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계면활성제의 성질
2.계면활성제의 용도
3.계면활성제의 종류
양이온 계면활성제
◎종류
1.아민염형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2.제4암모늄형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종류
1.비누
2.술폰산염형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3.황산 에스테르형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4.기타
양성이온 계면활성제
◎종류
1.아미노산형 양쪽성 계면활성제
2.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
3.기타
비이온 계면활성제
◎종류
1.폴리에틸렌글리콜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2.계면활성제의 용도
3.계면활성제의 종류
양이온 계면활성제
◎종류
1.아민염형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2.제4암모늄형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종류
1.비누
2.술폰산염형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3.황산 에스테르형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4.기타
양성이온 계면활성제
◎종류
1.아미노산형 양쪽성 계면활성제
2.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
3.기타
비이온 계면활성제
◎종류
1.폴리에틸렌글리콜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본문내용
1.비누
비누는 최고로 오래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이고 장쇄지방산의 알칼리 금속염이고, 주로 유지 의 가성소오다에 의한 비누화(saponification)에 의해 제조된다.
RCOOCH2 CH2OH RCOOCH + 3NaOH → 3RCOONa + CHOH RCOOCH2 CH2OH
* 비누종류 : 목욕용(고형), 세탁용(고형, 분말), 약용, 공업용(고형, paste) 등.
* 원료
유지 : 우지, 야자유, 돈지, 팜유, 팜핵유, 올리브유 및 피마자유 등.
첨가물 : 산화 방지제, 착색제, 향료 혹은 lanolin과 squalane 등.
(세탁 비누) ; 내경수 첨가제-탄산나트륨, 규산나트륨(sodium silicate) 혹은 폴리인산(polyphosphoric acid) .
(약용비누) ; 소독제 첨가.
2.술폰산염형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 대표적인 합성세제의 주성분 : 알킬벤젠으로부터 합성(LAS: Linear alkylbenzene sulfonate) α-olefin로 부터 합성되는 것(AOS: -olefin sulfonate)
* 알킬벤젠: 이전 - propylene의 사량체로부터 유도(측쇄 메틸기가 생분해성을 저하시킴). 현재 - 장쇄 클로로알칸(장쇄 알켄)에서 합성되는 직쇄 알킬기를 가진 알킬벤젠.
* α-올레핀 술폰산염 : Soft세제로서 사용. 술폰화 ; 황산, 공업적으로는 발연황산, 무수황산, 설판(삼산화황의 3량체) 등이 사용. 염색 보조제 ; 뛰어난 성능을 가지는 이게폰 T나 양호한 침투제인 에어로졸 OT도 술폰 산염형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알칸술폰산염(SAS) ; 파라핀을 원료로하여 합성되며, 세제 등에 이용
3.황산 에스테르형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고급알콜, -올레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를 황산, 발연황산, 클로르술폰산, 무수황산과 반응.
* 액체 세제(테이폴) : α-올레핀으로부터의 황산에스테르는 액체세제의 중요한 원료.
* 샴푸 : 수용성이 크고, 경수 중에서 기포성이 큰 특징을 가진 폴리옥시에틸렌기가 사용.
* 황산화유 : 피마자유와 올리브유를 부분적으로 황산에스테르한 것, 특히 전자를 로드유 (Turkey red oil)라고 하고 오랜 동안 섬유공업에 사용됨.
4.기타
* 정전기 방지제 : 인산 에스테르형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이용.
3양성이온 계면활성제
한 분자 내에 양이온과 음이온을 동시에 갖는 계면활성제로써 알카리에서는 음이온, 산성에서는 양이온의 특성을 나타낸다. 특히 다른 이온계면활성제에 비하여 피부에 안전하고 세정력, 살균력, 유연효과가 뛰어나다.
◎종류
1.아미노산형 양쪽성 계면활성제
* 등전점 ; 아미노산형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한가지 특성, 어떤 특정의 pH값에 있어서 염기 및 산의 해리도가 똑같이 되고 즉, 분자내 염을 형성하여 친수성이 현저하게 감소 하고 계면활성제로서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2.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
제4암모늄기와 carboxylate group을 가진 것으로 모든 pH에서 계면활성이 유지되고, 제3아민 을 모노클로로 아세트산으로 4급화한 것과 그밖에 imidazoline계의 것도 있다.
3.기타
천연의 양쪽성 계면활성제 ; 계란 노른자 중의 lecithin, 마요네즈 제조에서 효과가 있다.
4비이온 계면활성제
이온성에 의한 친수기를 갖는 대신 하이드록시기나 에틸렌 옥사이드기에 의한 물과의 수소결합에 의한 친수성을 갖는 계면활성제이다. 피부에 비교적 안정하여 세정제를 제외한 대부분의 화장품에는 이러한 형태의 계면활성제가 사용된다.
◎종류
1.폴리에틸렌글리콜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 고급 알코올, 알킬페놀의 산화 에틸렌 부가물.
-. 에스테르형의 합성
2.다가 알콜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 다가알코올의 mono, diester 및 그 산화에틸렌 부가물,
-. 지방산 알카놀아미드 및 그 산화 에틸렌 부가물.
-. 폴리올로 ; 글리세린, 펜타에리트리톨, 솔비탄, 설탕 등이 사용.
* 제법 -. 설탕 에스테르 ; 지방산 메틸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으로 합성, (용매 : 디메틸포름아마이드).
설탕과 지방산 에스테르를 유화상태에서 에스테르 교환반응시키는 새로운 방법이 개발 → 설탕 에스테르는 식용 계면활성제로서 중요함.
* 식품 첨가용(모노글리세라이드)
-. Span ; 솔비탄 에스테르.
-. 트윈(Tween) ; 솔비탄 에스테르의 산화 에틸렌 부가물.
