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행정기획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결과/ 영향중심의 지표 마련
성과보고서: 성과 지표별 목표에 대비한 성취정도 제시
성과목표의 미실현시 그 사유 제시
다) 성과관리와 BSC
- BSC(Balanced Score Card)
- 미국 하버드대학 Kaplan과 Nortton 교수가 만든 경영성과관리시스템
- 3가지 기능
① 계획수립: 경영활동을 할 수 있게 정리되고 체계화된 구상으로 미래의 불확실성과 위기를 극복하고 관리과정 조정에 기여
② 통제: 확실한 통제체계
③ 정보관리: 의사결정 중심, 문제해결 중심, 요약ㆍ함축된 형태로 설명하는 지수
라) 성과관리의 절차
(1) 사업 프로섹트와 기관목표 연계
- 혁신과 학습, 재무, 내부사업, 고객의 관점
(2) 성과척도 개발
- 학습과 혁신(서비스의 절차와 기술
- 재무(클라이언트 당 비용)
- 내부사업(직원교육훈련, 복지사 자격유무)
- 고객(클라이언트의 서비스 평가)
(3) 미래성과와 비교하기 위한 기본선(baseline) 설정
- 기존의 운영비용, 생산성, 능력, 고객만족 수준
(4) 자료수집
- 가용성, 정확성, 적시성, 자료수집 비용 등을 고려
(5) 성과분석
- 측정에 대한 검토
- 성과개선 방법, 성과척도 구체화, 학습과 교훈,
- 변화의 증거를 제시할 수 있는 적절한 평가방법 개발 필요
(6) 관리과정의 종합
- 여러 척도를 이용하여 평가한 성과를 기관의 계획, 예산, 프로그램 개발과 운용 등에 종합적으로 적용시킴
(7) 성과에 대한 의사소통
- 의사소통으로 한정된 자원 이용을 개선
-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신뢰
- 기관의 책임성과 예산확보, 지속가능성을 높임

키워드

  • 가격1,4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05.04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74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