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안전지도
가. 부상의 예방
1) 부상을 입기 쉬운 어린이 입게 하기 쉬운 어린이
2) 부상을 입지 않게 하기 위한 배려
나. 안전지도
1) 천재나 화재에 대한 대책
2) 원내 생활의 사고방지
3) 교통사고 방지
4) 유괴 사고 방지
2. 응급처치
가. 응급법의 기초지식
1) 보육원의 구급법
2) 응급처치의 수칙
3) 관찰의 방법
4) 구급 조치의 6대원칙
5) 응급환자
나. 상 처(기타자료 참고)
다. 귀, 눈, 코, 목에 이물질이 들어갔을 때
라. 머리를 부딪 혔다
마. 화 상
바. 코 피
사. 일광으로 인한 병
3. 질병의 예방 및 간호
1) 질병의 예방
2) 질병의 간호
3) 약먹이기
4. 참고문헌
가. 부상의 예방
1) 부상을 입기 쉬운 어린이 입게 하기 쉬운 어린이
2) 부상을 입지 않게 하기 위한 배려
나. 안전지도
1) 천재나 화재에 대한 대책
2) 원내 생활의 사고방지
3) 교통사고 방지
4) 유괴 사고 방지
2. 응급처치
가. 응급법의 기초지식
1) 보육원의 구급법
2) 응급처치의 수칙
3) 관찰의 방법
4) 구급 조치의 6대원칙
5) 응급환자
나. 상 처(기타자료 참고)
다. 귀, 눈, 코, 목에 이물질이 들어갔을 때
라. 머리를 부딪 혔다
마. 화 상
바. 코 피
사. 일광으로 인한 병
3. 질병의 예방 및 간호
1) 질병의 예방
2) 질병의 간호
3) 약먹이기
4. 참고문헌
본문내용
(幼)아는 15%를 넘으면 쇼크를 일으킬 염려가
있기 때문에 의사의 진찰을 받는다.
- 화상은 1도 - 3도로 구분할 수 있는데 1도 화상은 피부가 벌겋고 수포는 없으며 2도 화상은 피부에
수포가 있고 3도 화상은 피부 층이 파괴된 것이다. 깊은 화상은 아무리 부위가 작더라도 의학적인
치료가 요구된다. 그러나 넓은 부위의 표면적인 화상은 더 위험하며, 체액손실로 쇼크가 온다. 피부에 수포가 없고 경한 정도이며, 면고를 발라서 고통을 덜어준다. 만일 수포가 있으면 아무것도
바르지 않으며 수포를 터트리지 말고 소독된 거즈와 붕대로 드레싱 한다.바. 코 피- 코피의 원인으로는 머리에 큰 충격을 받은후나 비염, 비중격 만곡중, 인두염외에 백혈병, 혈우병,
빈혈 등의 혈액질환, 신염 등의 전신질환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유아기에는 정상일지라도 빈번히
코피가 나오는 경우도 있다.- 코피가 나오면 약간 머리를 숙이고 의자에 앉히거나 옆으로 향하게하여 재운다. 콧구명을 단단하고
둥근 솜으로 막고, 코를 강하게 잡아 누른다. 또한 코 위를 차갑게 하면 효과적이다. 보통 5 - 6분
정도에 지혈되지만 다량 출혈이나 시간이 더 경과해도 멎지 않는 경우 의사에게 보인다.- 코피가 목구멍으로 흐를 때는 반드시 토해내게 하는 일이 중요하다. 마셔버리면 기분이 나쁘게 되기도
하고 혈액이 목구멍으로부터 이관(耳管)을 통해 중이(中耳)에 들어가서 중이염을 일으키는 일도 있다.- 코피가 나올 때 아이의 모습, 발열, 두통, 구역질, 상처 등의 유무를 조사하고 상처가 보일 때에는
지혈 응급처치를 하고 곧바로 의사의 진찰을 받는다.
사. 일광으로 인한 병- 햇볕에 화상을 입었을 때는 화상과 같은 치료를 한다. 햇볕에 오래 노출 되었을 경우 일사병이나
열사병이 나타날 수도 있다. 열사병(heat exhaustion)은 날씨가 덥고 습기가 높아서 땀을 많이 흘렸을 때
많이 발생한다. 수분과 염분 손실로 쇼크가 나타난다.- 증상은 근육경련, 피로, 불안정, 창백한 얼굴 그리고 차갑고 축축한 피부상태를 나타낸다.
가끔 어리럽고 두통, 오심, 식욕감퇴, 빠른 호흡, 그리고 빠른 맥박이 나타난다.