*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및 산화 에틸렌 부가물 ; 거품 발생용 세제 첨가제로서 뛰어남.
비누는 최고로 오래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이고 장쇄지방산의 알칼리 금속염이고, 주로 유지 의 가성소오다에 의한 비누화(saponification)에 의해 제조된다.
RCOOCH2 CH2OH RCOOCH + 3NaOH → 3RCOONa + CHOH RCOOCH2 CH2OH
* 비누종류 : 목욕용(고형), 세탁용(고형, 분말), 약용, 공업용(고형, paste) 등.
* 원료
유지 : 우지, 야자유, 돈지, 팜유, 팜핵유, 올리브유 및 피마자유 등.
첨가물 : 산화 방지제, 착색제, 향료 혹은 lanolin과 squalane 등.
(세탁 비누) ; 내경수 첨가제-탄산나트륨, 규산나트륨(sodium silicate) 혹은 폴리인산(polyphosphoric acid) .
(약용비누) ; 소독제 첨가.
2.술폰산염형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 대표적인 합성세제의 주성분 : 알킬벤젠으로부터 합성(LAS: Linear alkylbenzene sulfonate) α-olefin로 부터 합성되는 것(AOS: -olefin sulfonate)
* 알킬벤젠: 이전 - propylene의 사량체로부터 유도(측쇄 메틸기가 생분해성을 저하시킴). 현재 - 장쇄 클로로알칸(장쇄 알켄)에서 합성되는 직쇄 알킬기를 가진 알킬벤젠.
* α-올레핀 술폰산염 : Soft세제로서 사용. 술폰화 ; 황산, 공업적으로는 발연황산, 무수황산, 설판(삼산화황의 3량체) 등이 사용. 염색 보조제 ; 뛰어난 성능을 가지는 이게폰 T나 양호한 침투제인 에어로졸 OT도 술폰 산염형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알칸술폰산염(SAS) ; 파라핀을 원료로하여 합성되며, 세제 등에 이용
3.황산 에스테르형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고급알콜, -올레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를 황산, 발연황산, 클로르술폰산, 무수황산과 반응.
* 액체 세제(테이폴) : α-올레핀으로부터의 황산에스테르는 액체세제의 중요한 원료.
* 샴푸 : 수용성이 크고, 경수 중에서 기포성이 큰 특징을 가진 폴리옥시에틸렌기가 사용.
* 황산화유 : 피마자유와 올리브유를 부분적으로 황산에스테르한 것, 특히 전자를 로드유 (Turkey red oil)라고 하고 오랜 동안 섬유공업에 사용됨.
4.기타
* 정전기 방지제 : 인산 에스테르형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이용.
3양성이온 계면활성제
한 분자 내에 양이온과 음이온을 동시에 갖는 계면활성제로써 알카리에서는 음이온, 산성에서는 양이온의 특성을 나타낸다. 특히 다른 이온계면활성제에 비하여 피부에 안전하고 세정력, 살균력, 유연효과가 뛰어나다.
◎종류
1.아미노산형 양쪽성 계면활성제
* 등전점 ; 아미노산형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한가지 특성, 어떤 특정의 pH값에 있어서 염기 및 산의 해리도가 똑같이 되고 즉, 분자내 염을 형성하여 친수성이 현저하게 감소 하고 계면활성제로서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2.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
제4암모늄기와 carboxylate group을 가진 것으로 모든 pH에서 계면활성이 유지되고, 제3아민 을 모노클로로 아세트산으로 4급화한 것과 그밖에 imidazoline계의 것도 있다.
3.기타
천연의 양쪽성 계면활성제 ; 계란 노른자 중의 lecithin, 마요네즈 제조에서 효과가 있다.
4비이온 계면활성제
이온성에 의한 친수기를 갖는 대신 하이드록시기나 에틸렌 옥사이드기에 의한 물과의 수소결합에 의한 친수성을 갖는 계면활성제이다. 피부에 비교적 안정하여 세정제를 제외한 대부분의 화장품에는 이러한 형태의 계면활성제가 사용된다.
◎종류
1.폴리에틸렌글리콜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 고급 알코올, 알킬페놀의 산화 에틸렌 부가물.
-. 에스테르형의 합성
2.다가 알콜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 다가알코올의 mono, diester 및 그 산화에틸렌 부가물,
-. 지방산 알카놀아미드 및 그 산화 에틸렌 부가물.
-. 폴리올로 ; 글리세린, 펜타에리트리톨, 솔비탄, 설탕 등이 사용.
* 제법 -. 설탕 에스테르 ; 지방산 메틸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으로 합성, (용매 : 디메틸포름아마이드).
설탕과 지방산 에스테르를 유화상태에서 에스테르 교환반응시키는 새로운 방법이 개발 → 설탕 에스테르는 식용 계면활성제로서 중요함.
* 식품 첨가용(모노글리세라이드)
-. Span ; 솔비탄 에스테르.
-. 트윈(Tween) ; 솔비탄 에스테르의 산화 에틸렌 부가물.
*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및 산화 에틸렌 부가물 ; 거품 발생용 세제 첨가제로서 뛰어남.
추천자료
Soil Flushing(토양 수세법)
나노 입자의 생체 내 응용
탄소강의 조직실험
화장품제조/유화제품제조/로션제조/크림제조
[자연과학]가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세제류 성분과 인체의 유해성
접합이론과 고분자 접찹제의 특징
복합재료인장실험보고서(결과)
연속흡착실험
아모레퍼시픽,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ot,st...
반도체 제조 공정
[에너지 절약방안] 재활용의 현황, 재활용 필요성, 폐기물 에너지 재활용
해피10월30기체(복합재료의 특징과 종류, 항공기에 적용되는 사례에 대해 조사하시오)
복합체(복합재료)에 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