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조형론 -시선 응시 감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을 통해 촬영되고 그 사진은 파일링되어 증거자료로 남는다.
ex)미셸 푸코-감시의 시스템은 ‘검사하기 위해 보는 응시’에 의해 확립되었으며 개별인간들은 그 응시를 내면화시켜 스스로에 대한 감시자가 되었다.
Ⅲ.결론
회화적 표상에 관한 여러 가지 종류의 시선과 응시의 개념들을 검토해 보았다. 그럼으로써 ‘시각적인 것’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을 것이다. 보기의 행위는 순진무구하지 않으며 따라서 비주얼 컬쳐를 연구하며 그 행위에 함축된 의미와 암시를 깨닫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쏟아지는 이미지들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일 것이 아니라 그 이면에 담긴 의미를 제대로 파악해서 능동적이고 비판적으로 수용해야 할 것이다.
1. 다음 그림에서 느낄 수 있는 시선 중 그 성격이 다른 하나는?
. ......................................②
①,③,④는 묘사 대상인 인물과 감상자 사이에 교환된 시선인데 반해 ②는 묘사 대상인 인물들 간에(여자가 향하는 시선에 의해 다른 묘사 인물이 있을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서로 교환하는 시선이다.
2. 도판 A와 B에서 등장인물의 시선을 비교했을 때, A도판보다 B도판에서 기대할 수 있는 공간의 효과에 대해 간략히 서술하시오.
A B
........................................ 1.밖을 바라보는 시선에 의해 회화의 꽉 닫힌 사각 프레임 공간을 벗어나 공간이 화면 밖으로까지 확장되는 듯한 느낌을 전해 줄 수 있다.
2.공간 이미지 내부에 있는 상상적 공간과 외부에 있는 현실 공간 사이의 구별을 어느 정도 해소해 줄 수 있다.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05.07
  • 저작시기200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82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