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외부명령어.....
내부명령어...
내부명령어...
본문내용
시작시 다른 블럭을 선택할 시간적 여유를 설정한다. 만약 이 파라메터를 설정하지 않으면, MS-DOS는 사용자가 ENTER키를 누르기 전까지 기다린다. 시간에는 0에서 99까지 사용할 수 있다.
MENUITEM
MENUITEM=블럭명[,메뉴문자열]
시작 메뉴의 항목을 설정한다. 하나의 메뉴에 9개의 서브 메뉴를 생성할 수 있다.
[블럭명] 메뉴문자열을 선택하였을 경우 실질적으로 실행될 블럭명을 설정한다.
[메뉴문자열] 메뉴에 출력될 문자열을 설정한다.
NUMLOCK
NUMLOCK=[ON|OFF]
시스템 시작시 MS-DOS가 NUMLOCK키를 ON, OFF할 것인지를 설정한다. 이 명령은 CONFIG.SYS 안에서만 사용될 수 있다.
[ON|OFF] 시스템 시작시 MS-DOS가 NUMLOCK키를 ON, OFF할 것인지를 설정한다.
REN(RENAME)
REN(RENAME) [경로명] [파일명]
REN 명령은 단순히 같은 디렉토리안에서 파일명을 변경한다. 만약 어떤 파일의 파일명을 변경하여 다른 디렉토리에 저장할려면 COPY명령을 이용해야 한다.
[경로명] 이름을 변경하기를 원하는 파일명의 경로명과 파일명을 설정한다.
[파일명] 경로명에 설정된 파일명이 변경되어질 파일명을 설정한다. 경로명이 포함되어서는 안된다.
REM
REM [문자열]
배치 파일내에서 REM 뒤에 나오는 문자열(명령 포함)을 무시한다. 일반적으로 주석(Comment)을 달거나 명령이 실행되지 않게 할 때 사용된다.
[문자열] 주석 또는 실행되지 않기를 원하는 명령을 설정한다.
RD(RMDIR)
RD(RMDIR) [경로명]
디렉토리를 삭제한다. RD명령은 파일이 존재하는 디렉토리를 삭제하지 못하며, 현재 디렉토리는 삭제하지 못한다. 기본적으로 숨김 또는 시스템 속성을 가진 파일은 기본적인 DIR명령으로 보이지 않으며, 이러한 파일이 디렉토리내에 존재할 경우 RD명령으로 그 디렉토리를 삭제하지 못한다.
[경로명] 삭제하기를 원하는 디렉토리를 설정한다.
SET
SET [변수=문자열], SET [변수=]
SET명령은 환경변수를 출력하거나 설정, 삭제한다. SET명령만 실행하면 현재 시스템내에 설정되어 있는 환경변수를 출력한다.
[변수=문자열] 환경 변수와 환경 변수가 가지는 문자열을 설정한다.
[변수=] 현재 시스템에 설정되어 있는 환경변수중에서 삭제하기를 원하는 환경변수를 설정한다.
SETVER
SETVER [경로명] [파일명] [n.nn]
SETVER [경로명] [파일명] [/DELETE [/QUIET]]
SETVER [경로명] ▲
프로그램이 특정 MS-DOS 버전에서만 작동될 때 SETVER명령은 원하는 버전인 것처럼 속여서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한다.
[경로명] 장치 드라이버인 SETVER.EXE 가 있는 경로명을 설정한다. MS-DOS인 경우 대부분 C:/DOS이다.
[파일명] 버전 테이블에 등록시킬 파일명을 설정한다.
[n.nn] 설정된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MS-DOS의 버전을 설정한다.
[/DELETE] 설정된 프로그램에 대한 버전 테이블을 삭제한다. 줄여서 /D를 사용할 수 있다.
[/QUIET] 버전 테이블을 삭제하는 동안 출력되는 메시지를 출력되지 않게 한다.
SHELL
SHELL=[경로명]명령처리기 [명령처리기Parameters]
SHELL명령은 MS-DOS와 윈도우즈 95/98에서 사용하기를 원하는 명령 처리기를 설정하며, CONFIG.SYS 파일안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만약 CONFIG.SYS 파일안에서 SHELL명령으로 명령 처리기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MS-DOS와 윈도우즈 95/98은 기본적으로 시작 드라이브의 루트 디렉토리에서 COMMAND.COM을 찾는다. SHELL명령에서는 어떠한 파라메터나 스위치가 없으며, 명령 처리기가 파라메터나 스위치가 필요하다면 SHELL명령과 함께 설정될 수 있다.
[경로명] 명령 처리기의 경로명을 설정한다.
[명령처리기] 사용할 명령 처리기의 파일명을 설정한다.
