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셋의 정의
셋의 관계
위상
셋의 관계
위상
본문내용
반영하여 정전 목록이 정해지기에, 이 과정에는 지배 계급의 이데올로기를 확대 재생산하는 제도라고 할 수 있는 학교나 자본주의 생산과 소비 구조에 작용하는 자본가의 이해가 작용하지만, 꼭 그런 이데올로기에 봉사하거나 지배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따라서 정전 확정 작업이나 목록 자체보다는 이런 텍스트를 선택하거나 해석평가하여 학습하는 과정에 이데올로기가 작용한다는 것이다. 이런 세 가지 견해들은 모두가 동아시아 고전의 정전으로써의 실체를 인정하고, 이 정전이 어떻게 구성되느냐는 원리에 주목하고 있다. 다만 후자의 두 견해들은 전자의 일반적인 개념에서의 정전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이 작용하고 있다. 즉 정전이 절대적인 권위를 지닌 것이 아니라는 점과, 새로운 텍스트의 생산과 보급에 따라 정전 목록은 끊임없이 수정되고 보완된다는 점이다. 그래서 정전은 정치적 이데올로기의 차이에서 생기는 헤게모니 투쟁의 산물이거나 그것이 유통되는 사회를 지배하는 문화 법칙이 작용한 결과의 산물로 간주된다. 이처럼 정전은 한번 정해지면 영원히 불변하는 권위를 지닌 성서와 같은 것이 아니라, 그것이 터전을 삼고 있는 새로운 사회의 제반 현상과 힘의 이동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인종적인 차원에서는 흑인, 계급적인 차원에서는 노동자나 농민, 성의 차원에서는 여성주의의 관점을 반영한 텍스트가 기존의 정전을 대체하거나 기존의 정전과 더불어 자리를 잡게 된다. 또한 현대 사회의 가벼움과 결탁한 상업 자본의 논리에 의해서 생산된 통속 문학이나 대중 문학이, 문학 교육과 문화 교육에서 차지하고 있는 기존 정전의 권위를 위협하기도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