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붉은악마 현상
2. 축제 다시보기
- 축제는 필요했다.
- 문화가 없었다.
- 무엇을 위한 질서와 친절인가?
- 축제에서의 여성은?
- 모두 즐길 수 있었는가?
3. 하지만 의미 있는 축제
2. 축제 다시보기
- 축제는 필요했다.
- 문화가 없었다.
- 무엇을 위한 질서와 친절인가?
- 축제에서의 여성은?
- 모두 즐길 수 있었는가?
3. 하지만 의미 있는 축제
본문내용
전사들의 승리를 더욱 빛냈다. 이는 그간 우려되어오던 청소년의 시민의식 결여설에 대한 반론이 되었고, 앞으로 새로운 응원 문화의 정착에도 기여했다고 생각한다.
길거리 응원전은 또한 청소년들의 애국심 발현과도 연관 지을 수 있다. 길거리 응원의 참여 여부를 떠나 모든 청소년들이 우리의 승리를 기원했고, 선수들의 움직임 하나에 환호했으며, 우리의 승리에 감격의 눈물을 흘렸다. 또한 응원도구로 변모한 태극기는 형식적이고 고전적인 성향을 거부하는 청소년들에게 보다 친숙한 모습으로 다가왔다. 맹목적인 유행의 추종, 수동적 태도와 연관되던 청소년들이었으나 이번 월드컵에선 누구나 주인공이었다. 그들은 자신의 의지로 한 곳에 모였고, 자신의 목소리로 대한민국을 외쳤다. 월드컵을 계기로 그동안 발현되지 못했던 청소년들의 주체성과 자발적인 태도를 볼 수 있었다.
이렇듯 2002년 여름의 축제는 기성세대와 신세대의 조화, 보다 성숙된 모습의 시민의식, 애국심의 발현, 청소년들의 자발적인 참여, 활동적이고 생명력 넘치는 응원 등 긍적적인 측면의 효과들을 낳았다.
또 하나 붉은악마 현상이 주목받는 이유는 그것이 유행과 같이 단순한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우리 사회가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이다. 비록 월드컵이라는 붉은 악마들의 축제는 끝났지만, 붉은악마 현상은 이후 우리 사회에 대한 다양한 의견 표출 방법 가운데 하나로 발전하게 되었다. 그 예로 촛볼집회, 평화적인 민중집회 등을 꼽을 수 있다. 이는 수동적 대중이 언론과 정부에 의한 조작이라는 불안을 불식시키며, 대중 스스로가 주체로 성장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길거리 응원전은 또한 청소년들의 애국심 발현과도 연관 지을 수 있다. 길거리 응원의 참여 여부를 떠나 모든 청소년들이 우리의 승리를 기원했고, 선수들의 움직임 하나에 환호했으며, 우리의 승리에 감격의 눈물을 흘렸다. 또한 응원도구로 변모한 태극기는 형식적이고 고전적인 성향을 거부하는 청소년들에게 보다 친숙한 모습으로 다가왔다. 맹목적인 유행의 추종, 수동적 태도와 연관되던 청소년들이었으나 이번 월드컵에선 누구나 주인공이었다. 그들은 자신의 의지로 한 곳에 모였고, 자신의 목소리로 대한민국을 외쳤다. 월드컵을 계기로 그동안 발현되지 못했던 청소년들의 주체성과 자발적인 태도를 볼 수 있었다.
이렇듯 2002년 여름의 축제는 기성세대와 신세대의 조화, 보다 성숙된 모습의 시민의식, 애국심의 발현, 청소년들의 자발적인 참여, 활동적이고 생명력 넘치는 응원 등 긍적적인 측면의 효과들을 낳았다.
또 하나 붉은악마 현상이 주목받는 이유는 그것이 유행과 같이 단순한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우리 사회가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이다. 비록 월드컵이라는 붉은 악마들의 축제는 끝났지만, 붉은악마 현상은 이후 우리 사회에 대한 다양한 의견 표출 방법 가운데 하나로 발전하게 되었다. 그 예로 촛볼집회, 평화적인 민중집회 등을 꼽을 수 있다. 이는 수동적 대중이 언론과 정부에 의한 조작이라는 불안을 불식시키며, 대중 스스로가 주체로 성장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