[명령처리기Parameters] 설정된 명령 처리기의 필요한 파라메터를 설정한다.
SHIFT
SHIFT명령은 %0부터 %9까지의 인자값을 이동시키며 사용하게 해준다. 즉, %1에 저장된 값은 %0에 복사되고, %2에 저장된 값은 %1에 복사되는 식이다. 한 번 이동되어 사용된 인자를 다시 사용하는 것을 불가능하다.
STACKS
STACKS=n,s
하드웨어 인터럽트를 핸들하기 위한 데이터 스택의 동적인 사용을 지원한다. 실행 프로그램들은 인터럽트를 처리하기 위해서 충분한 스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윈도우즈 3.1을 설치하면 자동적으로 CONFIG.SYS 파일안에 STACKS=9,256이 추가된다.
[n] Stack의 수를 설정한다. n값은 0과 8에서 64까지 사용할 수 있다.
[s] 각 Stack의 크기를 바이트 단위로 설정한다. s값은 0 또는 32에서 512까지 사용할 수 있다.
SUBMENU
SUBMENU=블록명[,메뉴문자열]
메뉴안에 메뉴를 만든다.
[블록명] 메뉴안에 더 생성될 menu_text의 블록명을 설정한다.
[메뉴문자열] 메뉴안에 더 생성될 메뉴에 나타날 문자열을 설정한다.
SWITCHES
SWITCHES=[/W] [/K] [/N] [/F]
SWITCHES명령에서 /K 스위치를 사용해서 구형 키보드로 동작시킬 때 ANSI.SYS를 DEVICE 또는 DEVICEHIGH 명령으로 CONFIG.SYS 파일내에 설치하다면, ANSI.SYS 에도 /K 스위치를 붙여야 한다. WINA20.386 을 다른 디렉토리로 옮겼으면 /W를 붙여야 하고 윈도우즈 3.1의 SYSTEM.INI 파일의 [386Enh]에 DEVICE=[drive:][path]WINA20.386을 추가해야 한다.
[/W] WINA20.386 파일이 루트 디렉토리이외에 다른 디렉토리로 옮겨졌을 때 설정한다.
[/K] 확장 키보드가 구형 키보드처럼 동작하게 한다.
[/N] 시작 메뉴에서 F5와 F8키를 사용하지 못하다록 설정한다.
[/F] MS-DOS 시작 초기에 출력되는 "Starting MS-DOS ..." 메시지 이후에 2초간 대기하는 시 간을 없앤다.
MENUITEM
MENUITEM=블럭명[,메뉴문자열]
시작 메뉴의 항목을 설정한다. 하나의 메뉴에 9개의 서브 메뉴를 생성할 수 있다.
[블럭명] 메뉴문자열을 선택하였을 경우 실질적으로 실행될 블럭명을 설정한다.
[메뉴문자열] 메뉴에 출력될 문자열을 설정한다.
NUMLOCK
NUMLOCK=[ON|OFF]
시스템 시작시 MS-DOS가 NUMLOCK키를 ON, OFF할 것인지를 설정한다. 이 명령은 CONFIG.SYS 안에서만 사용될 수 있다.
[ON|OFF] 시스템 시작시 MS-DOS가 NUMLOCK키를 ON, OFF할 것인지를 설정한다.
REN(RENAME)
REN(RENAME) [경로명] [파일명]
REN 명령은 단순히 같은 디렉토리안에서 파일명을 변경한다. 만약 어떤 파일의 파일명을 변경하여 다른 디렉토리에 저장할려면 COPY명령을 이용해야 한다.
[경로명] 이름을 변경하기를 원하는 파일명의 경로명과 파일명을 설정한다.
[파일명] 경로명에 설정된 파일명이 변경되어질 파일명을 설정한다. 경로명이 포함되어서는 안된다.
REM
REM [문자열]
배치 파일내에서 REM 뒤에 나오는 문자열(명령 포함)을 무시한다. 일반적으로 주석(Comment)을 달거나 명령이 실행되지 않게 할 때 사용된다.
[문자열] 주석 또는 실행되지 않기를 원하는 명령을 설정한다.
RD(RMDIR)
RD(RMDIR) [경로명]
디렉토리를 삭제한다. RD명령은 파일이 존재하는 디렉토리를 삭제하지 못하며, 현재 디렉토리는 삭제하지 못한다. 기본적으로 숨김 또는 시스템 속성을 가진 파일은 기본적인 DIR명령으로 보이지 않으며, 이러한 파일이 디렉토리내에 존재할 경우 RD명령으로 그 디렉토리를 삭제하지 못한다.
[경로명] 삭제하기를 원하는 디렉토리를 설정한다.
