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시드니 셀던? 그는 누구인가.
II. 본론
언어의 마술사, 시드니 셀던.
족집게 전법.... 대중이 읽고 싶어하는 글만 쓴다..!!
하지만 당뇨병 환자에게 설탕은 너무하지 않은가?
III. 결론
그렇다고 다 괜찮다는 것이 아니다! 그럼 어떻게 해야 되는데?
시드니 셀던? 그는 누구인가.
II. 본론
언어의 마술사, 시드니 셀던.
족집게 전법.... 대중이 읽고 싶어하는 글만 쓴다..!!
하지만 당뇨병 환자에게 설탕은 너무하지 않은가?
III. 결론
그렇다고 다 괜찮다는 것이 아니다! 그럼 어떻게 해야 되는데?
본문내용
주제문: 시드니 셀던은 치밀한 구성과 시사적 이슈, 첨단 과학의 이용, 그리고 슈퍼맨과 슈퍼 우먼의 콤플렉스와 예상을 뛰넘는 반전, 독자의 철저한 심리 분석 등을 무기로 삼아 세계 최고의 베스트 셀러가 되었으나 그의 소설의 통속성은 많은 비난을 사고 있다.
I. 서론
A. 시드니 셀던의 작가로서의 성공
1. 보잘 것 없는 과거로부터 시나리오 작가가 되어 큰 성공을 함
2. <벌거벗은 얼굴(Naked Face)> 로 문단에 등단
a. 추리 소설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상 차지.
b. 그 후로 셀던의 소설가로서의 길을 걷기 시작함. (50여개국 180만부이상, 몇편은 영화화, 또는 TV 드라마에서 방영.)
B. 시드니 셀던의 소설에 대한 현재 문단의 시각
1. 돈만 밝히는 이야기 꾼이라는 평가
a. 새로운 무엇인가를 실현하고자 하는 진취성 결여
b. 자극적이고 물질적인 것으로 일관
c. ‘예술은 예술을 위한 것이어야 한다’- 예술 지상주의자
2. 대중의 심리를 포착하여 흡인력 있는 작가라는 평가
a. ‘예술은 예술을 위한 것’ 만은 아님
b. 대중의 구미를 ‘예술’ 적으로 맞추어 성공을 한 작가
C. 시드니 셀던의 열풍의 원인과 그의 작가 세계에 대한 분석 – 왜 읽히는가?
II. 본론
A. 시드니 셀던의 기교적 흡인력
1. 치밀한 구성력
a. 나무랄 데 없는 치밀한 전형적 추리 소설류의 plot
ex) <벌거벗은 얼굴(Naked Face)>-첫 작품: 주인공 정신과 의사의 1인칭 추적 ( 셜록홈즈류의 소설과 유사)
b. 3인칭 전지적 작가 시점을 택하여 철저한 심리묘사와 독자의 동화감 유도
ex) 첫 작품 후의 대부분의 작품
2. 예상을 뒤엎는 반전 – 결과를 예측하는 독자의 수준을 한단계 뛰어넘는 재치
a. 미묘한 적군의 승리 : <여자는 두번 울지 않는다>
b. 극적인 구원자의 등장 또는 이미지 변모: <영원한 것은 없다> 의 닥터 바커
c. 믿었던 자의 배신 : <깊은 밤의 저편>,
B. 시드니 셀던이 어필하는 대중성
1. 당대 시사적 이슈를 소설화
a. Clinton 과 Lewinsky 의 스캔들, Gulf War : <여자는 두번 울지 않는다>
b. 벤처기업의 신화와 몰락을 소재 :
2. 슈퍼맨과 슈퍼 우먼의 콤플렉스 자극
