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이태준의 삶
2. 이태준 소설의 특징
1) 소설미학
(1) 창작기법
① 서정성
② 객관적 서술태도
③ 아이러니 기법
(2) 인물의 창조
(3) 작품의 개작
2) 등장인물의 기능과 특징
(1) 인물묘사를 통한 시대의식의 표현
(2) 등장인물과 특징
① 좌절하는 지식인
② 몰락한 노인
③ 착하지만 다소 모자라는 인물
④ 경제적으로 무력한 하층민
(3) 해방 후 소설에 나타난 시대의식
3. 이태준 소설의 문학사적 의의
Ⅲ. 결론
Ⅱ. 본론
1. 이태준의 삶
2. 이태준 소설의 특징
1) 소설미학
(1) 창작기법
① 서정성
② 객관적 서술태도
③ 아이러니 기법
(2) 인물의 창조
(3) 작품의 개작
2) 등장인물의 기능과 특징
(1) 인물묘사를 통한 시대의식의 표현
(2) 등장인물과 특징
① 좌절하는 지식인
② 몰락한 노인
③ 착하지만 다소 모자라는 인물
④ 경제적으로 무력한 하층민
(3) 해방 후 소설에 나타난 시대의식
3. 이태준 소설의 문학사적 의의
Ⅲ. 결론
본문내용
, 아이러니에 의해 의미의 多重性에 도달하였다. 특히 이러한 내용들은 소설을 抒情化시켜 詩와 다툴 만큼 아름다운 소설을 창조하였다.
기존의 평가
그러나 상허의 단편들이 그렇게 짜임새 있고 인물묘사나 문체에 있어 성공적이면서도 거기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성격 때문에 시대의식의 부재, 감상주의 등으로 비난을 받아왔다.
이남호, 앞의 책, p373
표현에의 강조는 필연적으로 주제의 약화, 곧 작품의 사상성을 감소시킨다. 강조점이 각각의 요소의 표현에 놓여지게 되면 작품은 정신의 제시보다는 부분의 繪 化, 이미지화에 치중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최재서의 「단편작가로서의 이태준」
최재서, 「단편작가로서의 이태준」,『한국현대문학비평사 자료』5권, pp246-249
은 그 후에 나오는 이태준에 관한 논의의 골격을 이룬다는 점에서 중요한 글이다. 최재서는 이태준의 단편소설을 다각도로 검토하여 소설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유형과 함께 그 인물들의 유모어와 페이소스, 그리고 현실과의 괴리를 지적하고 있다. 그는 이태준 단편소설에 등장하는 인물의 특성으로, <낙백한 유자, 누항에 침면하는 퇴기, 불우한 소학교원이나 혹은 유랑하는 농민, 어리석은 신문배달부, 생에 희망을 잃은 노인 등 인생의 그늘 속에서 움직이는 희미한 존재들의 고독과 애수가 동정과 유모아로 그려지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이러한 인물들이 선명하게 나타나기는 하지만 현대인이 즐겨하는 사상적 고민이 없고 사회적 관심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시대적 거리를 가지지 않을 수 없는 커다란 결점이 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지적은 그 후 이태준의 단편을 이해하는 데에 하나의 틀로 굳어진다.
이병렬, 앞의 책, p2
이태준의 인물들이 모두 현실의 역동적 삶과는 멀리 떨어진 인간군이기 때문에 그의 단편은 시대적 거리를 가지지 않을 수 없고, 그것은 커다란 결점이라는 것이다.
이남호, 앞의 책, p372
김우종 역시 역사부재와 사상부재의 작품경향을 상허의 지극히 큰 맹점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김우종, 『한국현대소설사』, 성문각, 1978
새로운 인식
위와 같은 지적들이 이태준 소설의 한계라고 언급되어 온 것들이다. 그러나 이런 역사의식 부재의 문제는 1998년 이후 각 대학의 대학원을 중심으로 재평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 대표적 인물인 강진호는 상허 소설의 사회성을 인정하면서도 그것이 작품의 전면에 부각되지 못하고 심정적 차원의 서술로만 일관되어 있음을 부정적으로 평가한다.
