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릿말
Ⅱ. 본 문
1. 작가소개
2. 작품배경
3. 발표/제작 연도 및 국가
4. 줄거리
5. 범행상황 및 동기분석
6. 범죄자의 심리에 대한 고찰
Ⅲ. 맺는말
참고자료
Ⅱ. 본 문
1. 작가소개
2. 작품배경
3. 발표/제작 연도 및 국가
4. 줄거리
5. 범행상황 및 동기분석
6. 범죄자의 심리에 대한 고찰
Ⅲ. 맺는말
참고자료
본문내용
어렸을 때 아버지로부터 들었던 말이 똑같아 그들을 아버지와 동일시하며 아주 큰 공격성으로 나타난 것이다. 그래서 아주 잔인하게 피해자들을 찔렀음에도 꼭 마지막에는 거세까지 하게 되는 엽기적인 살인행위를 범한 것이다.
또한 만약 어린 시절 성폭행을 당했을 때 다른 가족들이 따뜻하게 맞아주고 진심으로 상대해 주었다면 그리고 같이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았다면 그런 피해자는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다. 좀더 아이와 많은 시간을 갖고 많은 대화를 나누며 관심을 가져주었다면 그런 성폭행도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며 다중인격장애라는 병을 얻지도 않아 살인범으로까지 발전하지 않았을 것이다.
Ⅲ. 맺는말
일단 이런 기회를 통해서라도 책을 읽고 나 나름대로 분석할 수 있어 유익했던 것 같다. 물론 지금까지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전문가적인 내용은 아니지만 나 나름대로 자료를 찾아보며 한 것이라서 뿌듯함을 느끼기도 하면서 한 없이 부족함 을 느낀다. 그래도 이런 기회를 통해서라도 수업시간에 배운 것과 연결시켜 생각하다보니 더욱 효과적인 공부가 된 것 같다.
나에게 이런 일이 생긴다면 어떨까 하는 생각도 해보았다. 내 안의 내가 모르는 다른 인격체가 있다는 것이 정말 무서운 일인 것 같다. 그래서 나도 모르는 일들이 생기고 엄청난 혼란이 올 거 같다. 그런데 사실 어느 누구나 다중인격적인 요소는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어떤 상황이냐에 따라서 평소와 다른 모습을 보일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단지 그것이 외부적으로 어떤 방식으로 표출되냐에 따라서 정신병이 될 수도 있고 어느 누구나 가질 수 있는 심리적 요소라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한가지 아쉬운 부분은 사실 근본적으로 이 모든 범죄의 원인은 아버지에게 있는 것이다. 다중인격에 대한 자료를 찾아봤는데 공통된 의견은 다중인격은 해당 개인에게 심각한 스트레스에 따른 절실한 자기방어적인 태도라고 하는데 이 책에서의 애슐리의 경우도 아버지로 인해 다중인격장애를 겪으면서 남자에 대한 편견을 갖게 되어 범죄를 저지르게 된 것이다. 그런데 애슐리의 심리적인 치료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지 그 원인인 아버지에 대한 어떤 반응도 없다는 것이 아쉬웠다. 몰론 이 작품은 피해자에 심리 쪽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이지만 원인 제공자에 대한 해결방안이 모색되며 그에 온전치 못한 성에 대한 심리치료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참고자료
홍성열, 2000,「범죄 심리학」학지사
홍성열, 2004,「사회 심리학」시그마프레스
또한 만약 어린 시절 성폭행을 당했을 때 다른 가족들이 따뜻하게 맞아주고 진심으로 상대해 주었다면 그리고 같이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았다면 그런 피해자는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다. 좀더 아이와 많은 시간을 갖고 많은 대화를 나누며 관심을 가져주었다면 그런 성폭행도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며 다중인격장애라는 병을 얻지도 않아 살인범으로까지 발전하지 않았을 것이다.
Ⅲ. 맺는말
일단 이런 기회를 통해서라도 책을 읽고 나 나름대로 분석할 수 있어 유익했던 것 같다. 물론 지금까지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전문가적인 내용은 아니지만 나 나름대로 자료를 찾아보며 한 것이라서 뿌듯함을 느끼기도 하면서 한 없이 부족함 을 느낀다. 그래도 이런 기회를 통해서라도 수업시간에 배운 것과 연결시켜 생각하다보니 더욱 효과적인 공부가 된 것 같다.
나에게 이런 일이 생긴다면 어떨까 하는 생각도 해보았다. 내 안의 내가 모르는 다른 인격체가 있다는 것이 정말 무서운 일인 것 같다. 그래서 나도 모르는 일들이 생기고 엄청난 혼란이 올 거 같다. 그런데 사실 어느 누구나 다중인격적인 요소는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어떤 상황이냐에 따라서 평소와 다른 모습을 보일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단지 그것이 외부적으로 어떤 방식으로 표출되냐에 따라서 정신병이 될 수도 있고 어느 누구나 가질 수 있는 심리적 요소라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한가지 아쉬운 부분은 사실 근본적으로 이 모든 범죄의 원인은 아버지에게 있는 것이다. 다중인격에 대한 자료를 찾아봤는데 공통된 의견은 다중인격은 해당 개인에게 심각한 스트레스에 따른 절실한 자기방어적인 태도라고 하는데 이 책에서의 애슐리의 경우도 아버지로 인해 다중인격장애를 겪으면서 남자에 대한 편견을 갖게 되어 범죄를 저지르게 된 것이다. 그런데 애슐리의 심리적인 치료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지 그 원인인 아버지에 대한 어떤 반응도 없다는 것이 아쉬웠다. 몰론 이 작품은 피해자에 심리 쪽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이지만 원인 제공자에 대한 해결방안이 모색되며 그에 온전치 못한 성에 대한 심리치료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참고자료
홍성열, 2000,「범죄 심리학」학지사
홍성열, 2004,「사회 심리학」시그마프레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