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보지 그랬어? 그래야 너에 관해서 무슨 오해가 생겨서 그럴수도 있잖아?
내담자 : 예
상담자 : 언제 물어볼래?
내담자 : 점심시간에요
상담자 : 그런데 그 친구가 네가 괜히 싫다고 하면 어떻게 할래?
내담자 : ...........
상담자 : 그 친구가 너만 친구했으면 좋겠니?
내담자 : 예
상담자 : 너는 다른 친구는 필요없니?
내담자 : 예
상담자 : 그 친구가 어디가 좋은데?
내담자 : 그냥 저에게 편하게 대해주고요, 잘 해주니까요.
상담자 : 그럼 네가 그 친구에게 잘 해준 것이 무엇이 있을까?
내담자 : 별로 없어요
상담자 : 너는 그 친구가 너에게 잘 해주기만 바라고 너는 그 친구에게 잘 해 준 것이 없으면 그 친구가 너에 대해서 실망하지 않았을까?
내담자 : 그럴지도 몰라요
상담자 : 그러면서 너는 그 친구가 다른 친구들과 친하게 지내는 것을 질투하고 있구나?
내담자 : ............
상담자 : 네가 그 친구라면 어떻게 할까? 다시 말해서 네가 잘 해준 친구가 너에게는 아무것도 잘 해 준 것이 없다면 그 친구와 계속 친구하고 싶을까?
내담자 : 아니요
상담자 : 바로 그거야, 네 친구가 너에게 잘 해줄 때 너도 그 친구에게 잘 해 주었어야 하는거야. 그런데 너는 그렇게 안했잖아? 그래서 그 친구가 너에게 실망하지 않았을까?
내담자 : 아마 그랬을거에요
상담자 : 너는 네가 원하는 친구만 사귀기를 바라니?
내담자 : 예
상담자 : 친구들이 원하는 사람이 되고 싶은 마음은 없니?
내담자 : 아니오
상담자 : 그러면 그 친구가 원하는 친구는 어떤 친구일까?
내담자 : 그 친구에게 잘 해주는 친구요
상담자 : 그렇게 생각하니?
내담자 : 예
상담자 : 네가 그 친구에게 잘 해주는 친구는 될 수 없을까?
내담자 : 될 수 있을 거 같아요
상담자 : 그럼 지금부터 그 친구에게 잘 해 줄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 볼까?
내담자 : 예
상담자 : 어떤 방법이 있을까?
내담자 : 그 친구에게 책도 빌려주고, 지우개도 빌려주고 그런거요
상담자 : 정말 그렇게 할 수 있겠니?
내담자 : 예
상담자 : 선생님과 약속할까? 그 친구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아서 그 친구에게 네가 할 수 있는 것을 해주기로.
내담자 : 예
상담자 : 이제부터 실천하는 일만 남았네
내담자 : 예 안녕히 계세요
상담자 : 또 어려운 일이 있으면 언제든지 와
내담자 : 예
◆ 그 뒤로는 상담실을 찾는 일이 거의 없었다. 담임선생님께 여쭈어보았더니, 친구들과도 잘 어울리고 친구들이 내담자에게도 잘 대해주어서 별 문제가 없다고 말씀하셨다. 상당히 명랑해져서 말도 전보다는 많이 한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무사히 1학년을 마치고 2학년에 진급하였다.
9. 본 사례에 대한 상담자의 총평
이 사례에서는 내담자가 중학생이라는 점을 염두어 두고 신체발달 상태와 그에 따른 인성검사결과 일반성격척도가 대체적으로 매우 낮고, 생활적응척도에서도 전체적으로 낮은 결과가 나온 것으로 보아 내담자가 모든 면에 자신감이 없기 때문에, 우선 상담의 목표를 자신감을 키워주는데 중점을 두었고, 친구들에게 어떻게 대해야 좋은지를 모르는 상태이기 때문에 친구관계에서 지켜야할 것과 자신이 친구들에게 해 줄 수 있는 것을 강조하였고, 다행히 상담자가 수업시간, 쉬는 시간, 점심 시간 등에서 내담자를 관찰할 수 있는 시간이 많아서 상담에 적용하기가 용이하였고, 담임선생님과 연대하여 내담자의 어려운 점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많이 되었다.
학교 현장에서 상담교사가 내담자인 학생을 상대로 상담을 하게 될 때에 유리한 점은 관찰할 수 있는 시간적, 공간적 여유가 많이 있어, 이것을 상담에 직접 적용할 수 있다는데 있다고 생각한다.
내담자 : 예
상담자 : 언제 물어볼래?
내담자 : 점심시간에요
상담자 : 그런데 그 친구가 네가 괜히 싫다고 하면 어떻게 할래?
내담자 : ...........
상담자 : 그 친구가 너만 친구했으면 좋겠니?
내담자 : 예
상담자 : 너는 다른 친구는 필요없니?
내담자 : 예
상담자 : 그 친구가 어디가 좋은데?
