로는 측정하기 곤란한 변조 파형, 또는 잡음이 많이 실려 있는 파형은 오실로스코프로 직접 측정할 수 있다.
주파수는 주기와 상호 관련이 있다. 우선 간단히 (2)의 시간 간격 측정에서 나오는 주기 t를 알았다고 한다면 주파수는 1/t로 계산하여 간단히 구할 수 있다.
1/t의 공식을 적용하여 주기가 초일 때는 주파수는 Hz가 되고, 주기가 밀리 초(ms)이면 주기는 KHz가 된다. 주파수의 정확도는 시간축의 정확한 교정과 세밀한 주기측정에 의해 결정된다.
함수발생기 (Function generator)
주파수발생기로도 불리워지는 함수발생기는 실험에 필요한 적절한 주파수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정현파, 삼각파 및 사각파 등을 만들어 준다.
그림. 함수 발생기
1) 디스플레이 패널 : 내부 외부의 주파수 값의 디지털 표시
2) IN/EXT 스위치 : 내부 외부 주파수 선택
3) RANGE스위치 : 주파수의 범위 선택
4) FUNCTION스위치 : 정현파, 삼각파, 사각파의 선택
8) FREQ DIAL: 사용할 주파수 값의 선택 미세 다이얼
14) SWEEP RATE CONT : SWEEP RATE의 조절 콘트롤
15) SWEEP WIDTH CONT : SWEEP 크기의 조절 콘트롤
18) TTL/CMOS CONT : TTL이나 CMOS 모드의 선택 조정
20) DC OFFSET CONT : 출력 신호의 +,- DC의 조절 콘트롤
21) OUTPUT : 출력단자
22) AMPLITUDE: 신호의 전압값 조절
24) POWER 스위치 : ON/OFF
* 파형 : 정현파, 삼각파, 사각파, TTL파형 및 DC
* 작동 모드 : continious :어느 파형이든 연속적으로 출력
triggered :수동 또는 외부 동기 입력에 의한 단일 파형 출력
* 함수 출력 : 정현파, 삼각파, 사각파를 선택할 수 있으며 출력은 고전위에서 20V P-P 또는 저전위에서 2V P-P로 출력 가변됨.
* DC오프셋과 DC출력 : 파형의 오프셋과 DC출력은 출력 파형의 선택과 관계없이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10V에서부터 ±1V까지의 오프셋 전압을 가변 시킬 수 있다.
* TTL동조출력 : 함수발생기의 주파수와 같이 동기 된 TTL파형은 20개의 TTL 부하로 이끌어 낼 수 있다.
* VCG(voltage controlled generator) : 주파수를 1000:1까지 넓은 범위의 주파수 변화를 가능하게 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음파의 성질
다이오드 정류회로
교류 회로 예비 리포트
[전자회로실험] 직렬 및 병렬 공진 회로 실험 (예비+결과레포트)
[물리실험] 음파의 성질 측정 실험 - 공명현상 이해, 음파의 파장과 속도 측정 - (예비+결과...
labview와 daq보드이용한 rlc미터 설계
미분기 적분기에 대한 결과레포트
R L C 직렬공진회로
커패시터의 충전 및 방전, R-L, R-C 결과보고서
[아주대 기계 공학 실험] 멀티미터기 실습
커패시터의 이해
연산 증폭기를 이용한 미분기, 적분기 실험 프레젠테이션 (연산 증폭기와 미분기, 적분기, 파...
기초 회로 실험보고서 - 정편파(Sine Wave)의 측정
트렌지스터 스위칭 회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