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도의 모든것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도의 모든것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낙법

2. 자세

3. 기술

4. 경기장

5. 심판법
1) 심판수신호
2) 심판용어

6. 유도벌칙행동

7. 경기시간

본문내용

기전 주심과 부심은 양선 수의 경기의 태도, 기술의 능숙도,기술공격의 결과 등을 비교하여 미리 어느 선수가 승자인가를 판단하여 생각해 두어야 한다. 주심은 양 부심이 판정표시한 의견에 자기의견을 합쳐서 삼자다수결의 원칙에 따라 결과를 결정하여 선언한다.
21. 반칙패의 판정이 내려지는 경우를 쓰시오?
1). 허벅다리 걸기, 허리후리기 등과 같은 기술을 걸거나 시도할 때에 몸을 앞이나 밑으로 숙이면서 머리를 먼저 자리에 박는 일
2). 상대가 등뒤에서 껴안았거나 제어하고 있을 때 고의로 뒤로 넘어지는 일
3). 딱딱한 물건 또는 반지등 금속물질
(천이나 테이프로 감은 것을 막론하고)을 지니고 있는 일(한판과 동등)
가장 엄한 벌칙 형태로 대단히 중대한 위반을 범했을 경우'경고+지도' 의 경우, '경고+주의'의 경우, '경고+경고'의 경우
22. 심판원의 채점기준을 쓰시오?
한판 승으로 승부를 결정짓지 못하고 경기 시간이 종료되었을 때 주심은 거기까지 (sore-made)를 선언하여 경기를 중지시키고 양 선수를 경기 개시 때의 위치에 세운 후 기록된 득점에 의하여 우세한 자를 승으로 한다. 한 번의 절반은 유효나 효과의 수 여하에 불구하고 우선한다. 절반을 얻지 못한 경우 1회 이상의 유효를 얻은 선수가 효과의 수 여하에 의하여 우위에 선다. 이러한 기준에 의하여 우열이 확실한 경우 주심은 승자를 확인한 후 승자를 지시한다. 기록된 점수가 없거나 위에 말한 절반, 유효, 효과 등의 점수가 동일할 때는 주심은 부심 2명에 대하여 판정 (hantei) 하고 소리치며 손을 높이 든다. 부심 2명은 이 신호에 응하여 홍, 백의 표식으로 지체 없이 우열을 표시한다. 만일 비김인 경우에는 홍, 백의 두 표식을 함께 든다.
23. 심판의 자질에 대해서 쓰시오?
주심은 원칙적으로 경기장내에 머물면서 경기의 모든 진행과 판정을 주관 집행한다. 주심
은 자신의 판정이 정확히 기록되고 있는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또한 주심은 득점을 선언할 때마다 해당 수신호를 하면서 선수를 시야에서 떼지 말고 부심의 이견표시여부를 살필 수 있는 자리로 움직여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주심은 경기에 집중하여 양 선수가 주심의 판단으로 인해서 손해를 보는 경우가 없도록 정확하고 공정한 판단을 할 수 있는 정확성과 공정성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24. 심판 용어를 우리말로 쓰고 난 뒤 국제용어로 고쳐 쓰시오?
업어치기 - Seoi-nage
빗당겨치기 - Tai-otoshi
어깨로 메치기 - Kata-guruma
다리들어메치기 - Sukui-nage
밭다리후리기 - Osoto-gari
허벅다리 걸기 - Uchi-mata
안다리후리기 - Ouchi-gari
모두 걸기 - Okuri-ashi-barai
허리후리기 - Harai-goshi
배재뒤치기 - Tomoe-nage
안오금띄기 - Sumi-gaeshi
곁누르기 - Kesa-gatame
위누르기 - Kami-shiho-gatame
가로 누르기 - Yoko-shiho-gatame
맨손 조르기 - Haaek-jibe
십자 조르기 - Nazi-juji-jime
팔가로누워꺽기 - Ude-hishigi-juji-gatame
한판 - Ippon
절반합해서한판 - Waza-ari awasete Ippon
절반 - Waza-ari
유효 - Yuko
효과 - Koka
시작 - hajime
그쳐 - matte
누르기 - Osaekomi-Waza
그래도 - Sonomama
거기까지 - sore-made
반칙패 - Hansoku-make
25. 유도 수련상의 일반적 준수사항을 열거하시오?
동양사상을 배경으로 하여 계승된 유도가 현대적으로 정리되어 급속한 성장을 거듭하게 됨은 격투기인 유도가 체육적 가치로 높이 평가받고 있기 때문이며 그것은 예의를 중시하기 때문이다. 유도는 예(禮)로 시작하여 예로 끝난다고 강조하고 있다. 그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첫째 상대를 메치고 ,누르고, 꺾고, 조르는 격렬한 연습상황에서도 상대의 인격을 존중하며 자기의 이성을 잃지 않고 몸과 마음을 바르게 수련할 수 있다는 의미를 담는 예를 갖추는 것이며, 둘째 시작할 때는 잘 가르쳐 달라는 의미와 잘 배웠다는 감사의 의미 그리고 존경한다는 의미가 있다. 끝날 때는 나의 기술향상의 기회를 갖도록 하여 준 것에 대한 감사의 뜻이 포함된 예를 갖추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이것은 바로 예의를 중시하는 동양사상을 배경으로 유도가 발달되었기 때문이다. 유도의 기술적 특성을 보아 마음먹기에 따라서 상대에게 고의적으로 큰 부상을 입힐 수도 있으나 그러한 마음을 갖지 않도록 항상 도복을 단정히 입도록 한다. 이것은 도복을 고쳐 입는 동안 격한 마음을 진정시키는 진정제역할을 하는 한 방법이 된다. 상대를 제압하려는 측면보다 예를 중시하기 때문에 체육적 가치보다는 교육적 의의가 더 높게 평가되고 있는 것이다. 예를 존중하는 마음이 없는 사회는 황폐해진다. 예로서 상대를 존중하는 마음을 갖고 상대가 존재하므로 내가 존재한다는 질서가 있는 사회를 만드는데 유도의 참뜻이 있다고 할 것이다.
26. 유도 지도자의 자세에 대해서 논하시오?
유도라는 무도의 한 종류인 무술을 가르치는 지도자로서의 자세는 무도라는 엄연한 한가지의 도를 가르치기 위한 기본적인 지도자적 자질이 갖추어져 있어야하며, 무도를 배우는 사람들을 위해서 먼저 준비된 지도자가 되어야한다고 생각한다. 배우는 사람들의 기량에 따라서 연습방법과 대련을 시켜야 하며, 종종 기량에 상관없이 대련이나 연습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중의 하나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유도의 지도자는 예의를 준수하는 무도의 지도자이기 때문에 먼저 예의를 갖추어 사람들을 대하며 가르치는 사람들에게도 예의를 강조하며 예의를 지키는 것을 가르쳐야 할 것이다. 유도 지도자는 항상 정진하는 마음으로 배우는 사람들을 예로 대하며 최선을 다하여 유도라는 무도를 배우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많은 가르침을 줄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동양의 예의바른 무도를 가르치는 지도자들이 많을수록 서양이나 다른 나라들의 사람들이 이를 본받아 예를 실천할 수 있도록 이끌어 나갔으면 좋겠다.
  • 가격3,0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10.05.10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93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