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조사] 디지털 혁명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분석/조사] 디지털 혁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DTS
(1) DTS란..
(2) DTS 연혁
(3) DTS Technology
1) DTS ES
2) DTS Neo:6
3) DTS 96/24
(4) 돌비디지털과 DTS 비교
2. HDTV
(1) HDTV란..
(2) HDTV의 출현
(3) HDTV의 특징(NTSC 방식과의 비교)
(4) HDTV가 각 분야에 미칠 영향
 (5) HDTV 도입에 따른 문제점 및 대안

Ⅲ. 결론

Ⅳ. 참고문헌 (자료출처)

본문내용

되어 있습니다만 DTS의 경우는 CD/LD의 경우 44.1kHz로 고정이 되어 있으나 DVD에서의 경우는 8~192kHz까지의 샘플링주파수를 끌어낼 수 있습니다.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은 정보량의 차이입니다. 앞에서도 말했듯이 돌비 디지털의 경우 12배 정도 압축을 하지만 DTS의 경우 4배 정도의 압축률을 보여줍니다. (DTS의 경우 녹음 시 압축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녹음할 수 있으며 최대 40배까지 압축이 가 능합니다.)
코덱의 기능면에서도 조금 틀린 모습을 보여 주는데 돌비 디지털의 경우 5.1채널 서 라운드 말고도 4채널 2채널 다운믹스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운믹스를 아주 간단하 게 설명을 한다면 6개의 채널의 소리를 4개의 채널만으로 들려주기 위해서 다른 방식 을 이용하여 녹음한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조금 쉬울 것입니다. 하지만 DTS의 경우 이 러한 기능들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이런 차이점도 있지만 같은 점도 많이 있습니다. 일단 둘 다 5.1채널의 위상을 둔다는 점 센터 메인 두개, 리어 두개, 0.1채널의 서브우퍼 이렇게 6개의 채널을 울려준다는점 그리고 디지털 신호를 해석해주는 디코더가 없으면 재생이 안 된다는 점이 있겠군요. (돌비 디지털의 경우 AC-3, DTS의 경우 DTS 디코더가 필요하겠지요?)
그렇다면 돌비사나 DTS사에서 자신들의 서라운드 포맷에 대한 주장은 어떨까요?
돌비사에서는 이런 주장을 펼치고 있습니다.
“자사의 돌비 디지털의 경우 적은 용량으로도 원음과 유사한 음이 재생가능 합니다. 돌 비 디지털의 AC-3의 경우 가청대역을 잘라내는 기술을 쓰기 때문에 DTS와는 용량에 서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돌비 디지털의 경우 여러 가지 장비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다 운믹스 기능을 사용하기 때문에 더욱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DTS사에서는 어떤 이야기를 할까요?
“DTS 사운드 포맷의 경우 돌비 디지털에 비해서 전송률의 용량이 크기 때문에 당연한 말이지만 정보량의 차이 하나가지고도 DST사운드는 돌비 디지털 사운드를 능가합니 다. 돌비 디지털의 경우 정보량이 32~640kbps이지만 DTS의 경우 192kbps~1.536Mbps 입니다. 또한 최고의 소리를 지향하는 DTS에 다운 믹스는 어울리지 않습니다.”
이런 말들을 토대로 생각해 본다면 돌비 디지털의 경우 기능적인 면을 DTS의 경우 음질적인 면을 지향한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2. HDTV
(1) HDTV란..
HDTV는 High Definition Television의 약어이다. 통일된 우리나라 말은 아직 없다. 일반적으로 고품위 TV라고 많이 쓰고 있으나 사람에 따라서 고해상도 TV, 고화질 TV, 고화상TV 라고 부르고 있다. 원래 높을 고(高)자를 붙이는 어법은 일본의 것이지 우리의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러한 뜻을 함축하는 우리말 이름을 찾아내야 할 것이다.