내담자 : 그냥 저에게 편하게 대해주고요, 잘 해주니까요.
상담자 : 그럼 네가 그 친구에게 잘 해준 것이 무엇이 있을까?
내담자 : 별로 없어요
상담자 : 너는 그 친구가 너에게 잘 해주기만 바라고 너는 그 친구에게 잘 해 준 것이 없으면 그 친구가 너에 대해서 실망하지 않았을까?
내담자 : 그럴지도 몰라요
상담자 : 그러면서 너는 그 친구가 다른 친구들과 친하게 지내는 것을 질투하고 있구나?
내담자 : ............
상담자 : 네가 그 친구라면 어떻게 할까? 다시 말해서 네가 잘 해준 친구가 너에게는 아무것도 잘 해 준 것이 없다면 그 친구와 계속 친구하고 싶을까?
내담자 : 아니요
상담자 : 바로 그거야, 네 친구가 너에게 잘 해줄 때 너도 그 친구에게 잘 해 주었어야 하는거야. 그런데 너는 그렇게 안했잖아? 그래서 그 친구가 너에게 실망하지 않았을까?
내담자 : 아마 그랬을거에요
상담자 : 너는 네가 원하는 친구만 사귀기를 바라니?
내담자 : 예
상담자 : 친구들이 원하는 사람이 되고 싶은 마음은 없니?
내담자 : 아니오
상담자 : 그러면 그 친구가 원하는 친구는 어떤 친구일까?
내담자 : 그 친구에게 잘 해주는 친구요
상담자 : 그렇게 생각하니?
내담자 : 예
상담자 : 네가 그 친구에게 잘 해주는 친구는 될 수 없을까?
내담자 : 될 수 있을 거 같아요
상담자 : 그럼 지금부터 그 친구에게 잘 해 줄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 볼까?
내담자 : 예
상담자 : 어떤 방법이 있을까?
내담자 : 그 친구에게 책도 빌려주고, 지우개도 빌려주고 그런거요
상담자 : 정말 그렇게 할 수 있겠니?
내담자 : 예
상담자 : 선생님과 약속할까? 그 친구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아서 그 친구에게 네가 할 수 있는 것을 해주기로.
내담자 : 예
상담자 : 이제부터 실천하는 일만 남았네
내담자 : 예 안녕히 계세요
상담자 : 또 어려운 일이 있으면 언제든지 와
내담자 : 예
◆ 그 뒤로는 상담실을 찾는 일이 거의 없었다. 담임선생님께 여쭈어보았더니, 친구들과도 잘 어울리고 친구들이 내담자에게도 잘 대해주어서 별 문제가 없다고 말씀하셨다. 상당히 명랑해져서 말도 전보다는 많이 한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무사히 1학년을 마치고 2학년에 진급하였다.
9. 본 사례에 대한 상담자의 총평
이 사례에서는 내담자가 중학생이라는 점을 염두어 두고 신체발달 상태와 그에 따른 인성검사결과 일반성격척도가 대체적으로 매우 낮고, 생활적응척도에서도 전체적으로 낮은 결과가 나온 것으로 보아 내담자가 모든 면에 자신감이 없기 때문에, 우선 상담의 목표를 자신감을 키워주는데 중점을 두었고, 친구들에게 어떻게 대해야 좋은지를 모르는 상태이기 때문에 친구관계에서 지켜야할 것과 자신이 친구들에게 해 줄 수 있는 것을 강조하였고, 다행히 상담자가 수업시간, 쉬는 시간, 점심 시간 등에서 내담자를 관찰할 수 있는 시간이 많아서 상담에 적용하기가 용이하였고, 담임선생님과 연대하여 내담자의 어려운 점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많이 되었다.
학교 현장에서 상담교사가 내담자인 학생을 상대로 상담을 하게 될 때에 유리한 점은 관찰할 수 있는 시간적, 공간적 여유가 많이 있어, 이것을 상담에 직접 적용할 수 있다는데 있다고 생각한다.
추천자료
청소년집단상담 발표용 보고서(파워포인트, PPT, 템플릿, 프리젠테이션)
2012년 1학기 청소년진로지도및상담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2년 1학기 청소년진로지도및상담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3년 1학기 청소년진로지도및상담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3년 1학기 청소년진로지도및상담 기말시험 핵심체크
청소년상담론 개인상담과제
2014년 1학기 청소년진로지도및상담 멀티미디어 강의 핵심요약노트
2014년 1학기 청소년상담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4년 1학기 청소년진로지도및상담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4년 1학기 청소년상담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4년 1학기 청소년진로지도및상담 기말시험 핵심체크
청소년기 상담사례(가족을 싫어하며 외모고민이 있는 여학생, 학생상담, 여학생상담사례, 청...
★ 청소년상담심리 - 학습장애 치료방법 ( 난독증에 대한 맞춤법 기술, 미술을 통한 수학학습,...
청소년심리및상담_현재 자신의 성격의 특징(적어도 10가지정도)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