환자의 얼굴을 빨갛게 상기되어 뜨겁고 피부는 건조하고 고열(40℃)이 있다. 호흡이 시끄럽고 맥박은
강하며 빠르다. 무감각한 상태거나 또는 무의식상태가 된다. 빨리 몸의 체온을 내리도록 하기 위해
환자의 옷을 벗기고 찬물에 담그거나, 찬물을 끼얹도록 한다. 체온이 38.2℃로 내려가면 차고 젖은
담요로 싸서 회복체위를 취하게 한다. 선풍기를 직접 쐬게 하며, 의식이 있으면 시원한 음료수를
주고 곧 치료를 받도록 한다.
▶ 아동의 신체 상태를 자세히 관찰하며 처치방법은 다음과 같다.① 호흡을 못한다면 인공호홉을 한다(주의: 입에 어떤 독성물이 있다면 구강대 비강법 인공호흡을 시킨다)② 호흡을 하나 무의식이라면 회복체위를 취하게 한다.③ 의식이 있으나 구토를 하면 회복체위를 취하게 한다.④ 가능하면 환자에게 질문하여 약물중독의 원인을 찾는다(빈병, 흐트러진 약 냄새, 입속의 약)⑤ 응급처치를 위해 도움을 청한다.⑥ 표백제, 양잿물, 제조체 같은 부식성 식물을 먹었을 때는 환자를 절대로 구토시켜서는 안된다.⑦ 도움이 올 때까지 환자를 따뜻하게 한다. 환자 곁을 떠나지 말아야 한다.
3. 질병의 예방 및 간호
1) 질병의 예방
- 충분한 영양섭취
- 충분한 휴식과 수면
- 청결한 환경과 위생습관
- 정서적 안정
- 질병의 조기진단 및 치료
- 정기적 건강진다
- 치아 건강관리
2) 질병의 간호
① 감기
- 환절기가 되면 여러 명의 유아들이 함께 생활하는 유아교육기관에서는 감기환자가 많이 발생한다.
심하게 감기가 들었다면 집에서 쉬게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유아교육기관에 오게 되므로 유아교사는
다음과 같이 감기든 유아의 간호를 할 수 있어야 한다.
ㄱ. 실내 온도를 18~20도 정도로 유지시켜준다.
ㄴ. 몸을 따뜻하고 편안하게 해주며 무리하지 않도록 해준다.
ㄷ. 따뜻한 레몬차나 보리차 등 마실 것을 만힝 주고 코푸는 것을 도와준다.
ㄹ. 부모가 의뢰하지 않은 감기약은 함부로 먹이지 않는다.
ㅁ. 1~2시간마다 공기를 환기시켜 준다.
② 복통
- 유아가 복통을 호소 할때는 먼저 위가 아픈지 장이 아픈 것인지를 확인한다. 일반적으로 위가 아픈
것은 체한 것이고 장이 아픈 것은 대변이 보고 싶은 경우가 많다. 유아들에게 변비를 예방하기 위해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고 규칙적인 배변 습관을 갖도록 하는 것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③ 수두
- 수두는 감염된 유아의 몸에서 나오는 분비물이나 오염된 의류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전염되므로
모든 딱지가 떨어질 때까지 격리시켜 각 가정에서 치료받도록 해야한다.
④ 볼거리(유행성 이하선염)
- 부어오른 부위를 온 냉찜질을 해주고 이하선이 가라앉을 때까지 가정에서 치료받도록 해야 한다.
⑤ 유행성 결막염
- 감염된 유아가 모든 증상이 사라질 때까지 집에서 치료를 받는다.
⑥ 다래끼
- 손을 깨끗이 하며 더운찜질을 2시간마다 2~3분씩 해주며 안연고를 발라준다.
⑦ 땀띠
- 목욕을 시킨 후 물기를 가볍게 닦아주고 열을 식힌 후 파우더를 발라준다. 속옷은 100% 면옷을
입히도록 한다.
3) 약먹이기
- 전문가의 진단 없이는 약을 먹여서는 안 되며, 다만 의사의 진단에 의한 약의 투여를 부모에게 의뢰
받았을 때에는 약을 투여할 수 있는데 우선 약을 유아가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하였다가 정확한 투여량과
시간을 부모로부터 듣고 그에 따라 투약한다. 약은 일회분만을 가져 오는 것이 좋다.
교실 입구 게시판에 투약의뢰서 용지를 비치해두고 나면 부모로부터 신뢰감을 가질 수 있어
효과적이다.
4. 참고문헌
- 쉽게 배우는 응급처치. 2001.김영표최경식,윤진환 저. 홍경 출판사
- 응급처치의 원리와 실제.1996.이은목 저. 수문사
- 위험속에서 노는 아이들/그 예방과 응급처치법. J.M 에레너 저. 이레서원 출판
- 응급처치 매뉴얼. 1995. 고려의학
- 안전교육과 응급처치.2003. 민유정.대경북스
- 네이버, 엠파스, 다음 인터넷 검색이용.
