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장 거짓과 정직 사이에서
1. 거짓이 난무하는 사회
2. 거짓말 길라잡이
3. 정직의 전통
제 2장 사이버 공간을 다스리라
1. 사이버 공간에서 살아가기
2. 사이버 공간은 윤리 해방구인가?
3. 사이버 공간에서의 책임 항해
제 3장 책임 있는 자아를 위하여
1. 갬블러, 본드 맨, 채팅 걸
2. 현실 도피의 원인
3. 책임 있는 자아를 위하여
제 4장 일하기 싫거든 먹지도 말라
1. 일확천금을 꿈꾸는 나라
2. 기독교적 직업관
3. 좋은 직업이란 무엇일까요?
제 5장 생명을 다루는 윤리가 필요한가.
1. 생명윤리란 무엇인가?
2. 임신중절 (낙태)
3. 안락사
1. 거짓이 난무하는 사회
2. 거짓말 길라잡이
3. 정직의 전통
제 2장 사이버 공간을 다스리라
1. 사이버 공간에서 살아가기
2. 사이버 공간은 윤리 해방구인가?
3. 사이버 공간에서의 책임 항해
제 3장 책임 있는 자아를 위하여
1. 갬블러, 본드 맨, 채팅 걸
2. 현실 도피의 원인
3. 책임 있는 자아를 위하여
제 4장 일하기 싫거든 먹지도 말라
1. 일확천금을 꿈꾸는 나라
2. 기독교적 직업관
3. 좋은 직업이란 무엇일까요?
제 5장 생명을 다루는 윤리가 필요한가.
1. 생명윤리란 무엇인가?
2. 임신중절 (낙태)
3. 안락사
본문내용
에 의한 임신중절의 부당성을 인정하지만, 산모의 생명뿐만 아니라 성폭행이나 기형아 등 심각한 이유가 있을 때에만 임신중절을 허용합니다. 셋째는 급진적 여성주의자들이 선호하는 입장으로 태아를 인격체로 볼 근거가 없으므로 일체의 결정권은 임산부에게 있다고 봅니다.
기독교 신앙으로 보면 생명은 근원적으로 하나님이 허락하신 것이므로 비록 태아의 생명이라고 할지라도 소중하며 생명의 최종적인 권리를 절대자의 주권으로 인정합니다. 우리 사회에 생명보호와 존중의 문화가 확산될 때, 무절제한 임신 중절이 자연스럽게 줄어들 것입니다.
3. 안락사
안락사는 질병의 다양화와 고도의 생명 연장 의술에 힘입어 생명의료윤리의 중요한 논란거리가 되고 있습니다. 최근의 사전적 정의에 따르면 “치유될 수 없는 상황이나 질병으로 커다란 고통이나 어려움을 안고 있는 사람을 아무런 고통을 주지 않고 죽게하는 행위나 관행”을 안락사로 정의합니다. 자의적 안락사는 환자가 자신의 죽음을 직접 원하거나 미리유언으로 남긴 경우이며, 비자의적인 안락사는 환자가 선택 능력을 상실한 경우 보호자나 가족이 원하는 경우입니다.
기독교는 하나님의 생명 창조와 섭리를 굳게 믿기 때문에 안락사의 문제에서도 매우 조심스럽게 접근합니다. 첫째, 기독교는 적극적 안락사를 거부합니다. 왜냐하면 인간은 본래 생사여탈권을 갖고 있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둘째, 기독교는 소극적 안락사 가운데, 환자가 회복 가능한 경우에는 치료나 음식 공급을 중단하여 환자의 죽음을 방치하거나 스스로 목숨을 끊는 행위를 거부합니다. 인간 스스로가 자신의 생명을 끊을 권리가 없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기독교 신앙으로 보면 생명은 근원적으로 하나님이 허락하신 것이므로 비록 태아의 생명이라고 할지라도 소중하며 생명의 최종적인 권리를 절대자의 주권으로 인정합니다. 우리 사회에 생명보호와 존중의 문화가 확산될 때, 무절제한 임신 중절이 자연스럽게 줄어들 것입니다.
3. 안락사
안락사는 질병의 다양화와 고도의 생명 연장 의술에 힘입어 생명의료윤리의 중요한 논란거리가 되고 있습니다. 최근의 사전적 정의에 따르면 “치유될 수 없는 상황이나 질병으로 커다란 고통이나 어려움을 안고 있는 사람을 아무런 고통을 주지 않고 죽게하는 행위나 관행”을 안락사로 정의합니다. 자의적 안락사는 환자가 자신의 죽음을 직접 원하거나 미리유언으로 남긴 경우이며, 비자의적인 안락사는 환자가 선택 능력을 상실한 경우 보호자나 가족이 원하는 경우입니다.
기독교는 하나님의 생명 창조와 섭리를 굳게 믿기 때문에 안락사의 문제에서도 매우 조심스럽게 접근합니다. 첫째, 기독교는 적극적 안락사를 거부합니다. 왜냐하면 인간은 본래 생사여탈권을 갖고 있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둘째, 기독교는 소극적 안락사 가운데, 환자가 회복 가능한 경우에는 치료나 음식 공급을 중단하여 환자의 죽음을 방치하거나 스스로 목숨을 끊는 행위를 거부합니다. 인간 스스로가 자신의 생명을 끊을 권리가 없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추천자료
기독교 윤리에 입각한 성과 결혼
과학과 윤리 - 죄와 벌의 인과 관계를 중심으로- ( 신학 기독교 )
기독교 경제윤리
(성서와 동성애) 동성애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기독교 윤리) 예수회에 대한 모든 것
[여성 해방론][여성 운동][여성성]여성 해방론과 여성 운동 및 여성성 분석(보수주의, 기독교...
기독교 윤리의 기초
기독교 윤리 자살
주 교재 청소년학개론(교육과학사) 청보충교재 하나님의 지우개(최낙중 저)를 읽고 기독교적 ...
0140영어설교-Is God Unfair?(하나님은 불공평하신가) {청년부} Matthew(마태) 20:1-16 [영어...
[구약신학] 아브라함(Abraham)의 순종에 근거한 여호와의 맹세 (창세기 22장) (기독교, 성서,...
0152영어설교▶The God of the Second Chance 두번째 기회의 하나님◀중고등부 - God`s love an...
[기독교교육학] 분노(憤怒)의 성서적 이해 - 구약성서와 신약성서에서의 분노 이해(하나님의 ...
성서와 기독교 윤리 [선한 사마리아 교회] -건강한 교회 탐방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