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몬교는 기독교인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몰몬교는 기독교인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회가 죽은 자를 위한 침례에 관한 주제를 다룰 때 이 교회들이 당면하는 문제는 바울을 믿느냐 믿지 않느냐에 있는 게 아니라 문제는 바울이 이 비평적인 구절로 뜻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정확히 아느냐에 있다. 성서는 이 주제에 관하여 더 이상의 정보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은 교리를 형성할 만큼 바울의 의도를 충분히 모른다고 생각해 이 구절을 예외로 접어둔다. 이 구절은 "바울이 무엇을 나타내려고 했던지 간에 그의 말은 의심할 여지없이 옳다. 그러나 바울의 의도하는 바가 무엇이었는지 확실히 알 수 없다."고 말한다.
아담-하나님 이론
후기성도의 전통에서 찾아볼 수 있는 변칙의 고전적인 한 예는 소위 "아담-하나님 이론"이다. 19세기 후반기에 브리감 영은 후기성도들이 지금까지 결코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아담과 하나님과의 관계를 언급한 적이 있다. 그가 한 것으로 알려진 말은 브리감 영 회장이 다른 시기에 언급했던 말과 상반될 뿐만 아니라 브리감 영 이전이나 이후의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의 교리와도 상반된다. 그렇다면 후기 성도들은 이 현상을 어떻게 다룰까? 예외이기 때문에 우리는 이를 다루지 않고 단순히 무시해 버린다. 한번은 브리감 영 대학교의 동료 교수들과 브리감 영이 실제로 무엇을 말하려고 했는지 그리고 그 말이 무엇을 뜻하는지 알아보려고 시도해 보았으나 시도할 적마다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 브리감 영이 하였다고 하는 그 말은 도저히 이해가 안 되는 말이다. 이것은 그것을 믿느냐 믿지 않느냐 하는 문제가 아니다. 우리는 단지 그것이 무엇인지 모르는 것이다. 만약 브리감 영이 이곳에 있다면 우리는 그에게 그가 한 말이 무슨 뜻이었는지 물어 볼 수 있겠으나 그는 이곳에 있지 않다. 그리고 브리감 영을 전문적으로 연구한 전문가들도 그가 말을 잘못한 건지, 아니면 그가 하려고 했던 말은 이런 건데 실제로는 다른 말을 한 건지, 아니면 성도들을 시험해 보기위해 농담한 건지, 아니면 이해하는데 필요한 어떤 중요한 요소가 생략된 건지 전혀 모른다.
그러나 후기성도들에겐 이 문제는 논의의 여지가 있다. 왜냐하면 브리감 영의 말이 옳든 그르든 그가 한 말은 지지투표를 받기 위해 교회 회원들에게 결코 제시된 적이 없기 때문이다. 그의 말은 과거에도 교회의 교리가 아니었으며 지금도 마찬가지다. 자신의 실험 결과를 설명 할 수도 없고 반복할 수도 없는 화학자처럼 교회는 이 현상을 단순히 예외로 처리한다.
그럼에도 반몰몬 비평가들은 브리감 영이 한 말을 그들 멋대로 해석했을 뿐만 아니라 "아담-하나님 이론"을 예수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의 공식 교리로 승격시켜 놓았다. 다시한번 몰몬의 교리가 몰몬의 비평가들에 의해 만들어지게 된 것이다. 이들에 따르면 브리감 영은 이브의 남편이자 가인의 아버지였던 아담이 영들의 아버지이자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이자 하나님인 엘로힘과 동일하다고 가르쳤다고 한다. 그러나 후기성도들에겐 이와 같은 해석은 언제든지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이러한 해석은 후기성도의 경전과도 상반되며, 조셉 스미스의 가르침과도 다르며, 브리감 영이 동일한 그 시기에 했던 말과도 상반되기 때문이며, 브리감 영이 친숙하게 잘 알고 있었던 후기성도 성전의 성스러운 의식과도 상반되기 때문이다.
문제는 반몰몬들이 그들이 원하는 바를 믿을 수 있지만 후기성도들은 반몰몬 서적에서 설명되듯이 브리감 영이 "아담-하나님 이론"을 가르쳤다고 결코 믿지 않았으며 또 브리감 영이 그것을 믿었든지 믿지 않았든지 간에 반몰몬들이 제시하고 해석하는 "아담-하나님 이론"은 후기성도의 신학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본인도 이것을 믿지 않는다. 본인의 부모님도 이를 믿지 않았고 조부모님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우리 적들이 만들어 놓은 아담-하나님 이론을 후기성도의 가장 특정적인 교리로 제시하지 않는 반몰몬 서적들이 거의 없다. 이것이야 말로 잘못 제시하는 것이다. 이것은 정직하지 못한 짓이며, 후기성도가 기독교인이 아니라는 비난을 정당화시키기 위해 사용될 때 이는 후기성도들이 믿지 않거나 가르치지 않는 것을 두고 후기성도를 비난하는 또 다른 예인 것이다.
5. 요 약
지금까지의 내용을 요약해 보면 후기성도는 조작이든 왜곡이든 또는 변칙이든 간에 그들이 믿지 않는 것으로 인해 비기독교인으로 간주 될 수 없다.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의 교리는 명확하게 정의 되어 있으며 누구든지 쉽게 구해볼 수 있다. 교회의 표준 경전(성경, 몰몬경, 교리와 성약 그리고 값진 진주)에서 찾아볼 수 있거나 총회에서 교회 회원에 의해 지지된다면 이는 교회의 공식 교리다. 교회가 지지한 사람이나 성역을 베풀 수 있는 열쇠를 지닌 사람이 교회의 공식 정책이자 절차라고 말하면 공식 정책이 된다. 다른 종파들은 자신들의 교리와 정책을 정의하고 해석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고 주장한다. 그렇다면 후기성도에게도 똑같은 권리를 주어야 할 것이다.
출처: <몰몬은 기독교인인가?>
저자에 관하여:
스테반 이 라빈슨(Stephen E. Robinson)은 브리감 영 대학교에서 영문학과 고대 경전학에서 각각 학사와 석사 학위를 받고 듀크 대학교 (Duke University)에서 성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저자는 장로교회 대학인 Hampden-Sydeny 대학과 감리교회 대학교인 듀크 대학교와 Lycoming 대학에서 종교학을 가르쳤다. Lycoming 대학에서 종신 교수직을 받고 이 학교의 종교 학과장과 펜실 베니아 윌리암포트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의 감독직을 겸임했었다. 어쩌면 저자는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대학이 아닌 다른 대학 종교학과에서 종신 교수직을 받은 유일한 후기성도일 것이다.
1991년 브리감 영 대학교 고대 경전과 학과장으로 부임한 저자는 대학내의 여러 위원회에 봉사하고 있으며 종교 연구 센터의 값진 진주 분과 과장이기도 하다.
저자의 다른 저서로는 많은 후기성도들이 잘못 이해하고 있는 그리스도의 속죄와 개인의 구원과의 관계를 여러 가지 비유로 명쾌하게 설명한 Believing Christ가 있다. 이 서적은 <몰몬은 기독교인인가?> 와 더불어 후기성도들이 읽는 베스트 셀러로 뽑힌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0.05.14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07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