5. 기타 자료
있기 때문에 의사의 진찰을 받는다.
- 화상은 1도 - 3도로 구분할 수 있는데 1도 화상은 피부가 벌겋고 수포는 없으며 2도 화상은 피부에
수포가 있고 3도 화상은 피부 층이 파괴된 것이다. 깊은 화상은 아무리 부위가 작더라도 의학적인
치료가 요구된다. 그러나 넓은 부위의 표면적인 화상은 더 위험하며, 체액손실로 쇼크가 온다. 피부에 수포가 없고 경한 정도이며, 면고를 발라서 고통을 덜어준다. 만일 수포가 있으면 아무것도
바르지 않으며 수포를 터트리지 말고 소독된 거즈와 붕대로 드레싱 한다.바. 코 피- 코피의 원인으로는 머리에 큰 충격을 받은후나 비염, 비중격 만곡중, 인두염외에 백혈병, 혈우병,
빈혈 등의 혈액질환, 신염 등의 전신질환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유아기에는 정상일지라도 빈번히
코피가 나오는 경우도 있다.- 코피가 나오면 약간 머리를 숙이고 의자에 앉히거나 옆으로 향하게하여 재운다. 콧구명을 단단하고
둥근 솜으로 막고, 코를 강하게 잡아 누른다. 또한 코 위를 차갑게 하면 효과적이다. 보통 5 - 6분
정도에 지혈되지만 다량 출혈이나 시간이 더 경과해도 멎지 않는 경우 의사에게 보인다.- 코피가 목구멍으로 흐를 때는 반드시 토해내게 하는 일이 중요하다. 마셔버리면 기분이 나쁘게 되기도
하고 혈액이 목구멍으로부터 이관(耳管)을 통해 중이(中耳)에 들어가서 중이염을 일으키는 일도 있다.- 코피가 나올 때 아이의 모습, 발열, 두통, 구역질, 상처 등의 유무를 조사하고 상처가 보일 때에는
지혈 응급처치를 하고 곧바로 의사의 진찰을 받는다.
사. 일광으로 인한 병- 햇볕에 화상을 입었을 때는 화상과 같은 치료를 한다. 햇볕에 오래 노출 되었을 경우 일사병이나
열사병이 나타날 수도 있다. 열사병(heat exhaustion)은 날씨가 덥고 습기가 높아서 땀을 많이 흘렸을 때
많이 발생한다. 수분과 염분 손실로 쇼크가 나타난다.- 증상은 근육경련, 피로, 불안정, 창백한 얼굴 그리고 차갑고 축축한 피부상태를 나타낸다.
가끔 어리럽고 두통, 오심, 식욕감퇴, 빠른 호흡, 그리고 빠른 맥박이 나타난다.
환자의 얼굴을 빨갛게 상기되어 뜨겁고 피부는 건조하고 고열(40℃)이 있다. 호흡이 시끄럽고 맥박은
강하며 빠르다. 무감각한 상태거나 또는 무의식상태가 된다. 빨리 몸의 체온을 내리도록 하기 위해
환자의 옷을 벗기고 찬물에 담그거나, 찬물을 끼얹도록 한다. 체온이 38.2℃로 내려가면 차고 젖은
담요로 싸서 회복체위를 취하게 한다. 선풍기를 직접 쐬게 하며, 의식이 있으면 시원한 음료수를
주고 곧 치료를 받도록 한다.
▶ 아동의 신체 상태를 자세히 관찰하며 처치방법은 다음과 같다.① 호흡을 못한다면 인공호홉을 한다(주의: 입에 어떤 독성물이 있다면 구강대 비강법 인공호흡을 시킨다)② 호흡을 하나 무의식이라면 회복체위를 취하게 한다.③ 의식이 있으나 구토를 하면 회복체위를 취하게 한다.④ 가능하면 환자에게 질문하여 약물중독의 원인을 찾는다(빈병, 흐트러진 약 냄새, 입속의 약)⑤ 응급처치를 위해 도움을 청한다.⑥ 표백제, 양잿물, 제조체 같은 부식성 식물을 먹었을 때는 환자를 절대로 구토시켜서는 안된다.⑦ 도움이 올 때까지 환자를 따뜻하게 한다. 환자 곁을 떠나지 말아야 한다.
3. 질병의 예방 및 간호
1) 질병의 예방
- 충분한 영양섭취
- 충분한 휴식과 수면
- 청결한 환경과 위생습관
- 정서적 안정
- 질병의 조기진단 및 치료
- 정기적 건강진다
- 치아 건강관리
2) 질병의 간호
① 감기
- 환절기가 되면 여러 명의 유아들이 함께 생활하는 유아교육기관에서는 감기환자가 많이 발생한다.
심하게 감기가 들었다면 집에서 쉬게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유아교육기관에 오게 되므로 유아교사는
다음과 같이 감기든 유아의 간호를 할 수 있어야 한다.
