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정의
원인
역학
병태생리
증상
진단
치료
간호
합병증 및 예후
원인
역학
병태생리
증상
진단
치료
간호
합병증 및 예후
본문내용
필요하 고, 관상동맥 협착 또는 폐쇄에 의한 허혈 소견이 있을 때에는 심근 산소 소비를 줄이 기 위하여 칼슘 통로 차단제를 투여하며, 경피적 관상동맥 성형술이나 외과적 관상동 맥 우회술을 고려한다. 최근 전체 사망률을 0.1%로 보고 있다.
간 호
→ 가와사키병 아동의 간호는 진단을 돕고 치료를 지지하고 급성기와 만성기 동안 아동의 가족을 지지하는 것이다.
→ 간호사는 열이 계속 나는 아동에게 조기에 의학적 평가를 받게 격려해야한다.
→ 아스피린투여에 관하여 아동과 가족을 이해시키며, 합병증의 중요성, 독성의 초기증상 에 대해 교육한다.
→ 급성기 동안 조심스런 감시가 필요하며 만성기에는 세심한 추후 간호가 필요하다.
→ 장기간 앓을 동안에는 병의 진전 상태를 감시해야 하며, 심에코도와 심전도 같은 심장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진단적 검사와 외래 방문이 필요하다.
→ 영양과 개인위생, 정상활동도 강조 되어야한다.
합병증 및 예후
▶ 합병증 : 거대 관상 동맥류 ( 지름 8mm 이상 ) 는 파열, 혈전 형성 폐쇄에 의한 심근 경색의 위험이 있다.
▶ 예후 : 관상동맥의 후유증이 없을 때는 예후가 양호하다. 2~3%의 환자에서 재발을 볼 수 있다. 사망률은 1~2%정도이다.(일본 초기 통계)
◑ 참고 문헌 ◑
- 아동간호학 각론 : 수문사
- 소아과 진료 제8판 : 고려의학
- 소아과학 : 홍창의편 완전개정7판 (대한교과서<주>)
◑ 참고 사이트 ◑
- http://www.medidoctor.net/가와사키병.htm
- http://user.chol.com/~ms0124/kawasaki0.htm
간 호
→ 가와사키병 아동의 간호는 진단을 돕고 치료를 지지하고 급성기와 만성기 동안 아동의 가족을 지지하는 것이다.
→ 간호사는 열이 계속 나는 아동에게 조기에 의학적 평가를 받게 격려해야한다.
→ 아스피린투여에 관하여 아동과 가족을 이해시키며, 합병증의 중요성, 독성의 초기증상 에 대해 교육한다.
→ 급성기 동안 조심스런 감시가 필요하며 만성기에는 세심한 추후 간호가 필요하다.
→ 장기간 앓을 동안에는 병의 진전 상태를 감시해야 하며, 심에코도와 심전도 같은 심장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진단적 검사와 외래 방문이 필요하다.
→ 영양과 개인위생, 정상활동도 강조 되어야한다.
합병증 및 예후
▶ 합병증 : 거대 관상 동맥류 ( 지름 8mm 이상 ) 는 파열, 혈전 형성 폐쇄에 의한 심근 경색의 위험이 있다.
▶ 예후 : 관상동맥의 후유증이 없을 때는 예후가 양호하다. 2~3%의 환자에서 재발을 볼 수 있다. 사망률은 1~2%정도이다.(일본 초기 통계)
◑ 참고 문헌 ◑
- 아동간호학 각론 : 수문사
- 소아과 진료 제8판 : 고려의학
- 소아과학 : 홍창의편 완전개정7판 (대한교과서<주>)
◑ 참고 사이트 ◑
- http://www.medidoctor.net/가와사키병.htm
- http://user.chol.com/~ms0124/kawasaki0.htm
키워드
추천자료
아동간호진단-가와사키
세기관지염 broncholitis 케이스(아동간호학)
기관지염 열성경련 아동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아동간호학]소아과 케이스 스터디, 요로감염(UTI), case study
영아의 건강문제 (아동간호학)
[아동간호학] 고위험신생아 case study 간호과정
[09-1_정규]_아동간호학_기말고사_예상문제
[아동간호학][Febrile seizures][열성경련]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아동간호학] 미숙아 케이스
[아동간호학] 신생아 신체사정
[아동간호학] 가사, 중이염 Asphyxia 문헌고찰
아동간호학 실습 과제 02 (신생아·아동의 심폐소생술, 아동의 활력징후 측정, 아동의 경구투...
[아동간호학 兒童看護學] 뇌성마비(cerebral palsy) 아동의 특징과 관리(뇌성마비 아동의 정...
[아동간호학] 선천적 문제 - 염색체 이상& 다운증후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