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시기별 교육 소외의 특성
3. 학교 붕괴의 양상
1)일본
2)미국
3)한국
5. 신세대 교육소외의 상황
6. 글을 마치며
2. 시기별 교육 소외의 특성
3. 학교 붕괴의 양상
1)일본
2)미국
3)한국
5. 신세대 교육소외의 상황
6. 글을 마치며
본문내용
. 자퇴라는 행동을, 살아가는 방식 중의 하나 정도로만 이해해 달라는 거, 그거 별로 특별한 거 아니잖아요? 우월감 느낄 일도 아니고, "아 쟤는 저렇게 사는구나. 저렇게 살수도 있겠구나"... 이 정도로만요. 당신이 어떻게 생각하든 전 별로 관심이 없어요. 인정하기 싫다면, 그냥 무관심해지세요. 비틀즈도 말했잖아요. let it be. 이런 게 바로 '아름다운 개인주의' 아니겠어요?...(중략)... 사실 자퇴생, 비 자퇴생으로 나누는 것도 너무 우습지 않아요? 비 자퇴생이 그렇듯이 자퇴생들 역시 인생에서 자퇴경험이 있다는 것 제외한다면 공통분모를 찾기 힘들 정도로 너무나 다양한 삶을 살고 있는데...(중략)... 제가 중 고등학교에서 배운 건 하나뿐이었어요. 가부장제로 점철되는 권위주의와 폭력, 봉건적 질서에 익숙해지기, 그것뿐이었어요. 그래도 꼭 다녀야 하는 건가요?
6. 글을 마치며
오늘날 대부분의 청소년은 학생으로서 살고 있다. 학생은 신분이면서 일종의 직업이다. 그들은 하루 생활의 대부분을 학교에서 보내며 학교 밖에서의 생활도 학생 신분에 의해 규정을 받고 있다. 많은 사람들의 인생 진로가 학창시절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좋은 면에서건 나쁜 면에서건 그로부터 많은 규정을 받고 살아가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볼 때 학생으로서의 우리 청소년들의 삶은 과연 얼마나 행복하고 또한 유익할까?
우리는 신세대의 학교생활을 살펴보면서, 자신의 학창생활을 돌아보듯 그들의 입 장으로 돌아가서, 좀더 깊은 애정과 이해심을 가지고 바라볼 필요를 느낀다. 그리고 가정에서는 왕자와 공주처럼 길러지고, 사회에서는 가장 큰 소비의 주체로 떠오르고, 학교에서는 대책 없는 부적응아로 몰려 있는, 이른바 신세대들의 굴절된 삶과 생활에 대해 좀더 총체적인 시각을 가지고 바라보아야 할 필요를 느낀다. 그래서 세대간의 거리를 좀더 좁히고 그들에게 한 걸음 성큼 다가설 때, 그들은 겉으로 보기보다 훨씬 고뇌하고 고통받고 있으며, 또한 걱정했던 것보다 훨씬 합리적인 사고를 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청소년들에 대한 이러한 깊은 이해야말로 바람직한 문제해결의 길로 들어서는 지름길이라 믿는다.
■ 참고문헌 ■
서주현(2001), ■청소년의 인터넷을 통한 친구관계의 기능, 구조적 특성 및 만족 감■, 서울대사회과학대학 대학원 석사논문(2001).
심성보(1999), ■교육개혁의 오류와 교실붕괴의 공동체적 극복■, 전교
6. 글을 마치며
오늘날 대부분의 청소년은 학생으로서 살고 있다. 학생은 신분이면서 일종의 직업이다. 그들은 하루 생활의 대부분을 학교에서 보내며 학교 밖에서의 생활도 학생 신분에 의해 규정을 받고 있다. 많은 사람들의 인생 진로가 학창시절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좋은 면에서건 나쁜 면에서건 그로부터 많은 규정을 받고 살아가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볼 때 학생으로서의 우리 청소년들의 삶은 과연 얼마나 행복하고 또한 유익할까?
우리는 신세대의 학교생활을 살펴보면서, 자신의 학창생활을 돌아보듯 그들의 입 장으로 돌아가서, 좀더 깊은 애정과 이해심을 가지고 바라볼 필요를 느낀다. 그리고 가정에서는 왕자와 공주처럼 길러지고, 사회에서는 가장 큰 소비의 주체로 떠오르고, 학교에서는 대책 없는 부적응아로 몰려 있는, 이른바 신세대들의 굴절된 삶과 생활에 대해 좀더 총체적인 시각을 가지고 바라보아야 할 필요를 느낀다. 그래서 세대간의 거리를 좀더 좁히고 그들에게 한 걸음 성큼 다가설 때, 그들은 겉으로 보기보다 훨씬 고뇌하고 고통받고 있으며, 또한 걱정했던 것보다 훨씬 합리적인 사고를 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청소년들에 대한 이러한 깊은 이해야말로 바람직한 문제해결의 길로 들어서는 지름길이라 믿는다.
■ 참고문헌 ■
서주현(2001), ■청소년의 인터넷을 통한 친구관계의 기능, 구조적 특성 및 만족 감■, 서울대사회과학대학 대학원 석사논문(2001).
심성보(1999), ■교육개혁의 오류와 교실붕괴의 공동체적 극복■, 전교
추천자료
초등학교 영어 교육의 문제점과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
우리나라 교육의 문제점과 대안 - 학교를 거부하는 아이 아이를 거부하는 사회
초등학교 중학년 현장학습의 실태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
현행 고전 문학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고등학교 국어(상)교과서를 중심으로)
학교교육의 의미, 현황, 문제점 및 발전방향
[A+]우리나라 아동 및 청소년 복지의 현황과 문제점(비행예방을 비롯한 학교사회사업의 확대...
[교육재정학] 중등 사립학교 재정의 현황과 문제점 A+자료!
학교운영위원회에 대한 이해 및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대안교육에 대하여(대안교육의 등장, 대안학교의 발달, 문제점 및 전망)
학교밖 청소년의 실태와 문제점에 대한 사회적 지원방안 및 향후대책
우리나라 학교 교육의 개선 방안, 문제점과 원인 분석,다른 나라의 교육 제도
정신장애 청소년의 학교사회사업 ‘사회적응훈련’ 프로그램 집단과정 문제점 및 개선방안
방과 후 학교 영어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및 개선 방안
[평생교육론] 평생교육관점에서 대안학교의 현황과 역할, 문제점을 조사 [평생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