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의 민간신앙
1.한국인의 출생
2.한국인의 가정생활
3.가정신앙의 의미
4. 한국인의 마을생활
5.한국인의 무속신앙
6.한국 민간신앙의 성격
1.한국인의 출생
2.한국인의 가정생활
3.가정신앙의 의미
4. 한국인의 마을생활
5.한국인의 무속신앙
6.한국 민간신앙의 성격
본문내용
. 천연두가 유행했던 때의 별상신을 모시고 있다. 마을신으로 장군신을 모시며 군웅신과 대감신도 모신다. 연산군을 모신 부근당이 있으며 임겨업장군.최영장군.김천일의병장 등을 모시고 있다. 만신의몸주신으로도 장순신이 많으며 국수를 기원하는 국수당,국수산,수수정(우물)등이 있다. 이러한 모습은 강화의 역사적인 경험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아. 북방적 성격- 대체로 강신무는 남방계통의 세습무와 달리 북방계통의 부당을 보고 있다. 강화의 집고사를 주제하는 만신으 s대부분이 강신무로 가신들의 좌정시켜주며 제일을 복일하고 점을 바주고 만신네 집에가서 신당안의 무신도 앞에서 집고사를 지내기도 함으로써 북방적 전통의 가정신앙을 보여주고 있다. 강신무인 만신이 집고사를 주제함으로써 강화의 집고사가 북방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소나무는 침옆수종의 상록수로 고온다습한 기후보다 한랭건조한 곳에서 자라는 북방계의수종이다. 이러한 생소나무를 성주대의 신목으로 사용하는 것도 남방계의 대나무신목과 대비되는 북방적인 성격을 보여주는 것이라 볼 수 있다.
그리고 제물에 북어를 사용하고 있는데 북어는 한류성물고기로서 경상북도 이북의 동해안지역에서 많이 잡히는 명태를 말린것이다. 이는 북해에 사는 물고기라는 의미로 북어라고하는 것으로 북방적인 요소를 지닌것이라고 할수 있다.
이와같이 강신무.소나무신목,북어제물등은 북방적인 요소를 지니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사. 포용성- 한 가옥내에 여러가신을 모시고 있다. 한 방 내에도 여러 가신이 함께 병존해있다. 한 마을내에도 여러당이 있다. 한 당내에도 여러 마을신을 함께 모시고 있다. 한 신이 여러기능을 하고 있다. 집고사 안에서도 마을신을 포용한다. 그런가 하면 마을굿을 거행할때도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집고사를 지내준다. 집고사의 제물을 마을 주민과 함께 먹는다. 마을굿에 이웃마을 주민과 상인 행인도 참여하며 음복도 이들과 함께 한다. 마을굿에 서 마을주민의 명복뿐 아니라 국수와 국태민안까지도 기원한다. 만신을 여러 몸주신을 모시고 있으며 신당안에 여러 무신도와 무복 무구 등을 가지고 있다. 신 어머니뿐 아니라 스님에게도 배우며 산에가서도 창을 배워 여러 스승으로부터 배운다. 뒷전에서는 주인없는 여러 영산들을 포용하여 조상신으로 포용한다. 불교적.도교적.유교적.전통적 신을 포용할 분아니라 중국의 장군신도 포용하며 시간적으로도 고대로부터 최근세의 신까지도 포용하고 있다.