ㄱ. 실내 온도를 18~20도 정도로 유지시켜준다.
ㄴ. 몸을 따뜻하고 편안하게 해주며 무리하지 않도록 해준다.
ㄷ. 따뜻한 레몬차나 보리차 등 마실 것을 만힝 주고 코푸는 것을 도와준다.
ㄹ. 부모가 의뢰하지 않은 감기약은 함부로 먹이지 않는다.
ㅁ. 1~2시간마다 공기를 환기시켜 준다.
② 복통
- 유아가 복통을 호소 할때는 먼저 위가 아픈지 장이 아픈 것인지를 확인한다. 일반적으로 위가 아픈
것은 체한 것이고 장이 아픈 것은 대변이 보고 싶은 경우가 많다. 유아들에게 변비를 예방하기 위해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고 규칙적인 배변 습관을 갖도록 하는 것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③ 수두
- 수두는 감염된 유아의 몸에서 나오는 분비물이나 오염된 의류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전염되므로
모든 딱지가 떨어질 때까지 격리시켜 각 가정에서 치료받도록 해야한다.
④ 볼거리(유행성 이하선염)
- 부어오른 부위를 온 냉찜질을 해주고 이하선이 가라앉을 때까지 가정에서 치료받도록 해야 한다.
⑤ 유행성 결막염
- 감염된 유아가 모든 증상이 사라질 때까지 집에서 치료를 받는다.
⑥ 다래끼
- 손을 깨끗이 하며 더운찜질을 2시간마다 2~3분씩 해주며 안연고를 발라준다.
⑦ 땀띠
- 목욕을 시킨 후 물기를 가볍게 닦아주고 열을 식힌 후 파우더를 발라준다. 속옷은 100% 면옷을
입히도록 한다.
3) 약먹이기
- 전문가의 진단 없이는 약을 먹여서는 안 되며, 다만 의사의 진단에 의한 약의 투여를 부모에게 의뢰
받았을 때에는 약을 투여할 수 있는데 우선 약을 유아가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하였다가 정확한 투여량과
시간을 부모로부터 듣고 그에 따라 투약한다. 약은 일회분만을 가져 오는 것이 좋다.
교실 입구 게시판에 투약의뢰서 용지를 비치해두고 나면 부모로부터 신뢰감을 가질 수 있어
효과적이다.
4. 참고문헌
- 쉽게 배우는 응급처치. 2001.김영표최경식,윤진환 저. 홍경 출판사
- 응급처치의 원리와 실제.1996.이은목 저. 수문사
- 위험속에서 노는 아이들/그 예방과 응급처치법. J.M 에레너 저. 이레서원 출판
- 응급처치 매뉴얼. 1995. 고려의학
- 안전교육과 응급처치.2003. 민유정.대경북스
- 네이버, 엠파스, 다음 인터넷 검색이용.
5. 기타 자료
키워드
추천자료
[아동 안전관리] 영유아와 안전 - 영유아 안전교육의 성격, 영아기와 걸음마기의 특성 및 위...
[아동 안전관리] 가정에서의 안전지도 - 가정 안전교육의 전반적인 이해, 집안 장소에 따른 ...
[아동 안전관리] 스포츠안전 - 놀이 스포츠의 전반적인 이해, 놀이스포츠와 안전교육, 각종 ...
[아동안전관리] 아동안전교육에 접근할 때 안전지식, 안전기술, 안전태도가 무엇인지 정의하...
[아동건강교육 A형] 영유아를 위한 안전교육 내용을 계획하시오 : 안전교육계획
가정에서 아동 안전을 위하여 가족구성원이 어떠한 노력을 해야 하는지 쓰시오. - 안전사고 ...
[현대사회와 유아교육] 현대사회유아교육과 관련된 연구조사 - 유아교육기관과 가정에서의 안...
[보건교육C형]초(중.고)학생의 안전과 사고예방에 대한 교육<그린의 PRECEDE-PROCEED 모형을 ...
[아동안전관리] 영유아 안전교육에 대해 다룬 동화 1편을 선택하여 읽고, 동화책의 내용을 ...
[아동건강교육A형]3~5세 누리과정의 건강교육부분과 표준보육과정의 건강교육과정을 각각 설...
[2016 아동건강교육A형] 3~5세 누리과정 건강교육부분 표준보육과정 건강교육과정 설명 공통...
[아동건강교육] 보육시설의 기본적인 안전교육 중에서 만 5세를 대상으로 현장에서 적용가능...
[아동건강교육 B형] 2015년 이후 유아 안전교육 관련 기사를 2개 논문 1개를 찾아 요약하고 ...
아동건강교육B=> 2015년 이후 유아 안전교육 관련 기사를 2개 논문 1개를 찾아 요약하고 유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