강진호, 「이태준 연구」, 고려대 대학원 , 1987 , pp119-120
이것은 상허가 현실감각을 지니지 못하고 시대와는 동떨어진 골동취미에 감상적으로 매몰되어 있다는 기존의 견해에서 진일보한 것이다.
이남호 , 앞의 책, p374
그리고 더 나아가 이남호는 종래의 연구가들이 이태준의 작품을 너무 표면적인 구조로만 해석한 경향에 비판을 가하면서 이태준 소설의 이해를 위해서는 1930년대라는 시대상황과 문학적 상황이 고려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아울러 이태준의 소설은 <성격 창조와 문체 그리고 짜임새가 뛰어나 현실비판의 표면적 강렬성이 약화되었을 뿐 현실비판은 지속적인 울림으로 남아있는 것>
이남호, 앞의 책, pp373-374
이라 평가하고 있다.
Ⅲ. 結論
이태준 소설은 뛰어난 창작기법, 즉 서정적 이미지의 기법과 객관적 서술 태도, 아이러니와 시대의식이 반영된 선명한 인물 창조 등을 통해 한국 단편소설의 수준을 한 차원 높여 놓았다. 그리고 이는 이태준의 뒤를 이어 현대 문학의 맥을 이어가는 많은 작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이러한 탁월성에도 불구하고 이태준 소설은 '역사부재와 사상부재'
김우종, 앞의 책, pp250-251
라는 비난을 받아왔다. 이태준의 소설의 주인공들은 인생에 패배한 인물'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는 시대와의 거리를 가질 뿐만 아니라 과거지향적이고 패배적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하였지만 우리는 그것을 인물의 형상화를 통해 당시 비참했던 식민지 현실을 우회적으로 비판한 것으로 본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이태준의 초기작이나 전성기의 작품에도 이념은 존재한다고 본다. 문제는 그가 현실을 바라보고 가치평가를 내리는 우선순위가 여타의 작가와 다른 것이며, 현실을 형상화하는 초점이 다른 것이다. 상허는 현실을 본질적으로 규정하는 거대담론을 직설적으로 표현하기보다는 그것을 정서화, 내면화시키는 방식으로 표현하였다. 오히려 30년대 후반의 양상은 일제 말기의 폭압적인 현실이 단편의 근대적 수위를 높이려는 상허의 작업을 불가능케 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이미 초기작부터 그 정도의 현실인식은 존재해 왔던 바, 그것이 단편의 근대성을 높이는 작업에 의해 수면 위로 떠오르지 않은 것뿐이다. 현실이 이 정도의 여유도 허락하지 않는 시기에 들어 상허는 현실의 문제를 미학적 간접화법으로 표출한 것이다.
【참고자료】
강진호, 「이태준 연구」, 고려대 대학원 , 1987
김우종, 『한국현대소설사』, 성문각, 1982
박헌호, 「이태준과 한국 근대소설의 성격」, 소명출판, 1999
서종택, 「이태준 단편소설」,『한국현대소설연구』, 새문사, 1990
유종호, 「인간사전을 보는 재미」, 유종호 편, 『이태준』, 1996
이기인 편, 『이태준』, 새미출판사
이남호, 「시대에 대한 미학적 간접화법-이태준론」, 『문학의 위족』, 민음사, 1990
이병렬, 『이태준 소설연구』, 평민사, 1998
장영우, 『이태준 소설연구』, 태학사, 1996
정한숙, 『현대한국문학사』,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0
조용복, 『월북 예술가, 오래 잊혀진 그들』, 돌베개, 2002
Ⅰ. 서론
Ⅱ. 본론
1. 이태준의 삶
2. 이태준 소설의 특징
1) 소설미학
(1) 창작기법
① 서정성
② 객관적 서술태도
③ 아이러니 기법
(2) 인물의 창조
(3) 작품의 개작
2) 등장인물의 기능과 특징
(1) 인물묘사를 통한 시대의식의 표현
(2) 등장인물과 특징
① 좌절하는 지식인
② 몰락한 노인
③ 착하지만 다소 모자라는 인물
④ 경제적으로 무력한 하층민
(3) 해방 후 소설에 나타난 시대의식
3. 이태준 소설의 문학사적 의의
Ⅲ. 결론
기존의 평가
그러나 상허의 단편들이 그렇게 짜임새 있고 인물묘사나 문체에 있어 성공적이면서도 거기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성격 때문에 시대의식의 부재, 감상주의 등으로 비난을 받아왔다.
