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유교와 불교이념을 담은 역사서
2. 시대상황
3. 체제와 내용
4. 역사인식과 사학사적 의의
2. 시대상황
3. 체제와 내용
4. 역사인식과 사학사적 의의
본문내용
만을 기술하고 있는 삼국사기와는 달리 고대사의 첫머리를 단군조선에서부터 시작하여 북방의 국가들, 그리고 삼국의 순으로 정리하고 있다. 이것은 한국 고대사의 시작이 원 제국보다도 훨신 앞서 있다고 하는 자각에 바탕한 민족사 체계의 제시라고 할 수 있다. 朴仁鎬, p. 62.
따라서 삼국유사는 실증적 연구방법에 종교적 세계관을 보태어 편찬된 불교적 역사서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는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역사서로서 서로 상반된 측면에서 상호보완적으로 역사서술의 특성들을 보여주고 있다.
[참고문헌]
朴仁鎬, 『韓國史學史大要』, (以會文化社, 1996)
申瀅植, 『韓國史學史』, (三英社, 1999)
이병희, 『뿌리깊은 한국사 샘이깊은 이야기3 - 고려』, (솔 출판사, 2002)
문화원형백과사전, “옥해”, http://culturedic.daum.net/dictionary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삼국사기”, http://100.nate.com/dicsearch/pentry.html?s=K&i=255084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삼국유사”, http://100.nate.com/dicsearch/pentry.html?s=K&i=252583&v=43
따라서 삼국유사는 실증적 연구방법에 종교적 세계관을 보태어 편찬된 불교적 역사서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는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역사서로서 서로 상반된 측면에서 상호보완적으로 역사서술의 특성들을 보여주고 있다.
[참고문헌]
朴仁鎬, 『韓國史學史大要』, (以會文化社, 1996)
申瀅植, 『韓國史學史』, (三英社, 1999)
이병희, 『뿌리깊은 한국사 샘이깊은 이야기3 - 고려』, (솔 출판사, 2002)
문화원형백과사전, “옥해”, http://culturedic.daum.net/dictionary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삼국사기”, http://100.nate.com/dicsearch/pentry.html?s=K&i=255084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삼국유사”, http://100.nate.com/dicsearch/pentry.html?s=K&i=252583&v=4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