a. 슈퍼맨 콤플렉스의 자극
(1) 등장하는 인물들의 직업 전문성: 정신과 의사, 기업 CEO, 대 부호, 재벌 2세 유능한 건축 설계사
(2) 출신의 고귀함: 명망있는 가문의 장남 등
(3) 천재성: Ivy League 의 출신, 모두가 인정하는 능력
(4) 뛰어난 외모 혹은 준수한 외모: 거의 모든 남성 주인공
b. 슈퍼 우먼 콤플렉스의 자극
(1) 여성들의 직업 전문성: 의사, 여사장(언론사), 변호사, 회계사
(2) 출신의 고귀함
(3) 뛰어난 외모 : 여성 주인공의 필수 조건, 남성보다 더 심함
c. 콤플렉스 자극에 의한 성취감 혹은 동기유발
(1) 읽으면서 저절로 성취욕에 불타게 만듦 → 용의주도 한 주인공 영향
3. 독자의 ‘부’ 에 대한 미련과 욕심 자극
a. 그의 작품 전반적으로 돈을 어마어마하게 가진 부호 등장
b. 성공을 물질적인 잣대로 제시 (성공하는 사람 대부분의 직업이 의사, 변호사 혹은 CEO 등이다)
4. 그의 소설의 깊이와 철학성
a. 대중은 자신이 무시당하지 않길 바람 → 자신이 읽는 책의 어려움을 판가름하는 것과 첨단성을 잣대로 자신의 유식함을 과시
b. 과학적이고 철학적인 소재를 사용→ 통속소설에서도 지식에 허기지지 않게 함
(1) 다중 인격 장애: <텔미 유어 드림s>
(2) 행동과 생각의 이중성 표현: <영원한 것은 없다>, <텔미 유어 드림s>의 알렉스
C. 시드니 셀던에게 쏟아지는 비판과 해명
1. 비판
a. 지나친 선정성
(1) 비 정상적인 섹스: 근친상간, 스토커
(2) 노골적이고 불필요한 섹스 묘사
b. 부에 대한 집착
(1) 그의 작품이 인기 있는 이유 중에 하나
(2) 허황된 인식을 심어줌
c. 나올 때마다 유사한 이야기 전개
(1) 매번 그의 작품을 읽을 때바다 전에 읽었던 책과 혼동하게 됨
(2) 읽은 후의 감동 혹은 남는 것이 없음
2. 비판에 대한 해명
a. ‘대중성, 통속성’ 과 ‘예술성’ 은 별개의 것이 아니라는 주장
b. 선정성→ 현실성을 부여하는 것임
III. 결론
A. 독자들의 지극히 편협한 식성 비판
1. 한국 갤럽에서의 조사 결과: 가장 선호하는 작가 1위
2. 비판적 안목 필요.
B. 시드니 셀던에 대한 연구 부족에 대한 비판
1. 지나친 대중적, 통속적 작가 라는 점에 대한 비판만 존재
2. 전 세계적으로 드문 밀리언 셀러
3. 예술 만을 위한 에술이라는 콧대 높은 비평가 혹은 작가들에 대한 반성
C. 시드니 셀던의 열풍과 작가로서의 능력 요약, 비판과 그에 대한 해명
D. 이 논문의 의의와 한계
I. 서론
A. 시드니 셀던의 작가로서의 성공
1. 보잘 것 없는 과거로부터 시나리오 작가가 되어 큰 성공을 함
2. <벌거벗은 얼굴(Naked Face)> 로 문단에 등단
a. 추리 소설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상 차지.
b. 그 후로 셀던의 소설가로서의 길을 걷기 시작함. (50여개국 180만부이상, 몇편은 영화화, 또는 TV 드라마에서 방영.)