이남호, 앞의 책, p373
표현에의 강조는 필연적으로 주제의 약화, 곧 작품의 사상성을 감소시킨다. 강조점이 각각의 요소의 표현에 놓여지게 되면 작품은 정신의 제시보다는 부분의 繪 化, 이미지화에 치중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최재서의 「단편작가로서의 이태준」
최재서, 「단편작가로서의 이태준」,『한국현대문학비평사 자료』5권, pp246-249
은 그 후에 나오는 이태준에 관한 논의의 골격을 이룬다는 점에서 중요한 글이다. 최재서는 이태준의 단편소설을 다각도로 검토하여 소설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유형과 함께 그 인물들의 유모어와 페이소스, 그리고 현실과의 괴리를 지적하고 있다. 그는 이태준 단편소설에 등장하는 인물의 특성으로, <낙백한 유자, 누항에 침면하는 퇴기, 불우한 소학교원이나 혹은 유랑하는 농민, 어리석은 신문배달부, 생에 희망을 잃은 노인 등 인생의 그늘 속에서 움직이는 희미한 존재들의 고독과 애수가 동정과 유모아로 그려지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이러한 인물들이 선명하게 나타나기는 하지만 현대인이 즐겨하는 사상적 고민이 없고 사회적 관심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시대적 거리를 가지지 않을 수 없는 커다란 결점이 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지적은 그 후 이태준의 단편을 이해하는 데에 하나의 틀로 굳어진다.
이병렬, 앞의 책, p2
이태준의 인물들이 모두 현실의 역동적 삶과는 멀리 떨어진 인간군이기 때문에 그의 단편은 시대적 거리를 가지지 않을 수 없고, 그것은 커다란 결점이라는 것이다.
이남호, 앞의 책, p372
김우종 역시 역사부재와 사상부재의 작품경향을 상허의 지극히 큰 맹점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김우종, 『한국현대소설사』, 성문각, 1978
새로운 인식
위와 같은 지적들이 이태준 소설의 한계라고 언급되어 온 것들이다. 그러나 이런 역사의식 부재의 문제는 1998년 이후 각 대학의 대학원을 중심으로 재평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 대표적 인물인 강진호는 상허 소설의 사회성을 인정하면서도 그것이 작품의 전면에 부각되지 못하고 심정적 차원의 서술로만 일관되어 있음을 부정적으로 평가한다.
강진호, 「이태준 연구」, 고려대 대학원 , 1987 , pp119-120
이것은 상허가 현실감각을 지니지 못하고 시대와는 동떨어진 골동취미에 감상적으로 매몰되어 있다는 기존의 견해에서 진일보한 것이다.
이남호 , 앞의 책, p374
그리고 더 나아가 이남호는 종래의 연구가들이 이태준의 작품을 너무 표면적인 구조로만 해석한 경향에 비판을 가하면서 이태준 소설의 이해를 위해서는 1930년대라는 시대상황과 문학적 상황이 고려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아울러 이태준의 소설은 <성격 창조와 문체 그리고 짜임새가 뛰어나 현실비판의 표면적 강렬성이 약화되었을 뿐 현실비판은 지속적인 울림으로 남아있는 것>
이남호, 앞의 책, pp373-374
이라 평가하고 있다.