SET
SET [변수=문자열], SET [변수=]
SET명령은 환경변수를 출력하거나 설정, 삭제한다. SET명령만 실행하면 현재 시스템내에 설정되어 있는 환경변수를 출력한다.
[변수=문자열] 환경 변수와 환경 변수가 가지는 문자열을 설정한다.
[변수=] 현재 시스템에 설정되어 있는 환경변수중에서 삭제하기를 원하는 환경변수를 설정한다.
SETVER
SETVER [경로명] [파일명] [n.nn]
SETVER [경로명] [파일명] [/DELETE [/QUIET]]
SETVER [경로명] ▲
프로그램이 특정 MS-DOS 버전에서만 작동될 때 SETVER명령은 원하는 버전인 것처럼 속여서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한다.
[경로명] 장치 드라이버인 SETVER.EXE 가 있는 경로명을 설정한다. MS-DOS인 경우 대부분 C:/DOS이다.
[파일명] 버전 테이블에 등록시킬 파일명을 설정한다.
[n.nn] 설정된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MS-DOS의 버전을 설정한다.
[/DELETE] 설정된 프로그램에 대한 버전 테이블을 삭제한다. 줄여서 /D를 사용할 수 있다.
[/QUIET] 버전 테이블을 삭제하는 동안 출력되는 메시지를 출력되지 않게 한다.
SHELL
SHELL=[경로명]명령처리기 [명령처리기Parameters]
SHELL명령은 MS-DOS와 윈도우즈 95/98에서 사용하기를 원하는 명령 처리기를 설정하며, CONFIG.SYS 파일안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만약 CONFIG.SYS 파일안에서 SHELL명령으로 명령 처리기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MS-DOS와 윈도우즈 95/98은 기본적으로 시작 드라이브의 루트 디렉토리에서 COMMAND.COM을 찾는다. SHELL명령에서는 어떠한 파라메터나 스위치가 없으며, 명령 처리기가 파라메터나 스위치가 필요하다면 SHELL명령과 함께 설정될 수 있다.
[경로명] 명령 처리기의 경로명을 설정한다.
[명령처리기] 사용할 명령 처리기의 파일명을 설정한다.
[명령처리기Parameters] 설정된 명령 처리기의 필요한 파라메터를 설정한다.
SHIFT
SHIFT명령은 %0부터 %9까지의 인자값을 이동시키며 사용하게 해준다. 즉, %1에 저장된 값은 %0에 복사되고, %2에 저장된 값은 %1에 복사되는 식이다. 한 번 이동되어 사용된 인자를 다시 사용하는 것을 불가능하다.
STACKS
STACKS=n,s
하드웨어 인터럽트를 핸들하기 위한 데이터 스택의 동적인 사용을 지원한다. 실행 프로그램들은 인터럽트를 처리하기 위해서 충분한 스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윈도우즈 3.1을 설치하면 자동적으로 CONFIG.SYS 파일안에 STACKS=9,256이 추가된다.
[n] Stack의 수를 설정한다. n값은 0과 8에서 64까지 사용할 수 있다.
[s] 각 Stack의 크기를 바이트 단위로 설정한다. s값은 0 또는 32에서 512까지 사용할 수 있다.
SUBMENU
SUBMENU=블록명[,메뉴문자열]
메뉴안에 메뉴를 만든다.
[블록명] 메뉴안에 더 생성될 menu_text의 블록명을 설정한다.
[메뉴문자열] 메뉴안에 더 생성될 메뉴에 나타날 문자열을 설정한다.
SWITCHES
SWITCHES=[/W] [/K] [/N] [/F]
SWITCHES명령에서 /K 스위치를 사용해서 구형 키보드로 동작시킬 때 ANSI.SYS를 DEVICE 또는 DEVICEHIGH 명령으로 CONFIG.SYS 파일내에 설치하다면, ANSI.SYS 에도 /K 스위치를 붙여야 한다. WINA20.386 을 다른 디렉토리로 옮겼으면 /W를 붙여야 하고 윈도우즈 3.1의 SYSTEM.INI 파일의 [386Enh]에 DEVICE=[drive:][path]WINA20.386을 추가해야 한다.
[/W] WINA20.386 파일이 루트 디렉토리이외에 다른 디렉토리로 옮겨졌을 때 설정한다.
[/K] 확장 키보드가 구형 키보드처럼 동작하게 한다.
[/N] 시작 메뉴에서 F5와 F8키를 사용하지 못하다록 설정한다.
[/F] MS-DOS 시작 초기에 출력되는 "Starting MS-DOS ..." 메시지 이후에 2초간 대기하는 시 간을 없앤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