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더 크다.
② 폐는 오른쪽 3개, 왼쪽 2개 엽으로 나뉘어져 있다.
③ 좌우폐 사이에는 심장, 식도, 대정맥동 등을 중앙에 두고 있는 종격이라는 공간이 있다.
④ 양쪽 폐의 폐포 총 수는 약 3-5억정도로 추산한다.
사실 위의 문제에 대한 정확한 답을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2,3,4번은 제가 책을 보고 임의로 쓴 예인데, 모두 맞는 것입니다. (기초편 P365-366 참조)(문제의 패턴을 알게하기 위하여 임의의 예를 쓴 것입니다.) 다만, 1번은 제가 찍은 답이라서 수험표에 써온 것입니다. 확실한 것은 시험에 출제된 2,3,4번 모두 제가 느끼기에 완벽한 답이었습니다. 다만 1번은 심장은 인체에 약간 왼쪽에 있고, 심장과 가까운 왼쪽기관지가 심장에서 공급받는 에너지가 더 가깝기에 더 강할 것 같다는 추축으로, 저는 1번을 찍었습니다. 한번 책 열심히 보시며 답을 찾아보세요.
40. 다음중 심장의 설명에 대한 것으로 틀린 것은?
① 심장은 혈액을 박출하는 근육조직이다.
② 두 개의 방과 두 개의 실로 이루어져 혈액이 상하 대정맥과 폐정맥을 통하여 좌우 심방으로 들어와서 각 심실에 들어오면 심실이 수축하여 대동맥과 폐동맥으로 나간다. 오른쪽 상방에 위치한 곳을 우심실, 왼쪽 상방에 위치한 곳을 좌심실이라고 한다.
③ 왼쪽 방실판은 두 개의 판막으로 이루어져 있고, 오른쪽 방실판은 세 개의 판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④ 심장벽은 조직학적으로 세 층으로 되어 있다.
답은 2번입니다. 아주 그럴듯하게 설명되어 있지만, 오른쪽 상방에 위치한 곳은 우심방, 왼쪽은 좌심방입니다. 수험생들 모두 많이 헷갈렸을 겁니다.
② 폐는 오른쪽 3개, 왼쪽 2개 엽으로 나뉘어져 있다.
③ 좌우폐 사이에는 심장, 식도, 대정맥동 등을 중앙에 두고 있는 종격이라는 공간이 있다.
④ 양쪽 폐의 폐포 총 수는 약 3-5억정도로 추산한다.
사실 위의 문제에 대한 정확한 답을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2,3,4번은 제가 책을 보고 임의로 쓴 예인데, 모두 맞는 것입니다. (기초편 P365-366 참조)(문제의 패턴을 알게하기 위하여 임의의 예를 쓴 것입니다.) 다만, 1번은 제가 찍은 답이라서 수험표에 써온 것입니다. 확실한 것은 시험에 출제된 2,3,4번 모두 제가 느끼기에 완벽한 답이었습니다. 다만 1번은 심장은 인체에 약간 왼쪽에 있고, 심장과 가까운 왼쪽기관지가 심장에서 공급받는 에너지가 더 가깝기에 더 강할 것 같다는 추축으로, 저는 1번을 찍었습니다. 한번 책 열심히 보시며 답을 찾아보세요.
40. 다음중 심장의 설명에 대한 것으로 틀린 것은?
① 심장은 혈액을 박출하는 근육조직이다.
② 두 개의 방과 두 개의 실로 이루어져 혈액이 상하 대정맥과 폐정맥을 통하여 좌우 심방으로 들어와서 각 심실에 들어오면 심실이 수축하여 대동맥과 폐동맥으로 나간다. 오른쪽 상방에 위치한 곳을 우심실, 왼쪽 상방에 위치한 곳을 좌심실이라고 한다.
③ 왼쪽 방실판은 두 개의 판막으로 이루어져 있고, 오른쪽 방실판은 세 개의 판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④ 심장벽은 조직학적으로 세 층으로 되어 있다.
답은 2번입니다. 아주 그럴듯하게 설명되어 있지만, 오른쪽 상방에 위치한 곳은 우심방, 왼쪽은 좌심방입니다. 수험생들 모두 많이 헷갈렸을 겁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