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根源과 形成過程
Ⅲ.人物
Ⅳ. 構成
Ⅴ.主題와 思想
Ⅵ.文學史的 意義
Ⅶ.교육적 활용 방안
Ⅷ.결론
◇참고 문헌◇
Ⅱ.根源과 形成過程
Ⅲ.人物
Ⅳ. 構成
Ⅴ.主題와 思想
Ⅵ.文學史的 意義
Ⅶ.교육적 활용 방안
Ⅷ.결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고, 심봉사와 뺑덕 어미의 대화에서도 여러 군데 나타나는데, 심학규가 뺑덕 어미의 낭비 생활에 놀라면서도 ‘얼마 아니 되네’라고 한 것이라든가, 뺑덕 어미가 도망간 줄 알지 못하는 심학규의 모습 등에서 찾을 수 있다.
3) <심청전>은 어느 사상 하나만의 배경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儒, 佛, 道, 巫의 사상에 융합된 우리의 전통적인 '孝'를 이상으로 삼으려는 작품이다. 오늘날에 있어서도 孝는 행위의 근본이며 인간이 지닌 최고의 德目이라는 점에서 그 本質은 변함이 있을 수 없다. 그런데, 우리 사회가 급격히 物質化, 核家族化 하면서부터 전통적인 孝思想은 점점 빛을 잃어가고 있다.
孝는 현대사회에 팽배한 인간성 상실의 문제와 물질 만능과 극단적 利己主義의 병폐에 대응할 수 있는 정신적 방패이며 사회를 지탱해 주는 원동력이 된다는 점에서, <심청전>은 이러한 價値觀 敎育의 좋은 본보기로 활용할 수 있다.
Ⅷ.결론
<심청전>은 판소리계 소설의 대표적 작품으로서 가장 많이 읽혀져 왔을 뿐만 아니라 가장 많이 연구되어 온 작품이다. 그리고 그 淵源을 고대로부터 전승되어 오는 汎世界的 說話에 두고 있으면서도, 우리 민족의 感情과 情緖를 가장 절실하게 담고 있는 작품이다. 이 작품은 조선 후기에 생성되어 서민사회에서 이야기로 口演되기도 하고, 소설로서 읽혀지기도 하고, 판소리로서 公演되기도 하는 등 다양한 모습으로 전승되어 왔으며, 창극이나 신소설 등으로 재구성되어 광범위한 독자층으로부터 계속 읽혀지고 애호를 받아 왔다. 이것은 이 작품이 한국적 心性을 가장 절실하게 표현한 결과가 아닌가 생각된다.
인물과 구조에 있어서 <심청전>이 겉으로 보기에는 단조롭지만 그 단조로움 속에 깊은 의미와 사상이 담겨 있기도 하다. 그리고 <심청전>에서 主題로 제시한 것은 孝로서 고귀한 自己 犧牲의 가치와 의미의 결정체라고 볼 수 있다.
◇참고 문헌◇
김광순,「한국고소설사」, 국학자료원, 2001.
김주한, ‘심청전의 효에 대한 연구’, 영남대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7.
사재동,「불교계 국문소설의 연구」, 중앙문화사, 1994.
이헌홍,「고전소설강론」, 세종출판사, 1999.
장효현,「한국고전소설사연구」, 고려대학교출판부, 2002.
조희영,「龍鳳論叢」,전남대학교출판부, 1977.
최운식,「심청전연구」, 집문당, 1997.
최운식,「한국고소설연구」, 보고사, 2001.
화경고전문학연구회,「고전소설연구」, 일지사, 1993.
3) <심청전>은 어느 사상 하나만의 배경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儒, 佛, 道, 巫의 사상에 융합된 우리의 전통적인 '孝'를 이상으로 삼으려는 작품이다. 오늘날에 있어서도 孝는 행위의 근본이며 인간이 지닌 최고의 德目이라는 점에서 그 本質은 변함이 있을 수 없다. 그런데, 우리 사회가 급격히 物質化, 核家族化 하면서부터 전통적인 孝思想은 점점 빛을 잃어가고 있다.
孝는 현대사회에 팽배한 인간성 상실의 문제와 물질 만능과 극단적 利己主義의 병폐에 대응할 수 있는 정신적 방패이며 사회를 지탱해 주는 원동력이 된다는 점에서, <심청전>은 이러한 價値觀 敎育의 좋은 본보기로 활용할 수 있다.
Ⅷ.결론
<심청전>은 판소리계 소설의 대표적 작품으로서 가장 많이 읽혀져 왔을 뿐만 아니라 가장 많이 연구되어 온 작품이다. 그리고 그 淵源을 고대로부터 전승되어 오는 汎世界的 說話에 두고 있으면서도, 우리 민족의 感情과 情緖를 가장 절실하게 담고 있는 작품이다. 이 작품은 조선 후기에 생성되어 서민사회에서 이야기로 口演되기도 하고, 소설로서 읽혀지기도 하고, 판소리로서 公演되기도 하는 등 다양한 모습으로 전승되어 왔으며, 창극이나 신소설 등으로 재구성되어 광범위한 독자층으로부터 계속 읽혀지고 애호를 받아 왔다. 이것은 이 작품이 한국적 心性을 가장 절실하게 표현한 결과가 아닌가 생각된다.
인물과 구조에 있어서 <심청전>이 겉으로 보기에는 단조롭지만 그 단조로움 속에 깊은 의미와 사상이 담겨 있기도 하다. 그리고 <심청전>에서 主題로 제시한 것은 孝로서 고귀한 自己 犧牲의 가치와 의미의 결정체라고 볼 수 있다.
◇참고 문헌◇
김광순,「한국고소설사」, 국학자료원, 2001.
김주한, ‘심청전의 효에 대한 연구’, 영남대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7.
사재동,「불교계 국문소설의 연구」, 중앙문화사, 1994.
이헌홍,「고전소설강론」, 세종출판사, 1999.
장효현,「한국고전소설사연구」, 고려대학교출판부, 2002.
조희영,「龍鳳論叢」,전남대학교출판부, 1977.
최운식,「심청전연구」, 집문당, 1997.
최운식,「한국고소설연구」, 보고사, 2001.
화경고전문학연구회,「고전소설연구」, 일지사, 1993.
추천자료
김시습의 금오신화
고소설 5작품 감상문 (금오신화/ 홍길동전/ 구운몽/ 양반전/ 춘향전)
고소설5작품 감상문
개화기 시대 산문문학
국문학의 개념과 범위
판소리 연구
국문학의 개념과 범주에 대한 고찰
국문학개론-에이포(1)
[1940년대][문학][문학사][소설][매체][작가][조선민족혁명당][국공합작체제]1940년대 문학, ...
소설시대를열어간 중세지성 서포 김만중
[고전소설강독 3공통] 일제 강점기 말기에 ‘고전’의 가치에 대해 깊이 천착했던 잡지 ‘문장’...
Jack London 소설 속 자연주의 분석 - Jack London의『To build a fire』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소설론] 영웅소설의 성행은 소설의 퇴보인가 발전인가
금오신화 - 취유부벽정기 (가제 - 소설 vs 영화 [취유부벽정기와 천녀유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