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대상
2. 직무분석표
3. 산업 유형
4. SIC 코드번호와 항목
5. SOC 코드번호와 항목
6. 직무 요약
직업의 특성
작업환경
교육훈련 및 자격
고용현황
임금
직업전망
2. 직무분석표
3. 산업 유형
4. SIC 코드번호와 항목
5. SOC 코드번호와 항목
6. 직무 요약
직업의 특성
작업환경
교육훈련 및 자격
고용현황
임금
직업전망
본문내용
에 따라 임금차이가 난다.
동화의 경우 장당 임금을 지급받는데 TV방영용일 경우 일본애니메이션 작품은 장당 800∼1,000원, 미국작품은 장당 600∼800원 정도이고 그 외 비디오용, 극장용 애니메이션의 경우 장당 1,000∼2,000원 정도이다.
원화는 경우 컷(cut), 또는 피트(feet)당 임금을 지급받는데 TV방영용은 피트당 8,000∼13,000원, 극장용 애니메이션이 피트당 30,000∼50,000원 정도이다.
직업전망
향후 5년간 만화가 및 애니메이터의 활동은 현재보다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애니메이션은 미국, 일본에 이어 세계 3위의 수준이지만 그 동안 미국과 일본의 애니메이션을 하청 제작하는 노동집약적인 산업형태를 띄었다. 하지만 점차 기획과 아이디어가 필요한 순수 창작 국내 창작애니메이션 제작이 늘어날 것으로 보여 기획, 시나리오, 캐릭터, 디자인 등 각 전문분야에서의 인력수요가 많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TV 및 케이블 방송용 애니메이션과 Video용 애니메이션 제작의 활성화와 광고홍보물, 교육용 애니메이션의 제작도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애니메이터의 경우 대학에서의 관련학과 개설증가를 비롯해 매년 배출되는 인력이 애니메이션 제작업체에 비해 과잉상태여서 기존의 애니메이션 제작업체에 취업되는 인원은 제한적일 전망이다. 그러나 국내 창작 애니메이션 제작의 활성화로 새로운 창작, 기획에 따른 중소벤처업체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이고 이들 업체를 중심으로 한 프리랜서도 증가할 것이다. 특히 기존의 셀애니메이션보다는 컴퓨터 애니메이션을 담당할 애니메이터의 활동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만화에 있어서도 아동만화뿐만 아니라 장르도 다양해져 가고 있고 증권, 스포츠, 정치 등 소재의 폭도 넓어지고 있다. 또한 만화에 대한 사회전반적인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도 출판만화의 활성화와 함께 질적인 측면에서도 양질의 작품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크게 작용할 것이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만화출판을 통해 자질을 인정받거나 다양한 통로를 통해 만화를 소개할 기회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스토리, 배경그림 등 각 분야에 따라 분업화·전문화가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정부에서도 만화와 애니메이션 산업을 21세기 고부가가치산업으로 인정하고 만화문화의 질적향상과 우수만화의 제작활성화를 위해 지원하고 있으며 또한 만화와 애니메이션 등 영상산업에 대한 각 지방자치단체의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동화의 경우 장당 임금을 지급받는데 TV방영용일 경우 일본애니메이션 작품은 장당 800∼1,000원, 미국작품은 장당 600∼800원 정도이고 그 외 비디오용, 극장용 애니메이션의 경우 장당 1,000∼2,000원 정도이다.
원화는 경우 컷(cut), 또는 피트(feet)당 임금을 지급받는데 TV방영용은 피트당 8,000∼13,000원, 극장용 애니메이션이 피트당 30,000∼50,000원 정도이다.
직업전망
향후 5년간 만화가 및 애니메이터의 활동은 현재보다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애니메이션은 미국, 일본에 이어 세계 3위의 수준이지만 그 동안 미국과 일본의 애니메이션을 하청 제작하는 노동집약적인 산업형태를 띄었다. 하지만 점차 기획과 아이디어가 필요한 순수 창작 국내 창작애니메이션 제작이 늘어날 것으로 보여 기획, 시나리오, 캐릭터, 디자인 등 각 전문분야에서의 인력수요가 많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TV 및 케이블 방송용 애니메이션과 Video용 애니메이션 제작의 활성화와 광고홍보물, 교육용 애니메이션의 제작도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애니메이터의 경우 대학에서의 관련학과 개설증가를 비롯해 매년 배출되는 인력이 애니메이션 제작업체에 비해 과잉상태여서 기존의 애니메이션 제작업체에 취업되는 인원은 제한적일 전망이다. 그러나 국내 창작 애니메이션 제작의 활성화로 새로운 창작, 기획에 따른 중소벤처업체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이고 이들 업체를 중심으로 한 프리랜서도 증가할 것이다. 특히 기존의 셀애니메이션보다는 컴퓨터 애니메이션을 담당할 애니메이터의 활동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만화에 있어서도 아동만화뿐만 아니라 장르도 다양해져 가고 있고 증권, 스포츠, 정치 등 소재의 폭도 넓어지고 있다. 또한 만화에 대한 사회전반적인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도 출판만화의 활성화와 함께 질적인 측면에서도 양질의 작품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크게 작용할 것이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만화출판을 통해 자질을 인정받거나 다양한 통로를 통해 만화를 소개할 기회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스토리, 배경그림 등 각 분야에 따라 분업화·전문화가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정부에서도 만화와 애니메이션 산업을 21세기 고부가가치산업으로 인정하고 만화문화의 질적향상과 우수만화의 제작활성화를 위해 지원하고 있으며 또한 만화와 애니메이션 등 영상산업에 대한 각 지방자치단체의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추천자료
CRM 도입,전략,시장진출-기사
'남동 장애인 종합 복지관' 견학 보고서
프로포절(지체장애인 부부의 관계 강화를 위한 집단프로그램)
노인복지정책의 실태와 발전방향
[지역축제] 춘천 국제마임 축제
청소년 상담 - 상담기관 방문 및 기관별 특징을 중심으로
[마케팅관리]프랜차이즈 ‘(주)놀부’의 마케팅전략 및 성공요인 분석(A+리포트)
큐레이터(curator)
노인복지부 프로포절
보건소 건강증진 사업
(사회복지현장실습보고서) 청소년지원센터 실습발표 최종본
토의식학습(토론학습, 토의수업)의 정의와 유형, 토의식학습(토론학습, 토의수업)의 의의와 ...
복합문화체험공간_사업제안서
소비자 중심 평가 모형(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