자. 주체적 성격 인간은 신의 점지로 태어난 신성한 존재로 인식하고 있으며 강화에는 민족의 시조인 단군의 성소유적을 가지고 있다. 각 가정의 마당에는 5방지신을 모시고 있으며 마을 입구에도 5방 수살대를 모심으로써 개인.가정.마을의 중심의식.주제의식.자존의식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하여 반 외세의 자주적인 의식이 강하다. 마을굿 날짜가 정해지면 전 주민이 자발적으로 금기를 지키며 형편에 따라 자발적으로 제비를 낸다. 년장자를 우대하여 최연노자.최연노 만신이 마을굿을 주제한다. 만신들은 몸주신으로 많은 신들을 모시고 있다. 나라 만신으로서 대동의 일심 단결과 국태민안을 기원한다. 복덕과 이익을 주는 귀한자리에 있다는 자부심과 헌신적 사명감으로 공적직능의 전통성을 지켜오고 있다. 조상을 중시하여 조상거리를 앞에 거행한다. 우주의 중심.지구의 중심.한국의 중심이라는 의식에서 5방 수살대를 세운다. 본향의식을 지닌 자존적인 주체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같이 강화의 주민들은 자발적 자율적으로 계획.주도.실천하고 있는 주인의식을 지니며 강한 신뢰감 속에서 전통성을 지켜오며 주민들이 중심이 되어 여러 이질적 요소들을 포용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아. 북방적 성격- 대체로 강신무는 남방계통의 세습무와 달리 북방계통의 부당을 보고 있다. 강화의 집고사를 주제하는 만신으 s대부분이 강신무로 가신들의 좌정시켜주며 제일을 복일하고 점을 바주고 만신네 집에가서 신당안의 무신도 앞에서 집고사를 지내기도 함으로써 북방적 전통의 가정신앙을 보여주고 있다. 강신무인 만신이 집고사를 주제함으로써 강화의 집고사가 북방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소나무는 침옆수종의 상록수로 고온다습한 기후보다 한랭건조한 곳에서 자라는 북방계의수종이다. 이러한 생소나무를 성주대의 신목으로 사용하는 것도 남방계의 대나무신목과 대비되는 북방적인 성격을 보여주는 것이라 볼 수 있다.
그리고 제물에 북어를 사용하고 있는데 북어는 한류성물고기로서 경상북도 이북의 동해안지역에서 많이 잡히는 명태를 말린것이다. 이는 북해에 사는 물고기라는 의미로 북어라고하는 것으로 북방적인 요소를 지닌것이라고 할수 있다.
이와같이 강신무.소나무신목,북어제물등은 북방적인 요소를 지니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사. 포용성- 한 가옥내에 여러가신을 모시고 있다. 한 방 내에도 여러 가신이 함께 병존해있다. 한 마을내에도 여러당이 있다. 한 당내에도 여러 마을신을 함께 모시고 있다. 한 신이 여러기능을 하고 있다. 집고사 안에서도 마을신을 포용한다. 그런가 하면 마을굿을 거행할때도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집고사를 지내준다. 집고사의 제물을 마을 주민과 함께 먹는다. 마을굿에 이웃마을 주민과 상인 행인도 참여하며 음복도 이들과 함께 한다. 마을굿에 서 마을주민의 명복뿐 아니라 국수와 국태민안까지도 기원한다. 만신을 여러 몸주신을 모시고 있으며 신당안에 여러 무신도와 무복 무구 등을 가지고 있다. 신 어머니뿐 아니라 스님에게도 배우며 산에가서도 창을 배워 여러 스승으로부터 배운다. 뒷전에서는 주인없는 여러 영산들을 포용하여 조상신으로 포용한다. 불교적.도교적.유교적.전통적 신을 포용할 분아니라 중국의 장군신도 포용하며 시간적으로도 고대로부터 최근세의 신까지도 포용하고 있다.
자. 주체적 성격 인간은 신의 점지로 태어난 신성한 존재로 인식하고 있으며 강화에는 민족의 시조인 단군의 성소유적을 가지고 있다. 각 가정의 마당에는 5방지신을 모시고 있으며 마을 입구에도 5방 수살대를 모심으로써 개인.가정.마을의 중심의식.주제의식.자존의식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하여 반 외세의 자주적인 의식이 강하다. 마을굿 날짜가 정해지면 전 주민이 자발적으로 금기를 지키며 형편에 따라 자발적으로 제비를 낸다. 년장자를 우대하여 최연노자.최연노 만신이 마을굿을 주제한다. 만신들은 몸주신으로 많은 신들을 모시고 있다. 나라 만신으로서 대동의 일심 단결과 국태민안을 기원한다. 복덕과 이익을 주는 귀한자리에 있다는 자부심과 헌신적 사명감으로 공적직능의 전통성을 지켜오고 있다. 조상을 중시하여 조상거리를 앞에 거행한다. 우주의 중심.지구의 중심.한국의 중심이라는 의식에서 5방 수살대를 세운다. 본향의식을 지닌 자존적인 주체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같이 강화의 주민들은 자발적 자율적으로 계획.주도.실천하고 있는 주인의식을 지니며 강한 신뢰감 속에서 전통성을 지켜오며 주민들이 중심이 되어 여러 이질적 요소들을 포용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