미국의 방송학자 린 그로스는 HDTV를 High Density Television으로 풀이 하고 있다. 화소가 엄청나게 많아서 고밀도 TV라고 한다면 틀린 표현은 아니나 착각으로 잘못 표기한 것이 아닌가 짐작된다. 한마디로 HDTV는 기존의 텔레비전 방식을 획기적으 로 개선해서 극장용 스크린에 버금가는 대형 화면, 아주 선명한 컬러 재생, 스테레오 사운드 등 TV의 새로운 혁명으로 평가받고 있다. 종래의 NTSC 방식 따위를 거의 두 곱절로 늘려놓은 것이 아니라 35밀리미터 영화를 능가할 정도로 향상된 이미지를 제 공해 준다.
그래서 HDTV를 (TV 중의 TV), (TV beyond TV)라고도 부르며, 2천년대에 개화할 것이라고 해서 (차세대 TV), (다음세대TV)라고 말한다.
NTSC의 화소 총수가 37만개에 지나지 않는데, 비해HDTV는 물경 2백 10만개가 넘 는다. 그만 큼 정밀하다는 의미다.
(2) HDTV의 특징(NTSC 방식과의 비교)
개발한지 50년 가까이 된 NTS 525 방식은 사실상 여러 가지 제한점과 결함이 있는 것으로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이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사선이 충분치 못하기 때문에 통상 시청거리안에서 주사선이 눈에 띄어 시청에 장애를 주고 있다.
둘째, 비월주사 방식으로 인해 화면이 껌벅거리는 시각상의 장애가 생기고 있다.
셋째, 휘도 신호와 색 신호의 다중화로 인하여 상호 간섭이 생겨서 화질이 떨어지고 있다.
넷째, 영상 신호 대역의 제한으로 인하여 해상도가 낮다.
다섯째, 화면 가로 세로 비와 화면의 크기가 제한돼 있어서 불만스럽다.
여섯째, 브라운관이 곡면이어서 시각효과가 나쁘다.
바로 이러한 결점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것이 고품위 텔레비전이다. 그럼 무엇이 달라 졌는지 자세히 비교해보자.
첫째, 현재의 TV보다 화질이 두 곱절 이상 개선되었다. 525 주사선이 1125로 늘어나서 수평수직 해상도가 영화나 정밀 사진에 가깝게 되었다. 해상도가 두 곱절이라는 것은 그림을 구성하는 화소가 두 곱절 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기존 NTSC텔레비전의 세로 가로의 화면 비는 3:4인데 비해 일본의 하이비전 은 3:5.33의 비율을 갖고 있다. HDTV는 9:16이라는 뜻이다. 이는 화면이 크기가 마치 영화의 스크린처럼 실물대(實物大)가 되었음을 뜻한다.
셋째, 종래의 TV는 가장 잘 볼 수 있는 눈과 TV사이의 최적의 거리가 여섯 곱절 내지 일곱 곱절인데 비해 HDTV는 세 곱절이 최적이다. 그러므로 HDTV세트에 가까이 앉을수록 화면이 더 선명하고 자세하게 보인다.
넷째, HDTV 스크린은 기존의 TV세트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NTSC의 시청각도 10 도에 비해 30도로 넓어진다. 따라서 사실감과 현장감이 크게 높아진다.(그린)
다섯째, 또한 음질은 콤팩트디스크와 맞먹을 만큼 무척 좋아져서 3차원의 사운드를 자랑한다.
(3) HDTV가 각 분야에 미칠 영향
그러면 무엇 때문에 세계 주요 선진국들은 HDTV의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을까? 이유는 간단하다.
첫째는 시장 쟁탈을 위한 줄다리기 싸움이고,
둘째는 HDTV가 가져올 파급효과가 엄청나기 때문이다. 지금의 텔레비전은 불완전 하기 때문에 점차 HDTV시대로

키워드

디지털,   dts,   hdtv,   돌비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0.05.06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80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