Ⅲ. 結論
이태준 소설은 뛰어난 창작기법, 즉 서정적 이미지의 기법과 객관적 서술 태도, 아이러니와 시대의식이 반영된 선명한 인물 창조 등을 통해 한국 단편소설의 수준을 한 차원 높여 놓았다. 그리고 이는 이태준의 뒤를 이어 현대 문학의 맥을 이어가는 많은 작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이러한 탁월성에도 불구하고 이태준 소설은 '역사부재와 사상부재'
김우종, 앞의 책, pp250-251
라는 비난을 받아왔다. 이태준의 소설의 주인공들은 인생에 패배한 인물'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는 시대와의 거리를 가질 뿐만 아니라 과거지향적이고 패배적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하였지만 우리는 그것을 인물의 형상화를 통해 당시 비참했던 식민지 현실을 우회적으로 비판한 것으로 본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이태준의 초기작이나 전성기의 작품에도 이념은 존재한다고 본다. 문제는 그가 현실을 바라보고 가치평가를 내리는 우선순위가 여타의 작가와 다른 것이며, 현실을 형상화하는 초점이 다른 것이다. 상허는 현실을 본질적으로 규정하는 거대담론을 직설적으로 표현하기보다는 그것을 정서화, 내면화시키는 방식으로 표현하였다. 오히려 30년대 후반의 양상은 일제 말기의 폭압적인 현실이 단편의 근대적 수위를 높이려는 상허의 작업을 불가능케 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이미 초기작부터 그 정도의 현실인식은 존재해 왔던 바, 그것이 단편의 근대성을 높이는 작업에 의해 수면 위로 떠오르지 않은 것뿐이다. 현실이 이 정도의 여유도 허락하지 않는 시기에 들어 상허는 현실의 문제를 미학적 간접화법으로 표출한 것이다.
【참고자료】
강진호, 「이태준 연구」, 고려대 대학원 , 1987
김우종, 『한국현대소설사』, 성문각, 1982
박헌호, 「이태준과 한국 근대소설의 성격」, 소명출판, 1999
서종택, 「이태준 단편소설」,『한국현대소설연구』, 새문사, 1990
유종호, 「인간사전을 보는 재미」, 유종호 편, 『이태준』, 1996
이기인 편, 『이태준』, 새미출판사
이남호, 「시대에 대한 미학적 간접화법-이태준론」, 『문학의 위족』, 민음사, 1990
이병렬, 『이태준 소설연구』, 평민사, 1998
장영우, 『이태준 소설연구』, 태학사, 1996
정한숙, 『현대한국문학사』,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0
조용복, 『월북 예술가, 오래 잊혀진 그들』, 돌베개, 2002
Ⅰ. 서론
Ⅱ. 본론
1. 이태준의 삶
2. 이태준 소설의 특징
1) 소설미학
(1) 창작기법
① 서정성
② 객관적 서술태도
③ 아이러니 기법
(2) 인물의 창조
(3) 작품의 개작
2) 등장인물의 기능과 특징
(1) 인물묘사를 통한 시대의식의 표현
(2) 등장인물과 특징
① 좌절하는 지식인
② 몰락한 노인
③ 착하지만 다소 모자라는 인물
④ 경제적으로 무력한 하층민
(3) 해방 후 소설에 나타난 시대의식
3. 이태준 소설의 문학사적 의의
Ⅲ. 결론
추천자료
<< 삼대의 등장인물들을 통해 본 1930 년대의 현실... >>
이효석의 후기 단편소설에서의 자연
영미단편소설 How Plot Reveals 번역하기
에드가 엘렌 포우의 단편소설을 읽고.
오만과 편견 줄거리와 등장인물 소개
박지원의 삶과 그의 단편소설
김동리의 단편소설
현진건의 단편소설 불 감상
최윤 단편소설 <저기 소리없이 한점 꽃잎이 지고> 와 장선우 장편영화 <꽃잎> 감상문
포레스트 검프의 등장인물 성격 분석하기
[국어교재연구] 등장인물의 가치를 알아보고 습득하기(지도안)
[영화비평문] 바보들의 행진 비평문 - 주요 등장인물, 그들이 맡은 역할, 등장인물의 성격
현대소설의 주제탐색 (단편소설분석 종합본)
영화 레옹의 주인공 인물탐구(영화감상문, 영화주인공, 등장인물탐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