B. 시드니 셀던의 소설에 대한 현재 문단의 시각
1. 돈만 밝히는 이야기 꾼이라는 평가
a. 새로운 무엇인가를 실현하고자 하는 진취성 결여
b. 자극적이고 물질적인 것으로 일관
c. ‘예술은 예술을 위한 것이어야 한다’- 예술 지상주의자
2. 대중의 심리를 포착하여 흡인력 있는 작가라는 평가
a. ‘예술은 예술을 위한 것’ 만은 아님
b. 대중의 구미를 ‘예술’ 적으로 맞추어 성공을 한 작가
C. 시드니 셀던의 열풍의 원인과 그의 작가 세계에 대한 분석 – 왜 읽히는가?
II. 본론
A. 시드니 셀던의 기교적 흡인력
1. 치밀한 구성력
a. 나무랄 데 없는 치밀한 전형적 추리 소설류의 plot
ex) <벌거벗은 얼굴(Naked Face)>-첫 작품: 주인공 정신과 의사의 1인칭 추적 ( 셜록홈즈류의 소설과 유사)
b. 3인칭 전지적 작가 시점을 택하여 철저한 심리묘사와 독자의 동화감 유도
ex) 첫 작품 후의 대부분의 작품
2. 예상을 뒤엎는 반전 – 결과를 예측하는 독자의 수준을 한단계 뛰어넘는 재치
a. 미묘한 적군의 승리 : <여자는 두번 울지 않는다>
b. 극적인 구원자의 등장 또는 이미지 변모: <영원한 것은 없다> 의 닥터 바커
c. 믿었던 자의 배신 : <깊은 밤의 저편>,
B. 시드니 셀던이 어필하는 대중성
1. 당대 시사적 이슈를 소설화
a. Clinton 과 Lewinsky 의 스캔들, Gulf War : <여자는 두번 울지 않는다>
b. 벤처기업의 신화와 몰락을 소재 :
2. 슈퍼맨과 슈퍼 우먼의 콤플렉스 자극
a. 슈퍼맨 콤플렉스의 자극
(1) 등장하는 인물들의 직업 전문성: 정신과 의사, 기업 CEO, 대 부호, 재벌 2세 유능한 건축 설계사
(2) 출신의 고귀함: 명망있는 가문의 장남 등
(3) 천재성: Ivy League 의 출신, 모두가 인정하는 능력
(4) 뛰어난 외모 혹은 준수한 외모: 거의 모든 남성 주인공
b. 슈퍼 우먼 콤플렉스의 자극
(1) 여성들의 직업 전문성: 의사, 여사장(언론사), 변호사, 회계사
(2) 출신의 고귀함
(3) 뛰어난 외모 : 여성 주인공의 필수 조건, 남성보다 더 심함
c. 콤플렉스 자극에 의한 성취감 혹은 동기유발
(1) 읽으면서 저절로 성취욕에 불타게 만듦 → 용의주도 한 주인공 영향
3. 독자의 ‘부’ 에 대한 미련과 욕심 자극
a. 그의 작품 전반적으로 돈을 어마어마하게 가진 부호 등장
b. 성공을 물질적인 잣대로 제시 (성공하는 사람 대부분의 직업이 의사, 변호사 혹은 CEO 등이다)
4. 그의 소설의 깊이와 철학성
a. 대중은 자신이 무시당하지 않길 바람 → 자신이 읽는 책의 어려움을 판가름하는 것과 첨단성을 잣대로 자신의 유식함을 과시
b. 과학적이고 철학적인 소재를 사용→ 통속소설에서도 지식에 허기지지 않게 함
(1) 다중 인격 장애: <텔미 유어 드림s>
(2) 행동과 생각의 이중성 표현: <영원한 것은 없다>, <텔미 유어 드림s>의 알렉스
C. 시드니 셀던에게 쏟아지는 비판과 해명
1. 비판
a. 지나친 선정성
(1) 비 정상적인 섹스: 근친상간, 스토커
(2) 노골적이고 불필요한 섹스 묘사
b. 부에 대한 집착
(1) 그의 작품이 인기 있는 이유 중에 하나
(2) 허황된 인식을 심어줌
c. 나올 때마다 유사한 이야기 전개
(1) 매번 그의 작품을 읽을 때바다 전에 읽었던 책과 혼동하게 됨
(2) 읽은 후의 감동 혹은 남는 것이 없음
2. 비판에 대한 해명
a. ‘대중성, 통속성’ 과 ‘예술성’ 은 별개의 것이 아니라는 주장
b. 선정성→ 현실성을 부여하는 것임
III. 결론
A. 독자들의 지극히 편협한 식성 비판
1. 한국 갤럽에서의 조사 결과: 가장 선호하는 작가 1위
2. 비판적 안목 필요.
B. 시드니 셀던에 대한 연구 부족에 대한 비판
1. 지나친 대중적, 통속적 작가 라는 점에 대한 비판만 존재
2. 전 세계적으로 드문 밀리언 셀러
3. 예술 만을 위한 에술이라는 콧대 높은 비평가 혹은 작가들에 대한 반성
C. 시드니 셀던의 열풍과 작가로서의 능력 요약, 비판과 그에 대한 해명
D. 이 논문의 의의와 한계
추천자료
古典小說의 作者와 讀者(고전소설의 작자와 독자)
흐르는 세계사속의 1930년대 한국 소설사
홍계월전에 나타난 여성의식의 한계와 여성영웅소설의 문학사적 위치
[문예사조] 모더니즘 소설의 구조와 특성
한국 문학사의 천재 이상과 그의 소설 날개 에 대하여
김동인 배따라기 분석- 1920년대 근대 소설의 새로운 축
(국문학연습)북한문학사에서 가정소설의 위상과 <장화홍련전>의 가치에 대한 평가에 대하여 서술
(문화통합론과북한문학)북한 소설 「황진이」에 나타난 주인공의 '자유의지'에 대한 분석 및 ...
심청전(판소리계 소설) 연구
심청전(판소리계 소설) 연구
(방송대)이태준 소설의 특징과 등장인물의 기능과 특징
(A+) 색계 (色,戒/Lust, Caution) - 소설과 영화를 중심으로
사실(事實)과 소설 속 허구를 통해 살펴본 임경업전(林慶業傳)
뿌리깊은 나무-스토리텔링,뿌리깊은 나무 소설과 드라마의 줄거리,캐릭터 분석,시공간적 배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