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인의 의식구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간단한 호주인의 일상적인 특징
2. 사회의식의 배경
3. 나이트(knight)와 마이트(might)
4. 씨줄(latitude)과 날줄(longitude)
5. 종(從)사회와 횡(橫)사회

결론

본문내용

다. 대규모 생산의 메리트가 이 분야에서는 그리 명백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 등으로 호주 사회가 중소기업의 집합체에 가깝다고 하는 경제 분석적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러한 경제적인 측면 외에 사회학적인 분석에도 보면 한국 등 동양사회는 ‘종’사회이고 서구사회는‘횡’사회라고 한다. 즉, 한국 등에서는 윗사람, 아랫사람 등 기업의 일원으로서의 면이 강조되는 반면, 직능적인 ‘가로’의 유대가 약하다고 한다. 확실히 우리의 경우를 보더라도 기술자, 또는 직능자의 조합 같은 것이 발달되어 있지 않다. 이에 대해 서구사회는 ‘어떤 회사이냐’ 하는 것보다는 기사 또는 기술자, 사무원 등 그 직능에 중점을 있게 본다. 즉, 호주도 이와 같은 직능조합이다. 이러한 직능적인 사고방식이란 직업 집단적 시각에서 볼 때 옥석이 섞여진 회사의 간부나 목장의 소유주보다는 일정한 자격을 갖춘 의사, 변호사, 건축사, 기사 등이 높이 평가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 두 가지 경제 분석적이나 사회 분석적인 면에서 봤을 때 호주는 확실히 서구의 영향을 받은 횡적인 사회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
이상으로 호주인의 일상적인 특징과 사회적인 특징을 간략하게 알아보았다. 이러한 호주인의 특징에는 우리가 배워야 할 부분도 많았고 이러한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설명되는 호주만의 특징도 많았다. 조사하면서 확신 되었던 점은 아무리 호주가 최근에 백호주의를 버리고 스스로를 아시아라고 칭하면서 아시아와의 교역을 증대시키고 아시아 문화권을 이해하려 한다지만 그들의 실용주의적이고 그들만의 유대감과 동료애, 개인주의적인 성향을 보았을 때에는 그들의 기본적인 성향은 서구 유럽의 연장선상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호주의 이러한 특징으로 그들을 단순히 서구 유럽으로 치부해 버리기엔 지형적으로 아시아와 너무나도 가까이 있음에는 틀림없다.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 中 하나인 호주는 그들이 가지고 있는 잠재력과 안정된 그들의 경제, 무한한 지하자원 등을 보았을 때 아시아의 입장에서도 되도록이면 그들을 아시아의 문화권으로 끌어들여 아시아와의 교류를 증대시키고 그로 인해 호주에서부터 얻을 수 있는 수많은 이익을 얻어 내야 할 것이다. 계속해서 중복되는 얘기이지만 그들의 이러한 지리적 경제적 특성을 위해 우리는 그들과 더욱 교역을 증대시켜야 하지만 이 과정에서 그들의 서구적인 mind를 아는 것이 크게 도움이 되는 것이며 반드시 알아야 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급격한 발전보다는 여유를 택한, 우리와는 다른 길을 택한 호주에게서 우리나라의 발전을 위해 배울 점도 많고 기회가 된다면 꼭 한번 호주에 가서 살아보고 싶은 내 꿈을 위해서라도 그들의 겉 문화와는 달리 호주인의 특성에 대해 아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참고 문헌
·호주로 가는 길 - 全圭泰 - 知文社 - 1995
· 호주의 실상과 허상 - 김형식 - 이조출판사 - 1987
· 호주의 사회와 문화 - 김형식 - 지구문화사 - 1997
· 오세아니아 - 양승윤 - 한국외대 출판부 - 1998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5.08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86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