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해질종류 및 전해질 불균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전해질?

2. 종류 및 전해질 불균형
1) Na(sodium) : 135-145mEq/L
2. K(potassium) : 3.5-4.5mEq/L
3) Ca(calcium) : 4.5-5.5mEq/L, 8.2-10.5mg/dl
4) P(Phosphorous) : 4mEq/L
5) Mg(Magnesium) : 1.9-3.1mEq/L

본문내용

, 비타민 C, 고기, 치즈, 계란, 통밀) 섭취, 금기가 아닌 경우 하루 3000-4000mL 수분 섭취하도록 함.
기능 : 뼈의 강도와 밀도, 골격근 및 심장근 수축, 신경자극 전달 조절, 혈액응고 보조
4) P(Phosphorous) : 4mEq/L
세포내액의 주요 음이온, 80%의 인이 뼈속에 존재
P양에 영향을 주는 요인
- PTH(parathyroid hormone): PTH 증가→P 소실
- Ca
P 함유 식품 : 견과류, 콩류, 낙농제품, 붉은 고기, 내장, 왕겨, 곡류
기능 : 비타민 B 활성화, 세포분열 보조,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대사 협력
5) Mg(Magnesium) : 1.9-3.1mEq/L
세포내액의 주요 양이온, 70%가 Ca, P과 함께 뼈에 저장, 나머지 심장, 골격근, 간세포, 세포외액에 존재
Mg 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PTH : 뼈에서 Mg 방출 자극, Ca과 상호억제 작용, P의 흡수는 Mg 흡수 방해
- Mg 수치 저하시 신장에서 k 배출 증가 → 저칼륨혈증 초래
기능 : ATP 활성화, 골격근 수축 자극, 비타민 B 활성화, 탄수화물 대사, 단백질 합성 강화
저마그네슘혈증
고마그네슘혈증
원인
1. 섭취 감소
장기간, 영야부족, 제산제 과다복용, 이뇨제(loop, 삼투성, thiazide), 항생제,
corticosteroid, digitalis
2. 장관 흡수장애 : 흡수장애 증후군(Crohn;s disease, 만성소화장애, 췌장염), 알코올 중독,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설사, 위장관 누공 및 흡인, 알칼리증
3. 과다배설 : 알도스테론 증가, 소변량 대량 소실
1. 신부전,마그네슘이 많이 함유된 제산제, 하제 복용시
2. 칼륨을 보유하는 이뇨제 복용시
: 칼륨을 보유하고 있는 이뇨제는 마그네슘도 정체됨.
3. 당뇨성 케토산증으로 인해 심한 탈수가 있을 때
4. 심한 탈수
증상
1. 심장장애
부정맥(심실조기수축, 심방세동, 심실세동)
EKG 변화 : QT간격 길어짐, QRS 넓어짐, T파가 넓어짐.
2. 위장관계 변화
: 오심, 구토, 복부팽만
3. 정신과적 장애 :우울, 정신분열증, 혼돈
4. 심한 저마그네슘혈증인 경우 신경근육계 증상 초래 : tetany, 경련, 뇌졸중)
1. 경미한 경우 : 말초혈관 확장되어 저혈압, EKG PR 간격, QT 간격이 길어짐
2. 심한 경우 : 신경근육계 흥분성 감소 → 근육허약, 기면, 졸음, 심부건반사의 감소, 호흡마비, 의식소실, 심장마비
치료
1. magnesium sulfate IM
2. 심한 경우 : magnesium sulfate + 5% 포도당 용액 천천히 → 빨리 투여할 경우 심장마비
3. 경련시 : magnesium sulfate 1-2g direct IV
4. 고마그네슘식이 섭취 : 과일, 녹색채소, 우유, 육류, 땅콩 등
1. 마그네슘의 섭취를 줄이고 배설을 증가 : 이뇨제와 함께 생리식염수 투여
2. 마그네슘 작용 중화 위해 calcium gluconate IB
3. 응급시 혈액투석이나 복막투석
  • 가격2,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5.19
  • 저작시기201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24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