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본론
(1)<치숙>속 인물의 유형
(2)아이러니 -역논리가 가져다 주는 효과
(3)바꿔보자! <치숙>을 <치질>로....
Ⅲ.결론
Ⅱ.본론
(1)<치숙>속 인물의 유형
(2)아이러니 -역논리가 가져다 주는 효과
(3)바꿔보자! <치숙>을 <치질>로....
Ⅲ.결론
본문내용
말입니다. 어서 빨리 좋은 세상이 와야 할 것인데, 조선에 이런 녀석들만 가득 있다면 민족의 앞날이 까마득하기만 할게 아니겠습니까?.
자, 어떤 느낌인가?
이렇게 채만식 특유의 냉소적이고 비판적인 어조는 그대로 살리되, 화자를 ‘치숙’으로 두어 글을 써 보았다. 이러한 시도에서 우리는 화자를 ‘나’로 설정하는 것이 풍자를 얼마나 더 효과적으로 만들어주는지를 명백하게 알 수 있었다. ‘아저씨’가 ‘나’를 풍자하는 구조가 되면 아저씨의 표현은 사회주의를 지향하는 인물에 머무르지 않고 그 시대 지식인이 거의 그렇듯 일제를 비난하는 표현이 드러나게 되어 너무나 직접적인 비판이 되어 버린다. 그렇게 되었을 경우라면 이 소설이 발표된 1938년 당시 일제의 검열을 분명 통과하지 못했을 것이다. <치숙>에서 ‘아저씨’가 민족운동가가 아닌 단지 사회주의자로 설정된 이유도 바로 이러한 검열의 문제 때문이 아니였을까 생각한다. 또한 지식인으로 설정된 화자가 냉소적인 어조로 이야기를 이끌어 감에 따라 독자들은 믿을 만한 화자에 의해 설득당해 버리고, 작품은 밋밋해 져 버리고만다. 또한 독자들 스스로 누가 어떤 점에서 비판의 대상이 되어야 하는지를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박탈당하게 된다. 결국 이런 식으로 <치질>이 되어 버리면 그저 지식인의 한탄 섞인 의견을 나열하는데 그치는 식상하는 내용이 되어 버릴 수 있는 것이다.
Ⅲ.결론
우리는 흔히 “ ‘로미오와 줄리엣’의 줄리엣과 같은 소녀, ”혹은 “ ‘파우스트’의 메피스토펠레스만큼 사악한 인간같으니라고.....”와 같은 표현을 쓰기도 한다. 이처럼 우리 기억 속에 남아 있는 소설의 모습을 볼 때 인물이란 곧 소설 그 자체를 의미한다고도 볼 수 있는 것이다.
일찍이 포스터는 작중인물이란 작가가 자신의 자화상을 변형 내지는 객관화한 것으로 보고자 했다.
<치숙>은 그러한 주장에서 볼 때 그 각각의 인물들은 작가인 채만식의 모습이 반영되었다고 볼 수도 있으며, 그러한 과정에서 풍자의 기법과 비난과 칭찬의 아이러니적 구조라는 독특한 장치가 사용되어 있다. <치숙>속의 인물 유형을 세세히 살펴보는 과정을 통해 그 시대를 살고 있던 다양한 모습의 삶들을 간접적으로나마 살펴 볼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소설 속의 인물들을 통해 당시의 현실을 체험하며 그들에게 조금이나마 공감하고 있다면 그들은 이미 더 이상 허구의 인물이 아닌, 진짜 피와 살을 가진 현실 속의 누군가인 것이다.
자, 어떤 느낌인가?
이렇게 채만식 특유의 냉소적이고 비판적인 어조는 그대로 살리되, 화자를 ‘치숙’으로 두어 글을 써 보았다. 이러한 시도에서 우리는 화자를 ‘나’로 설정하는 것이 풍자를 얼마나 더 효과적으로 만들어주는지를 명백하게 알 수 있었다. ‘아저씨’가 ‘나’를 풍자하는 구조가 되면 아저씨의 표현은 사회주의를 지향하는 인물에 머무르지 않고 그 시대 지식인이 거의 그렇듯 일제를 비난하는 표현이 드러나게 되어 너무나 직접적인 비판이 되어 버린다. 그렇게 되었을 경우라면 이 소설이 발표된 1938년 당시 일제의 검열을 분명 통과하지 못했을 것이다. <치숙>에서 ‘아저씨’가 민족운동가가 아닌 단지 사회주의자로 설정된 이유도 바로 이러한 검열의 문제 때문이 아니였을까 생각한다. 또한 지식인으로 설정된 화자가 냉소적인 어조로 이야기를 이끌어 감에 따라 독자들은 믿을 만한 화자에 의해 설득당해 버리고, 작품은 밋밋해 져 버리고만다. 또한 독자들 스스로 누가 어떤 점에서 비판의 대상이 되어야 하는지를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박탈당하게 된다. 결국 이런 식으로 <치질>이 되어 버리면 그저 지식인의 한탄 섞인 의견을 나열하는데 그치는 식상하는 내용이 되어 버릴 수 있는 것이다.
Ⅲ.결론
우리는 흔히 “ ‘로미오와 줄리엣’의 줄리엣과 같은 소녀, ”혹은 “ ‘파우스트’의 메피스토펠레스만큼 사악한 인간같으니라고.....”와 같은 표현을 쓰기도 한다. 이처럼 우리 기억 속에 남아 있는 소설의 모습을 볼 때 인물이란 곧 소설 그 자체를 의미한다고도 볼 수 있는 것이다.
일찍이 포스터는 작중인물이란 작가가 자신의 자화상을 변형 내지는 객관화한 것으로 보고자 했다.
<치숙>은 그러한 주장에서 볼 때 그 각각의 인물들은 작가인 채만식의 모습이 반영되었다고 볼 수도 있으며, 그러한 과정에서 풍자의 기법과 비난과 칭찬의 아이러니적 구조라는 독특한 장치가 사용되어 있다. <치숙>속의 인물 유형을 세세히 살펴보는 과정을 통해 그 시대를 살고 있던 다양한 모습의 삶들을 간접적으로나마 살펴 볼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소설 속의 인물들을 통해 당시의 현실을 체험하며 그들에게 조금이나마 공감하고 있다면 그들은 이미 더 이상 허구의 인물이 아닌, 진짜 피와 살을 가진 현실 속의 누군가인 것이다.
추천자료
(18종문학분석) 치숙
채만식의 `치숙(痴叔)` 총정리
[서평][독후감][독서감상문]우리는 지난 100년 동안 어떻게 살았을까를 읽고
[2016최신A+자료][총균쇠요약및서평과비판][총균쇠독후감][총균쇠독서감상문][총균쇠줄거리요...
[독후감] 『감시와 처벌』 읽고 _ 미셀 푸코 저 (감시와 처벌 줄거리, 감시와 처벌 독후감, ...
<현대시론>세상의 모든 애인은 녹는다 -‘눈사람 여관’을 읽고 _ 이병률 저 [독후감,감상문]
‘50년 전’과 손을 잡다 - 황석영의『모랫말 아이들』을 읽고 [독후감,감상문]
어니스트 헤밍웨이 (Ernest Miller Hemingway) 의 『무기여 잘 있거라 (A Farewell To Arms)...
<<동물농장 독후감 및 분석>>동물농장 독후감,동물농장 독서감상문,동물농장 줄거리,동물농장...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독후감 및 분석>>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독후감,젊은베르테르의 슬픔 ...
<<레디메이드 인생 독후감>>레디메이드 인생,채만식,레디메이드 인생 독후감,레디메이드 인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